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해방과 인민위원회
2장, ‘인민민주주의 국가’ 수립과 ‘당=국’
3장, 6.25전쟁과 전시체제
4장, 전후경제복구건설과 사회주의적 개조
2장, ‘인민민주주의 국가’ 수립과 ‘당=국’
3장, 6.25전쟁과 전시체제
4장, 전후경제복구건설과 사회주의적 개조
본문내용
부족한 상황에서 산업부분 지도 역량까지 배치할 여력이 없었다는 점이다.
이런 이유로 유일관리제 실시가 늦어졌다.
- 이질적 요소 때문에 김일성을 중심으로 한 만주파는 당내 의사결집 과정을 생략하고 직접 인민위원회와 군을 장악했다고 본다.
- 이러한 이유들로 북한은 체제 성립과정에서 소련, 중국 등 다른 사회주의 국가들과 상당히 다른 특수성을 드러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여러 북한내 움직임들이 소련군의 만주파 지원이라는 조건속에서 나타난 건국 초기의 과도기적 특성인지, 아니면 당내 의사결집보다는 어느 한 인물과 계파가 주요 사안을 주도하는 북한체제의 속성이 이미 이 시기에 형성된 것으로 보아야 하는지, 좀 더 진전된 논의가 요구된다고 본다.
3장, 6.25전쟁과 전시체제
- 3장에서는 6.25전쟁과 이후 박헌영과 남로파 숙청이 북한 내부의 사정만이 아니라 소련과 중국의 변수를 고려하여 설명하고 있다.
6.25전쟁은 1950년 38선 전 지역에 걸쳐 조선인민군이 전면공격을 개시함으로써 발발하였으며, 전쟁 발발 과정에서 주동자는 김일성과 박헌영이었다.
※ 1950.6.26. 최고인민위원회 상임위원회는 군사위원회를 조직하고 전체 인민과 사회단체 및 군사기관은 그 결정과 지시에 복종해야 한다고 결정하였고, 1953.7.4. 최고인민회의 결정에 따라 김일성이 인민군 최고 사령관이 되었다.
- 6.25전쟁 발발 3일만에 인민군을 서울을 장악하였고, 6.27. 미국과 유엔의 결의에 따라 7.7. 유엔군 사령부의 설치가 결정되어 구제전의 양상을 띠게 된다.
※ 1)1950.9.15. 맥아더 장군의 인천상륙작전으로 서울탈환과 함께 전세를 역전
2)1950.10.25. 주국군의 참전으로 전황은 다시 역전
- 미군참전으로 인한 후퇴 등으로 군내에서 김일성의 위치는 일시적으로 동요했지만, 김일성은 오히려 변화를 극복하고 권력기반을 공고히 하는 기회로 삼았다.
※ 당시 북조선의 군인과 인민들은 김일성을 세계 최강제국주의 세력과 대결하는 상징적인 인물로 칭송하였다.
전쟁과정에서 스탈린과 마오쩌뚱은 박헌영보다는 김일성과 의견을 공유하는 부분이 많았고, 박헌영이 남한의 빨치산 부대를 의식하여 휴전에 소극적이었던 데 반해 김일성은 휴전에 적극적이었고, 이에 동의하는 중국이 스탈린식 숙청재판을 양해했다는 설명이다.
- 남로당파의 숙청은 조선로동당의 주요 구성 정파 중 하나를 제거하고, 정전의 주요 장애를 제거해 주었으며, 군사적 의미로는
이런 이유로 유일관리제 실시가 늦어졌다.
- 이질적 요소 때문에 김일성을 중심으로 한 만주파는 당내 의사결집 과정을 생략하고 직접 인민위원회와 군을 장악했다고 본다.
- 이러한 이유들로 북한은 체제 성립과정에서 소련, 중국 등 다른 사회주의 국가들과 상당히 다른 특수성을 드러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여러 북한내 움직임들이 소련군의 만주파 지원이라는 조건속에서 나타난 건국 초기의 과도기적 특성인지, 아니면 당내 의사결집보다는 어느 한 인물과 계파가 주요 사안을 주도하는 북한체제의 속성이 이미 이 시기에 형성된 것으로 보아야 하는지, 좀 더 진전된 논의가 요구된다고 본다.
3장, 6.25전쟁과 전시체제
- 3장에서는 6.25전쟁과 이후 박헌영과 남로파 숙청이 북한 내부의 사정만이 아니라 소련과 중국의 변수를 고려하여 설명하고 있다.
6.25전쟁은 1950년 38선 전 지역에 걸쳐 조선인민군이 전면공격을 개시함으로써 발발하였으며, 전쟁 발발 과정에서 주동자는 김일성과 박헌영이었다.
※ 1950.6.26. 최고인민위원회 상임위원회는 군사위원회를 조직하고 전체 인민과 사회단체 및 군사기관은 그 결정과 지시에 복종해야 한다고 결정하였고, 1953.7.4. 최고인민회의 결정에 따라 김일성이 인민군 최고 사령관이 되었다.
- 6.25전쟁 발발 3일만에 인민군을 서울을 장악하였고, 6.27. 미국과 유엔의 결의에 따라 7.7. 유엔군 사령부의 설치가 결정되어 구제전의 양상을 띠게 된다.
※ 1)1950.9.15. 맥아더 장군의 인천상륙작전으로 서울탈환과 함께 전세를 역전
2)1950.10.25. 주국군의 참전으로 전황은 다시 역전
- 미군참전으로 인한 후퇴 등으로 군내에서 김일성의 위치는 일시적으로 동요했지만, 김일성은 오히려 변화를 극복하고 권력기반을 공고히 하는 기회로 삼았다.
※ 당시 북조선의 군인과 인민들은 김일성을 세계 최강제국주의 세력과 대결하는 상징적인 인물로 칭송하였다.
전쟁과정에서 스탈린과 마오쩌뚱은 박헌영보다는 김일성과 의견을 공유하는 부분이 많았고, 박헌영이 남한의 빨치산 부대를 의식하여 휴전에 소극적이었던 데 반해 김일성은 휴전에 적극적이었고, 이에 동의하는 중국이 스탈린식 숙청재판을 양해했다는 설명이다.
- 남로당파의 숙청은 조선로동당의 주요 구성 정파 중 하나를 제거하고, 정전의 주요 장애를 제거해 주었으며, 군사적 의미로는
추천자료
북한경제의 변천과정과 경제 협력 및 통합방안
북조선사회주의체제성립사 - 전후경제복구건설과 사회주의적 개조(1953~1958) , ‘국가사회주...
[북한의 사회정책론] 북조선 사회주의 체제 성립사- 제4장 전후경제 복구 건설과 사회주의적...
[북한연구 주요 저작] - 북조선 사회주의체제 성립사 서평 (3-4장)
북한연구주요저작강독 - 북조선사회주의체제성립사 1945~1961 (제3장 제4장) - 사회주의적 개조
북조선사회주의체제 성립사 3~5장 - 전후경제복구건설 사회주의적 개조 국가사회주의 당의 일...
북조선사회주의체제 성립사 12장 - 유일관리제의 실시 당군 관계 토지개혁의 결정과정
북한연구주요저작강독 - 북조선사회주의체제성립사 - 1945 ~ 1961 (34장) - 김일성 단독체제 ...
북조선 사회주의체제 성립사 1945-1961 3장~4장 - 625 전쟁과 전시체제 전후 경제복구건설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