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지도] 아동문제행동 관찰 및 분석 보고서 - 의존적이며 편식하는 아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활지도] 아동문제행동 관찰 및 분석 보고서 - 의존적이며 편식하는 아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수지가 좋아하는 조리법으로 바꾸어 음식을 제공하고 다양한 조리법을 시도하여 수지에게 다양한 음식을 맛보여 주는 것도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생각 된다.
수지에게 정해진 식사장소가 있음을 일깨워 줄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식탁에서 밥을 먹지 않을 때는 식사의 장소를 옮기는 행동은 하지 말아야 하며 정해진 식사장소에서 밥을 먹지 않으려고 할 때는 ‘식탁에서 먹지 않을거면 밥 먹지마’ 라고 말하는 부모나 할머니의 강력한 의사표현이 있어 수지에게 정해진 식사장소가 있음을 일깨워 줄 필요가 있어 보인다.
배가 불러서 식사시간에 제대로 된 식사를 하지 못할 경우가 생길 수 있으므로 당분간 간식을 제공하지 않는 편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식사시간에 밥 먹지 않을 것을 대비하여 간식은 당분간 제공하지 않는 방법이 필요할 것 같다.
수지의 문제행동을 고치기 위해서는 부모와 어린이집 교사가 상담을 통해서 서로의 도움과 협의를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는 생각이 든다.
편식하는 습관을 고치기 위해서는 부모와 어린이집 교사와의 상담과 협의를 통해 어린이집에 도시락을 만들어 보내는 것은 중단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에도 모든 것을 해결해주고 도와주는 등의 부모나 할머니의 양육태도를 바꾸어야할 필요가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수지의 의존적인 성향과 태도는 잘못된 부모의 양육방식과 할머니의 태도로 인해서 생기게 된 것 같아서 부모나 할머니의 양육태도를 한 번에 바꾸어 수지에게 혼란 감을 주기보다는 하나하나씩 바꾸어진 양육태도를 보여 수지에게 혼란 감을 줄여줄 필요가 있어 보인다.
수지가 스스로 일을 해내었을 때 친 사회적 보상을 해주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수지가 할 수 있는 일은 수지가 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수지가 해내었을 때에는 사회적인 보상이 주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실수를 하더라도 그 과정에 대해서 칭찬을 해주어 다시 도전할 수 있도록 기회를 만들어 줄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작은 실수를 하더라도 그 실수에 대해서 바로고치기 보다는 그 행동의 과정에 대해서 칭찬을 하여 수지가 그 행동에 대해서 자시 도전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할 것 같다.
‘언니이니까’ 즉, 수지에게 언니임을 강조하지 않고 언니의 행동을 강요하지 말아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수지의 의존적인 태도나 편식은 동생이 태어나기 전에도 나타났었지만 동생이 태어난 이 후에는 조금 더 심해진 경향을 볼 수 있다. 이는 동생이 태어난 이후에 동생과 나눠 갖게 된 관심에 대한 불안한 심리를 의존적인 태도와 편식하는 습관을 통해서 더 표현하게 된 것 일 수 도 있으므로 동생 앞에서 수지에게 언니임을 강조하고 언니의 책임감을 강요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으며 수지가 언니임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가족들의 배려와 시간을 줄 필요가 있어 보인다는 생각이 든다.
※참고문헌
정선철(2009) 유아생활지도, 서울, 태영출판사 p.138~39, P.162~63
김숙이, 손수민, 고선옥, 신리행(2014) 아동건강교육, 경기, 정민사 P.64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03.19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98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