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 경건주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독일의 경건주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인적 경건에 대한 새로운 각성
2. 독일 경건주의의 역사적 배경
3. 주요 인물들
4. 경건주의자들의 특징
5. 경건주의의 장․단점
6. 결론

본문내용

자발성은 선교 운동에 강력한 추진력을 제공하여 결코 잊을 수 없는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개신교 어느 교파도 이들만큼 선교 의무를 절실히 느끼지 못했고, 그 어느 단체도 수에 비해 크게 선교 사역에 헌신한 적이 없었다.
그러나 헤른후트의 유별난 특색과 분리주의적 성향 때문에 곧 정통 루터파 뿐 아니라 경건주의자들로부터 많은 반대를 받았다. 결국 진젠도르프는 1736년 작센에서 추방되었다.
추방 후 그는 서부 독일, 영국, 미국에서 다시 운동을 전재해 나갔다. 특히 미국에 있는 동안 많은 활동을 벌였고, 인디언들에게 선교하기 시작하고 7-8개의 모라비아 교회를 설립, 학교도 세웠다. 1743년 진젠도르프는 유럽으로 건너갔고 헤른후트는 선교 활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선교는 수리남, 가이아나, 이집트 그리고 남아프리카에서도 시작되었다.
이제 모라비아 교회는 완전히 교회가 되어갔고 1742년 프러시아 당국이 이를 인정하였다. 1747년 작센 당국과 협상한 결과 진젠도르프의 추방이 취소되었고 1749년 영국의회는 모라비아 교회를 “고대 개신교 감독 교회”(ancient protestant episcopal church)로 승인했다.
진젠도르프는 모라비아인 몇몇과 함께 신학과 문화적으로 유별난 특징들을 발전시켰고, 이로 인해 비판을 받았다. 그는 그리스도의 대속적 죽음을 강조하면서 십자가에 못 박힌 그리스도의 피와 상처에 대한 병적인 집중과 언어유희에 초점을 맞춤으로 왜곡된 방향으로 흘렀다. 그들은 그리스도인이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려면 어린 아이처럼 되어야 한다는 진젠도르프 주장으로 인하여 많은 유치한 내용들이 표현되었다. 그들의 유별난 특징은 그 절정에 이르렀으나, 그 후 그들은 자체적으로 상당히 수정했다.
진젠도르프는 전 재산을 모라비아 교인들을 위해 남김없이 사용해서 거의 파산지경에 이르렀다. 이런 재정상의 문제로 모라비아파의 제도가 발달하기 시작했는데 단체의 이사회가 설립되고 그것이 업무를 감독하는 조정국이 되었다.
형제단은 모라비아 교회가 되어 굳건히 터전을 잡았기 때문에 그가 1760년 이후 별세한 후에도 심각한 단절은 없었다. 후에 슈팡겐베르크가 지도자가 되었다.
모라비아 교회는 기독교계에서 공인된 위치를 차지했으며, 선교열과 모라비아인 디아스포라 사역을 통해 광범위한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4. 경건주의자들의 특징 <경건주의자들의 영성소고> 감신대학원 장동의 석사논문 1995
스페너, 프랑케의 영성의 공통점과 차이점
첫째, 진정한 회개를 통한 중생의 체험을 강조한다. 특히 중생한 사람은 새 사람으로 변화되어 루터의 옛아담과 새아담 사이에서 늘 방황하는 죄의 용서에 더 이상 머물러 있지 않고 새 아담으로 상승하는 죄의 지배에 그들의 영성을 설정한다. 이는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와 함께 인간의 자유의지적인 참여가 배제되지 않는다는 의미다.
둘째, 그리스도를 본받는 영성(성장과 결실 강조)-Imitatio Christi-를 추구하였다.
셋째, 사랑과 기도의 영성을 추구하였다. 사랑과 기도는 이웃과 교회공동체 속에서 인식되었다.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03.25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08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