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 현실극복의지의 시가 - 청산별곡 - 장암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시가론 - 현실극복의지의 시가 - 청산별곡 - 장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현실극복의지의 시가
고려속요는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쓰여졌다. 남녀상열과 현실비판을 주제로 한 것도 있고 가장 보편적 정서인 사랑과 이별을 다룬 것도 있다. 또한 사친의 문제, 주술등을 주제로 한 것도 있는데 지금부터 살펴보고자 하는 것을 현실극복의지를 다룬 속요이다.
Ⅰ 청산별곡
<청산별곡>은 현실극복의지를 다루고 있다기보다는 현실도피적 성향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것은 해석의 차이이므로 어느 것이 맞다고 말할 수는 없다. 먼저 청산별곡의 전반적 내용을 살펴보고 해석의 차이에 따른 현실극복의지를 탐구하고자 한다.
<청산별곡>은 작자와 연대가 미상이며 전체가 8연으로 이루어져 있다. <악장가사>에 그 전문이 실려 전하고, <시용향악보>에는 곡조와 제1연 만이 실려 전할뿐이다. 고려가요 중에서 <청산별곡>은 비교적 많은 학자들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는 <청산별곡>의 문학적 우수성을 말해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많은 학자들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난해어에 대한 미해결, 주제, 작자, 창작시기 등에 대해 명확히 밝혀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사실은 이 작품에 관하여 참고할 방증 기록이 없기 때문에, <청산별곡>은 어차피 작품에만 의존하여 풀이할 수밖에 없고, 따라서 작품을 보는 시각과 분석하는 방법론에 따라 작품전체의 해석이나 어휘의 해석 등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데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겠다.
여기서는 이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청산별곡>의 제작 시기, 작자와 주제의 문제, 작품의 구조와 율격의 문제, 작품전체의 해석과 어석의 문제 등을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통해 두루 살펴보고, 이것을 바탕으로 작품을 분석해보자.
1. 청산별곡 원문
<청산별곡〉은 「樂章歌詞」에 전문이 전하고 「時用鄕樂譜」에는 곡조(平調)와 1연이 실려 있으며 「樂學便考」에 「靑山別曲八曲」이라는 이름으로 전문이 실려 있는데 「악장가사」의 내용과 큰 차이가 없다. 「악장가사」,「시용향악보」,「악학편고」모두가 가사의 내용만 실려 있을 뿐 어느 문헌에도 이 작품에 대한 문학적 성격 규명에 도움이 될만한 정보를 찾아 볼 수가 없다. 원문은 다음과 같다.
★ 時用鄕樂譜所載- <靑山別曲(平調)>
★ 樂章歌詞 所載 - <靑山別曲>
① 살어리 살어리 랏다
靑山애 살어리 랏다
멀위랑 래랑 먹고
청산애 살어리 랏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⑤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9.03.2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23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