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생애
1. 시대적 배경
2. 문학사적 변화 양상
3. 蘆溪의 생애
Ⅲ. 노계의 작품 세계
1. 대표적 작품 해석
가. 누항사
나. 노계가
Ⅳ. 문학사적 의의
Ⅴ. 결론
참고문헌
Ⅱ. 생애
1. 시대적 배경
2. 문학사적 변화 양상
3. 蘆溪의 생애
Ⅲ. 노계의 작품 세계
1. 대표적 작품 해석
가. 누항사
나. 노계가
Ⅳ. 문학사적 의의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때의 경험이 그의 문학의 중요한 소재가 되었다.
3) 안빈낙도의 은둔기(51~82세)
다음으로 노계의 생애에서 제 3기에 해당하는 시기인 안빈낙도의 은둔기를 소개하고자 한다. 노계는 임진왜란 중의 무부로 있던 관직을 그만두고 고향에 돌아와 자신의 삶을 돌아보면서 남아의 대사업이 문장임을 깨닫고, 선비의 본연으로 돌아가 학문에 정진하게 된다. 날이면 날마다 四書三經과 性理學에 잠겨서 먹는 것과 자는 것을 잊어버릴 정도였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꿈속에서는 주공을 만나고 성·경·충·효라는 네 자를 평생의 좌우명으로 삼아 유학자로서의 자기 수양에 힘썼다. 바로 이때부터가 유자적 생활이 시작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는데 한음 이덕형, 한강 정구, 여헌 장현광, 지산 조호익 등의 유자들과 교류하면서 성리학에 심취하였다고 전해진다.
그의 나이 51세 대에는 용진에 있는 한음을 찾아가 종유하면서 그를 대신하여 가사 『莎堤曲』을 지었으며, 또 가사 『陋巷詞』를 지어 자신의 가난하고 곤궁에 처한 생활상을 토로하기도 하였다. 또한 57세 때에는 한강과 동래 온천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대구 금호강변의 소유정에 들린 적이 있는데, 이때에는 가사 『小有亭歌』를 지었다.
그 밖에도 노계는 말년에 많은 작품을 창작하였는데 이는 말년에 (76세때) 찬술한『蘆溪集』에 수록 되어 있다.그가 말년 가까이 시기에 저술한 노계집은 3권 2책 목판본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조 24년 1800년경에 처음 펴내었고, 광무 8년 1904년에 초간본에다 내용을 약간 첨가하여 간행하였으며, 1959년에는 초간본에서 훼손된 부분을 고치고 새로 발견된 작품 몇 편을 추가하여 펴내는 등 총 세 차례에 걸쳐 간행되었다. 1권부터 2권까지 시(詩)와 기(記), 그리고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권에는 ‘가(歌)’로 분류하여 가사 7편과 시조 68편이 실려 있다. 노계집에 수록된 작품들을 살펴보자면〈태평사(太平詞)〉〈사제곡(莎堤曲)〉〈누항사(陋巷詞)〉〈조홍시가(早紅枾歌)〉〈선상탄(船上歎)〉〈독락당(獨樂堂)〉〈영남가(嶺南歌)〉〈노계가(蘆溪歌)〉〈오륜가(五倫歌)〉〈신유추여정한강욕우울산초정(辛酉秋與鄭寒岡浴于蔚山椒井)〉〈입암가(立巖歌)〉〈사친(思親)〉〈모현(慕賢)〉〈노주유거(蘆洲幽居)〉〈자경(自警)〉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끝에〈도산가(陶山歌)〉로 이루어져있다.
노계가 70세가 되던 해에는 용양위 부호군으로 우로를 받았고, 안찰사로 온 상국 이명이 노계를 독립특행지사로 계를 올려 조정의 은택을 잠시나마 받기도 하였다고 전해진다. 그리고 노계의 두 아우가 먼저 사망하고 난 이후인 74세 이후에는 『五倫歌』외 6수를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때 여헌은 노계를 가리켜 “늙고 병들었으나 發憤忘食하며 大人의 道에 두었으니 동방을 떨칠 일찍이 없었던 인재이다.”라고 극찬을 하기도 하였다. 75세 때에는 영남 안찰사의 덕치를 찬양하는 가사 『嶺南歌』를 지었고, 76세 때에는 노계곡에 유거하면서 『蘆溪歌』를 지었다고 한다. 노계 박인로는 자연을 벗하며 안빈낙도의 은둔 생활을 하다가 인조 20년(1642), 그의 나이 82세로 생애를 마쳤다.
Ⅲ. 노계의 작품 세계
1. 대표적 작품 해석
가. 누항사
노계는 조선시대 문학사상 송강고산과 함께 ‘近世 三代 詩歌人 이상보,『개고 박노계 연구』,일지사, 1962. 9쪽.
으로 인정받고 있다. 노계는 시조문학에서 시조문학의 제일인자로 일컬어지는 尹善道(1586-1671)와 비슷한 양의 작품을 남겼다. 특히 그가 죽은 이후의 『노계집』은 교훈적인 내용뿐만 아니라 웅장한 구상, 섬세한 필치와 풍부한 어휘 구사로 시가 문학사상 높은 평가를 받았고, 그를 국문학사에 뚜렷한 존재로 두드러지도록 하였다.
노계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그가 무관의 벼슬에서 물러나고 이덕형과 만남의 자리를 가질 때 찬술한 ‘누항사’를 예로 들 수 있다. 누항사의 전반적인 내용은 임진왜란 이후의 어려운 현실생활을 담아내고 있으며, 노계의 곤궁한 생활상과 안빈낙도하는 삶을 구체적이고도 사실적으로 형상화 해 놓은 작품이라 일컬을 수 있다. 누항(陋巷)이란 장소는 세속적인 공간, 즉 속세의 삶 속에서 안빈낙도를 하려 하는 곳이기에 사대부로 진급하고자 하는 열망과 자연 속의 삶과의 대립을 그려내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결국 작가 자신은 누항에서 얻는 생활에 자족하며 오륜의 세계를 지향하고자 하는 삶을 추구한다.
이 작품에서 노계는 유학자로서의 당위와 궁핍한 현실 사이에서 깊이 고심하고 있는데, 안빈낙도하는 이상적 삶을 노래하면서도 궁핍하고 누추한 현실에서 오는 갈등과 괴로움을 솔직하게 표출하고 있다. 작품 곳곳에 노계 가사의 특징인 관념적인 한문체가 기술되어 해석의 난해성이 존재하긴 하지만, 전래까지 가사에 등장하지 않았던 일상생활의 언어를 수용하여 생동감과 구체성을 획득하는 탁월함을 보여주고 있다.
조선 전기 가사와의 비교해 볼 때, 조선전기의 양반가사는 자연에 묻혀 은일생활을 하더라도 여유 있는 생활 태도와 자연 경관에 대한 찬미를 내용으로 하고 있으나, 이 작품은 자연에 은일하면서도 현실 생활의 어려움을 직시하고 그것을 사실적으로 그려냈다는 점에서 다소 차이점이 드러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이 작품은 조선 전기 양반가사의 전통을 잇고 있으면서도 상충되는 맥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임진왜란 후의 곤궁한 현실을 여유와 달관의 태도로만 치부하는 것이 아니라, 민중들의 생활상을 사실적인 시각으로 구현해 내서 기존의 강호사적 사상과는 차별화를 두고자 하는 노계의 사상을 볼 수 있다.
다음의 논의에서는 박인로의 대표적인 가사 문학으로 일컬어지는 <누항사>를 해석하고 표현양상 및 내용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작품 내에 드러나 있는 사회상과 당시 노계의 현실 및 그에 대한 인식은 어떠했는지를 추측해 보고자 한다. 다음은 <누항사>의 도입 부분이다.
어리고 우활(迂闊)산 이 우 더니 업다.
길흉화복(吉凶禍福)을 하날긔 부쳐 두고,
누항(陋巷) 깁푼 곳의 초막(草幕)을 지어 두고,
풍조우석(風朝雨夕)에 석은 딥히 셥히 되야,
셔 홉 밥 닷 홉 죽(粥)에 연기(煙氣)도 하도 할샤.
설 데인 숙냉(熟冷)애 뷘 배
3) 안빈낙도의 은둔기(51~82세)
다음으로 노계의 생애에서 제 3기에 해당하는 시기인 안빈낙도의 은둔기를 소개하고자 한다. 노계는 임진왜란 중의 무부로 있던 관직을 그만두고 고향에 돌아와 자신의 삶을 돌아보면서 남아의 대사업이 문장임을 깨닫고, 선비의 본연으로 돌아가 학문에 정진하게 된다. 날이면 날마다 四書三經과 性理學에 잠겨서 먹는 것과 자는 것을 잊어버릴 정도였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꿈속에서는 주공을 만나고 성·경·충·효라는 네 자를 평생의 좌우명으로 삼아 유학자로서의 자기 수양에 힘썼다. 바로 이때부터가 유자적 생활이 시작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는데 한음 이덕형, 한강 정구, 여헌 장현광, 지산 조호익 등의 유자들과 교류하면서 성리학에 심취하였다고 전해진다.
그의 나이 51세 대에는 용진에 있는 한음을 찾아가 종유하면서 그를 대신하여 가사 『莎堤曲』을 지었으며, 또 가사 『陋巷詞』를 지어 자신의 가난하고 곤궁에 처한 생활상을 토로하기도 하였다. 또한 57세 때에는 한강과 동래 온천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대구 금호강변의 소유정에 들린 적이 있는데, 이때에는 가사 『小有亭歌』를 지었다.
그 밖에도 노계는 말년에 많은 작품을 창작하였는데 이는 말년에 (76세때) 찬술한『蘆溪集』에 수록 되어 있다.그가 말년 가까이 시기에 저술한 노계집은 3권 2책 목판본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조 24년 1800년경에 처음 펴내었고, 광무 8년 1904년에 초간본에다 내용을 약간 첨가하여 간행하였으며, 1959년에는 초간본에서 훼손된 부분을 고치고 새로 발견된 작품 몇 편을 추가하여 펴내는 등 총 세 차례에 걸쳐 간행되었다. 1권부터 2권까지 시(詩)와 기(記), 그리고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권에는 ‘가(歌)’로 분류하여 가사 7편과 시조 68편이 실려 있다. 노계집에 수록된 작품들을 살펴보자면〈태평사(太平詞)〉〈사제곡(莎堤曲)〉〈누항사(陋巷詞)〉〈조홍시가(早紅枾歌)〉〈선상탄(船上歎)〉〈독락당(獨樂堂)〉〈영남가(嶺南歌)〉〈노계가(蘆溪歌)〉〈오륜가(五倫歌)〉〈신유추여정한강욕우울산초정(辛酉秋與鄭寒岡浴于蔚山椒井)〉〈입암가(立巖歌)〉〈사친(思親)〉〈모현(慕賢)〉〈노주유거(蘆洲幽居)〉〈자경(自警)〉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끝에〈도산가(陶山歌)〉로 이루어져있다.
노계가 70세가 되던 해에는 용양위 부호군으로 우로를 받았고, 안찰사로 온 상국 이명이 노계를 독립특행지사로 계를 올려 조정의 은택을 잠시나마 받기도 하였다고 전해진다. 그리고 노계의 두 아우가 먼저 사망하고 난 이후인 74세 이후에는 『五倫歌』외 6수를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때 여헌은 노계를 가리켜 “늙고 병들었으나 發憤忘食하며 大人의 道에 두었으니 동방을 떨칠 일찍이 없었던 인재이다.”라고 극찬을 하기도 하였다. 75세 때에는 영남 안찰사의 덕치를 찬양하는 가사 『嶺南歌』를 지었고, 76세 때에는 노계곡에 유거하면서 『蘆溪歌』를 지었다고 한다. 노계 박인로는 자연을 벗하며 안빈낙도의 은둔 생활을 하다가 인조 20년(1642), 그의 나이 82세로 생애를 마쳤다.
Ⅲ. 노계의 작품 세계
1. 대표적 작품 해석
가. 누항사
노계는 조선시대 문학사상 송강고산과 함께 ‘近世 三代 詩歌人 이상보,『개고 박노계 연구』,일지사, 1962. 9쪽.
으로 인정받고 있다. 노계는 시조문학에서 시조문학의 제일인자로 일컬어지는 尹善道(1586-1671)와 비슷한 양의 작품을 남겼다. 특히 그가 죽은 이후의 『노계집』은 교훈적인 내용뿐만 아니라 웅장한 구상, 섬세한 필치와 풍부한 어휘 구사로 시가 문학사상 높은 평가를 받았고, 그를 국문학사에 뚜렷한 존재로 두드러지도록 하였다.
노계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그가 무관의 벼슬에서 물러나고 이덕형과 만남의 자리를 가질 때 찬술한 ‘누항사’를 예로 들 수 있다. 누항사의 전반적인 내용은 임진왜란 이후의 어려운 현실생활을 담아내고 있으며, 노계의 곤궁한 생활상과 안빈낙도하는 삶을 구체적이고도 사실적으로 형상화 해 놓은 작품이라 일컬을 수 있다. 누항(陋巷)이란 장소는 세속적인 공간, 즉 속세의 삶 속에서 안빈낙도를 하려 하는 곳이기에 사대부로 진급하고자 하는 열망과 자연 속의 삶과의 대립을 그려내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결국 작가 자신은 누항에서 얻는 생활에 자족하며 오륜의 세계를 지향하고자 하는 삶을 추구한다.
이 작품에서 노계는 유학자로서의 당위와 궁핍한 현실 사이에서 깊이 고심하고 있는데, 안빈낙도하는 이상적 삶을 노래하면서도 궁핍하고 누추한 현실에서 오는 갈등과 괴로움을 솔직하게 표출하고 있다. 작품 곳곳에 노계 가사의 특징인 관념적인 한문체가 기술되어 해석의 난해성이 존재하긴 하지만, 전래까지 가사에 등장하지 않았던 일상생활의 언어를 수용하여 생동감과 구체성을 획득하는 탁월함을 보여주고 있다.
조선 전기 가사와의 비교해 볼 때, 조선전기의 양반가사는 자연에 묻혀 은일생활을 하더라도 여유 있는 생활 태도와 자연 경관에 대한 찬미를 내용으로 하고 있으나, 이 작품은 자연에 은일하면서도 현실 생활의 어려움을 직시하고 그것을 사실적으로 그려냈다는 점에서 다소 차이점이 드러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이 작품은 조선 전기 양반가사의 전통을 잇고 있으면서도 상충되는 맥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임진왜란 후의 곤궁한 현실을 여유와 달관의 태도로만 치부하는 것이 아니라, 민중들의 생활상을 사실적인 시각으로 구현해 내서 기존의 강호사적 사상과는 차별화를 두고자 하는 노계의 사상을 볼 수 있다.
다음의 논의에서는 박인로의 대표적인 가사 문학으로 일컬어지는 <누항사>를 해석하고 표현양상 및 내용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작품 내에 드러나 있는 사회상과 당시 노계의 현실 및 그에 대한 인식은 어떠했는지를 추측해 보고자 한다. 다음은 <누항사>의 도입 부분이다.
어리고 우활(迂闊)산 이 우 더니 업다.
길흉화복(吉凶禍福)을 하날긔 부쳐 두고,
누항(陋巷) 깁푼 곳의 초막(草幕)을 지어 두고,
풍조우석(風朝雨夕)에 석은 딥히 셥히 되야,
셔 홉 밥 닷 홉 죽(粥)에 연기(煙氣)도 하도 할샤.
설 데인 숙냉(熟冷)애 뷘 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