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호동설화(好童說話) [호동설화 조사][호동설화 연구][호동설화 분석][호동설화 개요][호동설화 소고][호동설화 고찰][호동설화에 대하여][호동설화 개관][호동설화 견해][호동설화 감상][호동설화 느낀점]
여름 4월에 왕자 호동(好童)이 옥저(沃沮)로 놀러 갔을 때 낙랑왕(樂浪王) 최리(崔理)가 나왔다가 그를 보고서 묻기를 “그대의 안색을 보니 비상한 사람이구나. 어찌 북국 신왕(神王)의 아들이 아니겠는가?”하고는 마침내 함께 돌아와 딸을 아내로 삼게 하였다.
낙랑왕 최리가 대무신왕의 아들 호동을 한눈에 알아 볼 수 있었던 점은 호동이 단지 잘생겨서 그런 것이 아니라 왕자의 의복(衣服)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 이라고 볼 수 있다. 딸을 아내로 삼게 한 것은 고구려의 부마국이 됨으로써 고구려 침략의 위험을 없애기 위한 전략적인 선택이라 볼 수 있다.
여름 4월에 왕자 호동(好童)이 옥저(沃沮)로 놀러 갔을 때 낙랑왕(樂浪王) 최리(崔理)가 나왔다가 그를 보고서 묻기를 “그대의 안색을 보니 비상한 사람이구나. 어찌 북국 신왕(神王)의 아들이 아니겠는가?”하고는 마침내 함께 돌아와 딸을 아내로 삼게 하였다.
낙랑왕 최리가 대무신왕의 아들 호동을 한눈에 알아 볼 수 있었던 점은 호동이 단지 잘생겨서 그런 것이 아니라 왕자의 의복(衣服)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 이라고 볼 수 있다. 딸을 아내로 삼게 한 것은 고구려의 부마국이 됨으로써 고구려 침략의 위험을 없애기 위한 전략적인 선택이라 볼 수 있다.
추천자료
창조설화와 페미니즘의 관계연구
삼황오제 (三皇五帝) - 신화와 역사관계성에 대하여 -
E.H Carr 가 생각하는 역사란 무엇인가?
'춘향전'의 역사적 재해석
구비문학 - 설화, 민담, 전설
존브라이트 군네벡 헤이스&밀러 이스라엘 역사 방법론별 조사
한국 설화의 화소에 관한 보고서
길가메쉬 서사시의 홍수설화와 구약성경의 비교
연오랑과 세오녀 설화의 해석
[최치원][최치원사상][최치원의 생애][최치원의 업적][최치원 관련 자료 검토][최치원 관련 ...
[A+ 레포트] 한국의 역사와 문화 -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지역사]제주도의_역사
[유아문학] <한국아동문학의 역사와 발전> 구비문학 시대, 아동문화운동시대, 아동문학운동...
두산베어스(Doosan Bears) 구단 측정평가 {구단의 역사와 레전드 선수, 구단의 현재 상태, 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