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동리․목월 문학관을 선정하면서
2. 김동리 선생과 박목월 선생
3. 문학 세계
4. 자료를 정리하면서
2. 김동리 선생과 박목월 선생
3. 문학 세계
4. 자료를 정리하면서
본문내용
시는 ‘자연’과 ‘향토적 정서’를 특색으로 하고 있다. 목월의 초기 시에 나타난 ‘향토적 정서’는 고향 경주의 문화재와 자연환경을 통해 형상화된다. 목월은 산문 「나와 청록집 시절」에서 당시의 심정을 회상한다.
“나는 늘 혼자였다. 사무가 끝나면 거리로 나왔다. 거리랬자 5분만 거닐면 거닐 곳이 없었다. 반월성으로, 오릉으로, 남산으로, 분황사로 돌아다녔다. 실로 내가 벗할 것이란 황폐한 고도의 산천과 하늘뿐이었다.”
이 태어난 고장 경주가 한국 혼을 상징하는 공간이기 때문이었다.
다) 동시의 세계
1933년 봄, 박목월은 잡지『어린이』에「통딱딱 통짝짝」을 발표 한다. 그 해 6월에는『신가정』에「제비맞이」가 당선되면서 본격 적인 동시 창작을 시작한다.
1946년 4월, 조선청년문학가협회의 아동부원으로, 그리고 조선아동 회의 기관지『아동』창간을 주재하는 등 해방 후 아동문단 형성에 진력하였다.
또한 동시집『동시집』(1946)『초록별』(1946) 『호랑나비』(1946) 『산새알 물새알』등의 창작동시와 동화집『눈이 큰 아이』(1978)를 간행하는 등 지속적으로 창작 활동을 한다.
그의 동시들은 유년지향의 시, 생명지향의 시, 향수의 시, 동시 언어의 확대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4. 자료를 정리하면서
근현대의 가장 대표적인 작가 중 두 명의 자료를 정리하다 보니 그들의 작품이 새삼스러워졌다. 김춘수의 ‘꽃’에서처럼 그들의 작품에 나름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아직까지 제목이나 내용만 알고 제대로 읽어보지 못한 것들도 있다. 이번 기회를 계기로 이들의 작품을 찾아서 읽어보도록 해야겠다.
“나는 늘 혼자였다. 사무가 끝나면 거리로 나왔다. 거리랬자 5분만 거닐면 거닐 곳이 없었다. 반월성으로, 오릉으로, 남산으로, 분황사로 돌아다녔다. 실로 내가 벗할 것이란 황폐한 고도의 산천과 하늘뿐이었다.”
이 태어난 고장 경주가 한국 혼을 상징하는 공간이기 때문이었다.
다) 동시의 세계
1933년 봄, 박목월은 잡지『어린이』에「통딱딱 통짝짝」을 발표 한다. 그 해 6월에는『신가정』에「제비맞이」가 당선되면서 본격 적인 동시 창작을 시작한다.
1946년 4월, 조선청년문학가협회의 아동부원으로, 그리고 조선아동 회의 기관지『아동』창간을 주재하는 등 해방 후 아동문단 형성에 진력하였다.
또한 동시집『동시집』(1946)『초록별』(1946) 『호랑나비』(1946) 『산새알 물새알』등의 창작동시와 동화집『눈이 큰 아이』(1978)를 간행하는 등 지속적으로 창작 활동을 한다.
그의 동시들은 유년지향의 시, 생명지향의 시, 향수의 시, 동시 언어의 확대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4. 자료를 정리하면서
근현대의 가장 대표적인 작가 중 두 명의 자료를 정리하다 보니 그들의 작품이 새삼스러워졌다. 김춘수의 ‘꽃’에서처럼 그들의 작품에 나름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아직까지 제목이나 내용만 알고 제대로 읽어보지 못한 것들도 있다. 이번 기회를 계기로 이들의 작품을 찾아서 읽어보도록 해야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