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진이의 시조(내용 주제 기존 연구 결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황진이의 시조(내용 주제 기존 연구 결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어져 내 일이야~>의 내용
2. <어져 내 일이야~>의 주제
3. 황진이 시조의 기존 연구
4. 결론

본문내용

4. 결론
1. <어져 내 일이야~>의 내용
어져 내 일이야 그릴 줄을 모로냐,
이시라 더면 가랴마 제 구야,
보고 그리 정은 나도 몰라 노라.
아, 내가 한 일이여 이렇게 그리워 할 줄을 몰랐단 말인가?
있으라고 말씀드리면 임께서 굳이 가셨겠는가?
보내놓고 나서 그리워하는 정은 나도 모르겠구나.
황진이의 이 시조는 임을 떠나보낸 후의 회한(悔恨)을 진솔하게 이야기 하고 있다. 처음에 ‘어져 내 일이야 그릴 줄을 모로냐’는 후회로 시작하고 있다. 그러면서 내가 한 일이 후회스럽다. 막상 보내 놓고 이렇게 그리울 줄을 미처 몰랐던가, 가지 말라고 붙잡았더라면 임이 굳이 떠나시려 했겠느냐마는 보내 놓고 새삼 그리워하는 마음은 스스로도 모르겠다고 이야기 하고 있다.
이 시조에는 사랑하는 마음과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자존심의 심리적 갈등이 오묘하게 나타나 있으며, 그 사랑하는 마음이 애틋하게 표현되고 있다. 겉으로는 강한 척하지만 속으로는 외롭고 약한 마음으로 임을 그리워하는 마음이 진실 되게 표현되어 있다.
특히 ‘이시라 더면 가랴마 제 구야’라는 구절은 ‘임이 구태여’나, ‘내가 구태여’로 다 해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중의적 묘미를 가진다. 그러나 어떻게 해석하든, 이별은 어쩔 수 없는 일이며, 그 책임을 굳이 따져 무엇하겠느냐는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2. <어져 내 일이야~>의 주제
임을 보내고 그리워하는 마음
3. 황진이 시조의 기존 연구
1) 황진이의 생애와 시대상황
본명은 眞이고, 기명은 명월로 시(詩) 서(書) 음률(音律)에 뛰어났다.
황진이의 문집이나 연보가 남아있지 않아 생존연대에 관하여는 아무도 아는 사람이 없다. 황진이의 생존 연대를 알리는 자료로서는 여러 가지 고증에 의하여 연산군 말경(1502년)에 나서 嘉靖초(중종 17,8년 경)에 한창 꽃다운 이름을 날리고 중종 35년(1540년)에 40세 미만의 젊은 나이에 죽은 것으로 추측하는 견해 정도이다. 김용숙, 「조선조 여류문학 연구」, (혜진서관, 1990), pp.411~430.
황진이에 대한 기록은 <於于野談>, <松都記異>, <識小錄>, <中京誌> 등 야사적 문헌에만 단편적으로 실려 있다. 그 중 황진이가 살았던 시기를 짐작할 수 있는 기록으로는 유몽인의 <於于野談>과 허균의 <識小錄>뿐인데, <於于野談>에는 嘉靖初라 했고, <識小錄>에는 恭憲王朝時代라고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책들은 모두 임진란 이후에 편찬된 것으로 황진이의 생존연대라고 기록된 嘉靖 初나 恭憲王朝보다 50년이나 뒤떨어진다.
그녀가 살았던 16세기는 훈구대신과 사림들의 대립투쟁에 의한 당쟁의 씨앗을 뿌리는 시기로 이 시기는 15세기에 강력한 중앙집권체제를 구축하였던 조선왕조가 16세기 이후 서서히 붕괴되어 갔으며 양반계급의 형성에 따른 사회이동의 시기라 할 수 있다.
출생신분에 관해서도 양반의 서녀라는 견해와 맹인의 딸이라는 견해 등 다양한데 서민층, 그것도 천한 가문의 사생아라고 추측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여성이 남성을 향해 품게 되는 연정을 읊었다고 알려진 그녀의 시에는 ‘山은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11.27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15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