목차
Ⅰ. 서론
1.check list.....................................3
Ⅱ. 본론
1.문헌고찰......................................16
2. 간호사정
(1) 간호력......................................18
(2) 검사실 검사.................................23
(3) 약물투여....................................24
(4) 간호문제목록................................25
Ⅲ. 결론
1. 간호진단.....................................26
2. 소감문.......................................27
* 참고문헌...............................................31
1.check list.....................................3
Ⅱ. 본론
1.문헌고찰......................................16
2. 간호사정
(1) 간호력......................................18
(2) 검사실 검사.................................23
(3) 약물투여....................................24
(4) 간호문제목록................................25
Ⅲ. 결론
1. 간호진단.....................................26
2. 소감문.......................................27
* 참고문헌...............................................31
본문내용
..........................23
(3) 약물투여....................................24
(4) 간호문제목록................................25
Ⅲ. 결론
1. 간호진단.....................................26
2. 소감문.......................................27
* 참고문헌...............................................31
Ⅰ. 서론
구분
항목
내용
O
A
P
분만
전중
간호
분만실 orientation
분만실과 수술실이 함께 있다.
분만실은 자연분만실과 가족분만실 그리고 일반분만실이 함께 있다.
6개의 Bed가 간호사실 앞에 있고 수시로 내진을 하시는 곳이다.
자연주의 분만실이 1개가 있고 가족분만실은 3개의 방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진통을 위해 운동하는 곳이 마련되어 있다.
수술실은 2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간호사실 앞에 회복실이 마련되어 수시로 선생님께서 모니터링을 하시는 곳이다.
∨
간호력 사정
- 건강상태를 파악하는 첫 단계로 면담과 검진을 통하여 자료수집을 하는 것.
- 사정의 중요한 다섯 단계
① 자료수집
② 자료검증
③ 자료조직
④ 양상규명/첫 소견 검증
⑤ 보고와 기록
- LMP, EDC, 유산경험, 수술경험, 현 병력, 현재 먹고 있는 약, 알레르기 유무, 기형아검사 유무, 태아 몸무게, 다니던 병원, 입원동기, 입원이유, 전화번호, 혈액형, 키, 학력, 직업, 가족관계, 마지막으로 음식 드신 시간과 음식물 등을 사정.
∨
태아심음 측정
1. Phonocardiography
고도의 Microphone으로 확대된 FHS를
스피커나 Headset를 통하여 청취하는 방법. 임신 중과 파막 및 자궁개대 전 분만 중에 언제든지 사용 가능한 간단한 방법.
2. Ultrasound Transducer
low energy high-frequency의 음파를 태아의 심장부위에 전달시켜 반사된 음파로 태아심음을 간파하는 방법.
3. Abdominal FECG
임산부 복부로부터 태아의 ECG를 통해 직접 태아심음을 확인하는 방법.
∨
∨
fetal monitoring
NST(무자극검사)
태아 움직임에 대한 태아 심음의 반응으로 태반호흡 기능을 사정하는 검사.
① 장점 - 병원이 아닌 곳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비교적 저렴하며 알려진 금기증이 없다. 편리하고 스크린하는 도구로 신뢰성이 높아 자궁수축검사의 빈도를 현저히 감소시켰다.
② 단점 - 태아가 수면주기에 있거나 약물복용,미성숙한 상태일 경우는 무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CST나 생물리학적 계수를 사용하는 것보다 정확하지 않다.
③ 무자극검사의 해석
- 반응 : 20분간 태동과 동시에 태아 심박동의 증가가 15회/분, 15초간 지속되는 것이 2회 이상 있을 때
(일주일에 두 번씩 NST에서 ‘반응’으로 나오면 대부분의 고위험 임신은 계속유지.)
- 무반응 : 20분간 태동과 동시에 태아 심박동의 증가가 15회/분 이하이거나 15초 이하로 지속될 때(태아심박동의 패턴과 변이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복부전자 모니터를 시도하고 CST나 BPP를 실시한다.)
- 불만족 : 기록된 태아심박동이 해석하는데 부적합할 때(임상상황에 따라 24시간 내에 반복검사를 하거나 CST를 실시한다.)
∨
NST / CST
CST(자궁수축검사)
분만대기실에서 자연스럽게 자궁수축이 나타나거나 자궁수축제인 oxytocin등을 투여하여 의도적으로 자궁수축을 유도한 후 자궁수축 후기에 태아심박동이 감퇴되는지를 보는 방법. 조작이 불편하고 시간과 비용이 든다.
자연스러운 NST보다는 태아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반드시 고 위험부에게만 적용한다.
∨
질 검진
회음부와 외음부를 소독하고 멸균장갑을 낀 후 질에 손가락을 집어넣어 태아하강과 소실이 얼마나 이루어졌는지 확인. 산부에게 스트레스를 주기 때문에 꼭 필요할 때만 시행.
∨
복부검진
(레오폴드촉진법)
방광을 비우고 베개 한 개 정도를 베고 무릎은 약간 구부린 자세 유지.
1단계 - 자궁저부촉진(태위, 머리와 엉덩이 확인)
2단계 - 태아의 등과 등의 반대편(손, 다리, 무릎, 팔꿈치)파악
3단계 - 선진부를 촉진, 1단계와 3단계의 결과를 비교하여 태위와 태향 결정, 선진부의 함입 상태파악
4단계 - 치골 상부 깊숙이 촉진(아두 굴곡, 함입 여부 확인)
∨
자궁저부 높이 측정
태아성장과 임신기간 및 고위험요인 확인에 도움이 된다. 방문 시 마다 측정하며 줄자로 복부 중앙선을 따라 치골결합 절흔에서 자궁 저부까지의 길이를 측정. 방광을 비우고 검사를 시행하며 체위는 무릎을 약간 구부리고 머리와 어깨를 약간 상승시킨 앙와위를 취한다.
∨
이슬관찰
자궁경부의 점액마개가 자궁수축으로 인해 질 분비물과 함께 혈액성 점액으로 떨어져 나오는 것.
∨
파막 검사
(Nitrazine test)
양막 파열의 진단을 위해 Baptisti(1938)에 의해 처음 제안된 간단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검사.
검사지를 질 내 분비물에 묻혀 색상을 표준색상도표와 비교하여 양수의 pH(수소이온농도지수) 를 확인. 양수(pH7.0)는 정상 질 분비물(pH4.5 ~5.0)보다 pH가 높아서 파열이 안 된 경우에는 검사지가 노란색(pH5.0), 노란 올리브색(pH5.5), 연두 올리브색(pH6.0)을 나타내고, 파열된 경 우에는 청록색(pH6.0), 청회색(pH6.5), 담청색(pH7.0)으로 변한다. 그러나 혈액, 소변, 정액 등이 있을 경우 가양성 결과를 보일 수 있다.
∨
회음부 shaving
- 면도기 사용
: 대상자에게 수술부위 피부준비의 목적과 방법 및 절차를 설명한다.
: 사생활 보호를 위해 스크린이나 커튼을 친 다.
: 손 소독제로 손 위생을 실시한다.
: 일회용 장갑을 착용한다.
: 수술 받을 부위를 노출시킨다.
: 수건을 수술 받을 부위 아래에 댄다.
: 비누 액을 피부에 거품이 일도록 잘 바른다.
: 면도기를 이용하여 피부 준비가 필요한 부위 피부를 바짝 잡아당기고 피부에서 약 30~45 도의 각도로 면도날을 댄다.
: 털이 자라는 방향으로
(3) 약물투여....................................24
(4) 간호문제목록................................25
Ⅲ. 결론
1. 간호진단.....................................26
2. 소감문.......................................27
* 참고문헌...............................................31
Ⅰ. 서론
구분
항목
내용
O
A
P
분만
전중
간호
분만실 orientation
분만실과 수술실이 함께 있다.
분만실은 자연분만실과 가족분만실 그리고 일반분만실이 함께 있다.
6개의 Bed가 간호사실 앞에 있고 수시로 내진을 하시는 곳이다.
자연주의 분만실이 1개가 있고 가족분만실은 3개의 방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진통을 위해 운동하는 곳이 마련되어 있다.
수술실은 2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간호사실 앞에 회복실이 마련되어 수시로 선생님께서 모니터링을 하시는 곳이다.
∨
간호력 사정
- 건강상태를 파악하는 첫 단계로 면담과 검진을 통하여 자료수집을 하는 것.
- 사정의 중요한 다섯 단계
① 자료수집
② 자료검증
③ 자료조직
④ 양상규명/첫 소견 검증
⑤ 보고와 기록
- LMP, EDC, 유산경험, 수술경험, 현 병력, 현재 먹고 있는 약, 알레르기 유무, 기형아검사 유무, 태아 몸무게, 다니던 병원, 입원동기, 입원이유, 전화번호, 혈액형, 키, 학력, 직업, 가족관계, 마지막으로 음식 드신 시간과 음식물 등을 사정.
∨
태아심음 측정
1. Phonocardiography
고도의 Microphone으로 확대된 FHS를
스피커나 Headset를 통하여 청취하는 방법. 임신 중과 파막 및 자궁개대 전 분만 중에 언제든지 사용 가능한 간단한 방법.
2. Ultrasound Transducer
low energy high-frequency의 음파를 태아의 심장부위에 전달시켜 반사된 음파로 태아심음을 간파하는 방법.
3. Abdominal FECG
임산부 복부로부터 태아의 ECG를 통해 직접 태아심음을 확인하는 방법.
∨
∨
fetal monitoring
NST(무자극검사)
태아 움직임에 대한 태아 심음의 반응으로 태반호흡 기능을 사정하는 검사.
① 장점 - 병원이 아닌 곳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비교적 저렴하며 알려진 금기증이 없다. 편리하고 스크린하는 도구로 신뢰성이 높아 자궁수축검사의 빈도를 현저히 감소시켰다.
② 단점 - 태아가 수면주기에 있거나 약물복용,미성숙한 상태일 경우는 무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CST나 생물리학적 계수를 사용하는 것보다 정확하지 않다.
③ 무자극검사의 해석
- 반응 : 20분간 태동과 동시에 태아 심박동의 증가가 15회/분, 15초간 지속되는 것이 2회 이상 있을 때
(일주일에 두 번씩 NST에서 ‘반응’으로 나오면 대부분의 고위험 임신은 계속유지.)
- 무반응 : 20분간 태동과 동시에 태아 심박동의 증가가 15회/분 이하이거나 15초 이하로 지속될 때(태아심박동의 패턴과 변이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복부전자 모니터를 시도하고 CST나 BPP를 실시한다.)
- 불만족 : 기록된 태아심박동이 해석하는데 부적합할 때(임상상황에 따라 24시간 내에 반복검사를 하거나 CST를 실시한다.)
∨
NST / CST
CST(자궁수축검사)
분만대기실에서 자연스럽게 자궁수축이 나타나거나 자궁수축제인 oxytocin등을 투여하여 의도적으로 자궁수축을 유도한 후 자궁수축 후기에 태아심박동이 감퇴되는지를 보는 방법. 조작이 불편하고 시간과 비용이 든다.
자연스러운 NST보다는 태아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반드시 고 위험부에게만 적용한다.
∨
질 검진
회음부와 외음부를 소독하고 멸균장갑을 낀 후 질에 손가락을 집어넣어 태아하강과 소실이 얼마나 이루어졌는지 확인. 산부에게 스트레스를 주기 때문에 꼭 필요할 때만 시행.
∨
복부검진
(레오폴드촉진법)
방광을 비우고 베개 한 개 정도를 베고 무릎은 약간 구부린 자세 유지.
1단계 - 자궁저부촉진(태위, 머리와 엉덩이 확인)
2단계 - 태아의 등과 등의 반대편(손, 다리, 무릎, 팔꿈치)파악
3단계 - 선진부를 촉진, 1단계와 3단계의 결과를 비교하여 태위와 태향 결정, 선진부의 함입 상태파악
4단계 - 치골 상부 깊숙이 촉진(아두 굴곡, 함입 여부 확인)
∨
자궁저부 높이 측정
태아성장과 임신기간 및 고위험요인 확인에 도움이 된다. 방문 시 마다 측정하며 줄자로 복부 중앙선을 따라 치골결합 절흔에서 자궁 저부까지의 길이를 측정. 방광을 비우고 검사를 시행하며 체위는 무릎을 약간 구부리고 머리와 어깨를 약간 상승시킨 앙와위를 취한다.
∨
이슬관찰
자궁경부의 점액마개가 자궁수축으로 인해 질 분비물과 함께 혈액성 점액으로 떨어져 나오는 것.
∨
파막 검사
(Nitrazine test)
양막 파열의 진단을 위해 Baptisti(1938)에 의해 처음 제안된 간단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검사.
검사지를 질 내 분비물에 묻혀 색상을 표준색상도표와 비교하여 양수의 pH(수소이온농도지수) 를 확인. 양수(pH7.0)는 정상 질 분비물(pH4.5 ~5.0)보다 pH가 높아서 파열이 안 된 경우에는 검사지가 노란색(pH5.0), 노란 올리브색(pH5.5), 연두 올리브색(pH6.0)을 나타내고, 파열된 경 우에는 청록색(pH6.0), 청회색(pH6.5), 담청색(pH7.0)으로 변한다. 그러나 혈액, 소변, 정액 등이 있을 경우 가양성 결과를 보일 수 있다.
∨
회음부 shaving
- 면도기 사용
: 대상자에게 수술부위 피부준비의 목적과 방법 및 절차를 설명한다.
: 사생활 보호를 위해 스크린이나 커튼을 친 다.
: 손 소독제로 손 위생을 실시한다.
: 일회용 장갑을 착용한다.
: 수술 받을 부위를 노출시킨다.
: 수건을 수술 받을 부위 아래에 댄다.
: 비누 액을 피부에 거품이 일도록 잘 바른다.
: 면도기를 이용하여 피부 준비가 필요한 부위 피부를 바짝 잡아당기고 피부에서 약 30~45 도의 각도로 면도날을 댄다.
: 털이 자라는 방향으로
추천자료
자연분만케이스스터디
[논문] 자연분만 케이스
자연분만(NSVD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케이스 스터디
[모성간호케이스]정상분만NSVD환자case study
[간호학]중환자실케이스
[간호학]중환자실케이스-뇌출혈
[케이스스터디, 녹내장, 자연분만]녹내장 케이스스터디(CaseStudy), 자연분만 케이스스터디(C...
[케이스스터디][급성위장염][미숙아]급성위장염 케이스스터디(CaseStudy), 미숙아 케이스스터...
[케이스스터디][만성신부전]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스터디(CaseStudy), 만성신부전 케이스스...
[성인간호학][수술실케이스][TLH][Total laparoscopic hystrectomy]수술전간호,수술후간호, ...
모성간호학, 응급분만 케이스 스터디
[성 빈센트 병원 임상 간호사례보고서] 간호과정을 중심으로 응급실 ER / 응급실케이스 - 통...
모성간호학 케이스 CASE STUDY - 자연분만
[모성간호학] 자연분만 케이스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