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지 않는다는 점이 그것이다.
통상적으로 권근의 작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리고 제작 년대와 관련하여서는 권근이 政堂文學兼大司憲에 제수된 定宗원년(1399)이므로, 그 후 그의 卒年인 1409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본다. 이상의 작가와 작품의 제작 년대에 대한 내용은 李明九의 高麗歌謠의 硏究(新雅社, 1973)을 참고. 한편, 최용수는 權近, <霜臺別曲>에 대하여(한국시가연구, 1997, pp402-403)에서 작품의 제작연대를 1400년 3-7월 사이의 일로 보고있다.
한편, 개별 작품론의 시도는 최용수가 처음 시도하였는데, 그는 <상대별곡>의 제작 연대를 고증하고, 형태적 특질을 살피고 난 뒤 그 문학사적인 의의를 살펴보고 있다. 최용수, 앞의 책.
이처럼 <상대별곡>은 개별 작품론이 거의 없고 대개는 경기체가를 다루는 연구에 단편적으로 언급되었을 뿐이다. 곧 조선초기 경기체가의 작자층과 관련하여 신흥사대부층이 조선의 건국을 정당화하고 왕의 정통성과 절대적 명분을 밝히기 위해 경기체가를 지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상대별곡>이 다루어진 것이다.
Ⅲ. <상대별곡>의 내용
이 작품은 전체 다섯 장 중 앞의 네 장은 정격의 경기체가 형식을 따르고 있다. 그런데 마지막 장은 전혀 다른 형식을 따르고 있다. 이 같은 형식적 특징은 경기체가의 변이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제5장의 형태적 특징에 대해 이명구는 고조되는 흥에 따라 영탄조로 읊게 된 것이라 보았고(高麗歌謠의 硏究, 新雅詞, 1980, p.74), 성호주는 경기체가의 연장체로 散曲의 重頭와 대비된다고 하였으며(景幾體歌의 形成 硏究, 제일문화사, 1988, pp.85-86), 조규익은 각 장들이 병렬적이므로 마지막 장은 주제를 부각시킨 장으로 보았다(高麗俗樂歌詞景幾體歌鮮初樂章, 한샘, 1995, p.68). 그리고 최용수는 앞 장들의 사실을 요약마무리하면서 자신의 주장을 강조한 부분으로써 이러한 형태적 파격은 이후 <불우헌곡>과 <화전별곡>에서 답습되고, 다른 갈래의 악장인 <용비어천가>에도 영향을 주었다고 보았다.
이에 작품의 원문과 해석을 실어보면 다음과 같다.
1. 원문
華山南 漢水北 千年勝地
廣通橋 雲鐘街
落落長松 亭亭古栢 秋霜烏府
위 萬古淸風ㅅ景 긔 엇더니잇고
(葉) 英雄豪傑 一時人才 英雄豪傑 一時人才
위 날조차 몃분니잇고 <제1장>
鷄旣鳴 天欲曉 紫陌長堤
大司憲 老執義 臺長御史
駕鶴鸞 前呵後擁 除左右
위 上臺ㅅ景 긔 엇더니잇고
(葉)
통상적으로 권근의 작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리고 제작 년대와 관련하여서는 권근이 政堂文學兼大司憲에 제수된 定宗원년(1399)이므로, 그 후 그의 卒年인 1409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본다. 이상의 작가와 작품의 제작 년대에 대한 내용은 李明九의 高麗歌謠의 硏究(新雅社, 1973)을 참고. 한편, 최용수는 權近, <霜臺別曲>에 대하여(한국시가연구, 1997, pp402-403)에서 작품의 제작연대를 1400년 3-7월 사이의 일로 보고있다.
한편, 개별 작품론의 시도는 최용수가 처음 시도하였는데, 그는 <상대별곡>의 제작 연대를 고증하고, 형태적 특질을 살피고 난 뒤 그 문학사적인 의의를 살펴보고 있다. 최용수, 앞의 책.
이처럼 <상대별곡>은 개별 작품론이 거의 없고 대개는 경기체가를 다루는 연구에 단편적으로 언급되었을 뿐이다. 곧 조선초기 경기체가의 작자층과 관련하여 신흥사대부층이 조선의 건국을 정당화하고 왕의 정통성과 절대적 명분을 밝히기 위해 경기체가를 지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상대별곡>이 다루어진 것이다.
Ⅲ. <상대별곡>의 내용
이 작품은 전체 다섯 장 중 앞의 네 장은 정격의 경기체가 형식을 따르고 있다. 그런데 마지막 장은 전혀 다른 형식을 따르고 있다. 이 같은 형식적 특징은 경기체가의 변이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제5장의 형태적 특징에 대해 이명구는 고조되는 흥에 따라 영탄조로 읊게 된 것이라 보았고(高麗歌謠의 硏究, 新雅詞, 1980, p.74), 성호주는 경기체가의 연장체로 散曲의 重頭와 대비된다고 하였으며(景幾體歌의 形成 硏究, 제일문화사, 1988, pp.85-86), 조규익은 각 장들이 병렬적이므로 마지막 장은 주제를 부각시킨 장으로 보았다(高麗俗樂歌詞景幾體歌鮮初樂章, 한샘, 1995, p.68). 그리고 최용수는 앞 장들의 사실을 요약마무리하면서 자신의 주장을 강조한 부분으로써 이러한 형태적 파격은 이후 <불우헌곡>과 <화전별곡>에서 답습되고, 다른 갈래의 악장인 <용비어천가>에도 영향을 주었다고 보았다.
이에 작품의 원문과 해석을 실어보면 다음과 같다.
1. 원문
華山南 漢水北 千年勝地
廣通橋 雲鐘街
落落長松 亭亭古栢 秋霜烏府
위 萬古淸風ㅅ景 긔 엇더니잇고
(葉) 英雄豪傑 一時人才 英雄豪傑 一時人才
위 날조차 몃분니잇고 <제1장>
鷄旣鳴 天欲曉 紫陌長堤
大司憲 老執義 臺長御史
駕鶴鸞 前呵後擁 除左右
위 上臺ㅅ景 긔 엇더니잇고
(葉)
추천자료
권근의 시세계
조선 건국과 조선 초기의 한문학에 대한 이해와 고찰
조선전기문학 총정리
경기체가의 명칭과 개념
조선시대의문학
한국 중세문학의 성격, 한국 중세문학의 배경, 한국 중세문학 서사문학, 한국 중세문학 통일...
한국 중세문학 고려시대문학 특성,배경, 한국 중세문학 고려시대문학 가전체문학, 한국 중세...
조동일 한국문학통사(제4판) 2권 - 07, 08 (중세 후기 문학 : 제1기 고려후기, 중세 후기 문...
[한국문학개론]조선시대 전기 악장, 시조 - 조선 전기 시대의 배경과 시조 및 악장의 이해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제 4판 2권 요약 (중세후기문학 제 1기 고려후기 & 중세후기문학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