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박지원의 생애
Ⅱ. 작품의 이해
Ⅲ. <호질> 분석
1) 호질의 구성
2) 호질을 얻은 경위
3) 우언(寓言)과 패러디
4) 호질의 기본구조
5) 호질의 해학성
Ⅳ. 고소설의 특성
1) 형태상의 특성
2) 내용상의 특성
Ⅴ. 참고문헌
Ⅱ. 작품의 이해
Ⅲ. <호질> 분석
1) 호질의 구성
2) 호질을 얻은 경위
3) 우언(寓言)과 패러디
4) 호질의 기본구조
5) 호질의 해학성
Ⅳ. 고소설의 특성
1) 형태상의 특성
2) 내용상의 특성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경이 주로 중국이라는 점, 그 밖에 권선징악적인 주제를 취하고 있는 점 등의 내용상 특성과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특성:1)인 물, 2)사 건, 3)배 경, 4)주제의 공통성으로 분류 한다.
1) 인물
고소설에 등장하는 인물은 대게 전형적인 인물이다. 전형이란 성격의 어느 한 면이 몹시 강조되어 그 특성이 성격을 지배할 때 이루어진다.
상사병에 걸린 남자, 방탕한 여자, 모사꾼, 극도로 우유부단한 남자, 지독한 수전노, 사기꾼, 방랑자 등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
르네 웰렉의 분류: 보편적 전형과 개별적 전형
보편적 전형: 인간의 한 특정한 성격이 부각된 경우이고, 시공을 초월하여 그 성격이 폭넓게
인정을 받은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면
햄릿, 샤일록 등이 이에 해당될 것이다.
고소설의 경우에는 한 지아비만을 섬기는 春香,
지극히 마음씨 착한 흥부와 수전노의 대명사인 놀부
부모에게 효성을 다하는 심청이 등이 보편적 전형이다.
개별적 전형: 한 특수한 시대를 대표하거나, 그 시대상을 반영하는 인물을 말 한다.
2) 사건
근대소설이나 현대소설은 인물의 행위 위주로 스토리가 전개되고, 주인공의 행동에 의해 복잡한 플롯이 형성되는 데 반해, 고소설은 사건중심의 이야기로 일관되어 있다. 고소설에서는 사건 자체에서 유래하는 발견이 중시. 시간적으로는 선조적(線條的)인 전개과정을 보여주게 된다.
3) 배경
대부분의 고소설은 지리적 배경으로 중국을 취하고 있는데, 그 이유를 천태 산인은 다음과 같이 설명
①중국문화에 대한 도취(陶醉)에 빠진 결과
②독자들이 중국의 인문과 지리에 익숙지 못함을 이용함
③이국(異國)의 정취(情趣)를 이용하여 독자들의 호기심을 유발하기 위함
④궁중생활과 귀족들이 횡포를 부리는 모습을 정면으로 그대로 쓸 수가 없음 으로 풍자를 하기 위하여 중국의 궁정과 귀족을 차용함
4) 주제의 공통성
고소설은 주제가 유형성을 지닌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즉, 거의 대부분의 소설이 권선징악적(勸善懲惡的) 주제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조선시대가 유교적인 이념과 윤리의식을 강조하던 시대라는 점
-조선의 양반 사대부들이 이러한 유교적 이데올로기를 현실정치나 가정생활 등에서 몸소 실천하려고 노력했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가장 많이 창작된 영웅소설과 역사소설은 군왕에 대한 충성을 강조하는 내용
-부모에 대한 효를 내세우는 소설로는 논리소설이 있다.
-애정소설은 남여간의 난잡한 연애담이 아닌 한 여자가 한 남성만을 섬겨야 한다는 열(烈) 사상을 밑바탕에 깔고 있다.
-가정 내의 갈등과 모순 해소를 위해 가정소설이
-사회의 모순과 왜곡된 현실을 개조해 보려는 움직임에 의해 사회소설이 각각 창작되었다.
Ⅴ. 참고 문헌
김택영 <燕巖集> 重編燕岩先生文集 韶濩堂集
김영동 <박지원소설연구> 태학사 1988
이가원 <李朝漢文小說選> 민중서관, 1961
이우성 ‘<虎叱>의 作者와 主題’ (創作과 批評 11, 1968)
이재수 <한국소설연구> 宣明文化社, 1969
장덕순 <한국문학사의쟁점> 집문당 1986
*특성:1)인 물, 2)사 건, 3)배 경, 4)주제의 공통성으로 분류 한다.
1) 인물
고소설에 등장하는 인물은 대게 전형적인 인물이다. 전형이란 성격의 어느 한 면이 몹시 강조되어 그 특성이 성격을 지배할 때 이루어진다.
상사병에 걸린 남자, 방탕한 여자, 모사꾼, 극도로 우유부단한 남자, 지독한 수전노, 사기꾼, 방랑자 등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
르네 웰렉의 분류: 보편적 전형과 개별적 전형
보편적 전형: 인간의 한 특정한 성격이 부각된 경우이고, 시공을 초월하여 그 성격이 폭넓게
인정을 받은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면
햄릿, 샤일록 등이 이에 해당될 것이다.
고소설의 경우에는 한 지아비만을 섬기는 春香,
지극히 마음씨 착한 흥부와 수전노의 대명사인 놀부
부모에게 효성을 다하는 심청이 등이 보편적 전형이다.
개별적 전형: 한 특수한 시대를 대표하거나, 그 시대상을 반영하는 인물을 말 한다.
2) 사건
근대소설이나 현대소설은 인물의 행위 위주로 스토리가 전개되고, 주인공의 행동에 의해 복잡한 플롯이 형성되는 데 반해, 고소설은 사건중심의 이야기로 일관되어 있다. 고소설에서는 사건 자체에서 유래하는 발견이 중시. 시간적으로는 선조적(線條的)인 전개과정을 보여주게 된다.
3) 배경
대부분의 고소설은 지리적 배경으로 중국을 취하고 있는데, 그 이유를 천태 산인은 다음과 같이 설명
①중국문화에 대한 도취(陶醉)에 빠진 결과
②독자들이 중국의 인문과 지리에 익숙지 못함을 이용함
③이국(異國)의 정취(情趣)를 이용하여 독자들의 호기심을 유발하기 위함
④궁중생활과 귀족들이 횡포를 부리는 모습을 정면으로 그대로 쓸 수가 없음 으로 풍자를 하기 위하여 중국의 궁정과 귀족을 차용함
4) 주제의 공통성
고소설은 주제가 유형성을 지닌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즉, 거의 대부분의 소설이 권선징악적(勸善懲惡的) 주제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조선시대가 유교적인 이념과 윤리의식을 강조하던 시대라는 점
-조선의 양반 사대부들이 이러한 유교적 이데올로기를 현실정치나 가정생활 등에서 몸소 실천하려고 노력했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가장 많이 창작된 영웅소설과 역사소설은 군왕에 대한 충성을 강조하는 내용
-부모에 대한 효를 내세우는 소설로는 논리소설이 있다.
-애정소설은 남여간의 난잡한 연애담이 아닌 한 여자가 한 남성만을 섬겨야 한다는 열(烈) 사상을 밑바탕에 깔고 있다.
-가정 내의 갈등과 모순 해소를 위해 가정소설이
-사회의 모순과 왜곡된 현실을 개조해 보려는 움직임에 의해 사회소설이 각각 창작되었다.
Ⅴ. 참고 문헌
김택영 <燕巖集> 重編燕岩先生文集 韶濩堂集
김영동 <박지원소설연구> 태학사 1988
이가원 <李朝漢文小說選> 민중서관, 1961
이우성 ‘<虎叱>의 作者와 主題’ (創作과 批評 11, 1968)
이재수 <한국소설연구> 宣明文化社, 1969
장덕순 <한국문학사의쟁점> 집문당 198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