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살의 개념
2.자살 유형
3.청소년 자살
4.청소년 자살 유형
5. 청소년 자살의 실태
-출처
2.자살 유형
3.청소년 자살
4.청소년 자살 유형
5. 청소년 자살의 실태
-출처
본문내용
가정불화가 심한 청소년, 성적이 갑자기 떨어진 학생, 입시실패자 등이다.
(2)지지체계의 개발과 유지
자살은 궁극적으로 절망감과 누구도 나를 도울 수 없다는 궁극적 무기력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어떤 형태로든 정서적 지지체계가 제 기능을 하고 있다면 자살을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면 교회나 지역사회단체도 또 하나의 자원이다. 청소년을 위한 건전 놀이시설 확보, 청소년 상담기구 확보 등이 시급하다.
(3)매스컴을 통한 자살에 대한 인식의 전환
언론은 청소년의 자살을 보도할 경우, 그 자살이 마치 사회적인 요인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이루어진 것, 즉 자살자가 희생자라는 태도나 동정적인 태도는 철저히 배제해야 한다. 자살에 대해 인간 생명 존엄성의 포기라는 가치의 측면과 자살이란 자기 생명에 대해 자기 스스로가 포기하고 책임을 회피하는 것이라는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다루어야만 모방 심리에 희한 충동적인 자살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앞장서 자살의 비윤리성과 모순성, 생명의 존엄성, 인생 경력의 다양한 선택, 인생 문제의 의미와 다양한 해결방안 제시, 자살충동을 이겨낸 성공 사례 등을 통해 자살 예방을 위한 사회분위기와 인식의 전환을 유도해야 한다.
(4) 지역사회 예방기구
미국에서는 일정한 행정구역 단위별로 ‘자살예방센터’가 운영되고 있으나, 한국에서는 보건 복지부 ‘콜센터 129’와 사회복지 법인인 ‘생명의 전화 1588-9191’과 자살예방센터 상담전화 ‘블루터치 핫라인(1577-0199)’ 같은 몇몇 봉사단체들이 전화 상담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자살 위기에 처한 청소년들이 도움을 쉽게 받을 수 있게 지역사회기구가 별도로 마련되거나 관련 기관을 체계화하고 경찰, 상담사, 사회복지사, 간호사, 의사 등이 전문적인 정신보건 전문요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위기 개입에도 관여할 필요가 있다.
5) 법제도적 대처방안
(1) 자살 도구의 제도적 규제
자살을 예방하는 가장 고전적인 방법으로 자살에 이용될 수 있는 방법이나 수단을 제한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특히 청소년들의 자살은 충동적으로 일어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청소년 자살에 이용될 수 있는 도구에 대해 제도적 규제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자살의 원인이 되는 향정신성 물질이나 독극물의 유통과정에 대한 감독 관리체계의 강화를 들 수 있다.
(2) 가정-학교-상담전문기관 및 의료기관의 협조체제의 제도화
국가주도의 청소년 자살예방 프로그램 개발, 관련 전문상담사, 사회복지사, 보건교사, 의료전문가 등 전문가들의 연계 및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지침의 개발·운영·관리가 중요하다고 제안한다.
6) 자살 예방 프로그램
(1) 위기 상담
자살 예방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위기 상황에 개입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전화 상담과 사이버상담이 있다. 이를 통해 고민과 갈등, 위기와 자살 등을 상담하며 정신건강을 위해 스트레스 관리방법을 교육하는 역할을 하며 언제라도 도움을 줄 수 있도록 24시간 운영되어진다.
(2) 예방 교육
학생, 부모, 교사 등을 대상으로 청소년 자살의 심각성에 대해 인식을 증가시키고, 프로그램 참가자들이 자살 위험성이 높은 청소년을 식별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관련기관 등에 관해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시키는 것이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은 청소년 자살의 현황, 자살자의 경고적 징후, 우울의 증상, 지역사회 관련기관의 목록, 동료와의 상담 기술, 자살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보이는 동료를 발견하였을 때의 행동 요령 등에 관한 교육과 토의 등을 통해 자살을 예방한다.
<출처>
● 인터넷
- http://cafe.naver.com/psyad/259
- http://fadad.tistory.com/1130 http://mybox.happycampus.com/b6674323/1996212/?agent_type=naver
- http://www.naeil.com/News/economy/ViewNews.asp?nnum=657874&sid=E&tid=4
- http://mbceconomy.com/detail.php?number=1179&thread=26r06
http://www.datanews.co.kr/site/datanews/DTWork.asp?itemIDT=1002851&aID=20060512123420942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74398&yy=2011
http://mbceconomy.com/detail.php?number=1179&thread=26r06
- http://blog.daum.net/popovj/98
- http://cafe.naver.com/psyad/259
- 자살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작성자 마음 수리공
- 2012 청소년 통계:가장 큰 고민은 공부와 직업, 자살 충동요인 1위 … 성적 (에듀베리)
- 스트레스가 쌓이면 자살충동도...... (한국스트레스코치협회)|작성자sm118722
- 학생자살 예방교육 및 위기관리 (송도고등학교 또래상담부 休)|작성자라이론킹
● 논문
- 최윤정(2012) :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 작용하는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 청소년의 우울, 사회적지지,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강성옥 (2011) 국회도서관
- 청소년 자살생각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김정은 (2009) 국회도서관 실태
- 학교위험요인이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Baumeister의 도피이론(Escape Theory)모형의 검증을 통해 = The Effects of School risk factors on Suicide Ideation in Adolescence-With a test the Baumeister\' Escape Theory Model- 박재숙
- 청소년 자살시도 위험요인에 대한 고찰 김현실
● 국내학술지
- 학술지명 : 미래청소년학회지 저자명 : 임영식
- 청소년의 자살행동 연구 저자명: 한국청소년상담원 학술지명:청소년상담문제연구보고서
(2)지지체계의 개발과 유지
자살은 궁극적으로 절망감과 누구도 나를 도울 수 없다는 궁극적 무기력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어떤 형태로든 정서적 지지체계가 제 기능을 하고 있다면 자살을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면 교회나 지역사회단체도 또 하나의 자원이다. 청소년을 위한 건전 놀이시설 확보, 청소년 상담기구 확보 등이 시급하다.
(3)매스컴을 통한 자살에 대한 인식의 전환
언론은 청소년의 자살을 보도할 경우, 그 자살이 마치 사회적인 요인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이루어진 것, 즉 자살자가 희생자라는 태도나 동정적인 태도는 철저히 배제해야 한다. 자살에 대해 인간 생명 존엄성의 포기라는 가치의 측면과 자살이란 자기 생명에 대해 자기 스스로가 포기하고 책임을 회피하는 것이라는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다루어야만 모방 심리에 희한 충동적인 자살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앞장서 자살의 비윤리성과 모순성, 생명의 존엄성, 인생 경력의 다양한 선택, 인생 문제의 의미와 다양한 해결방안 제시, 자살충동을 이겨낸 성공 사례 등을 통해 자살 예방을 위한 사회분위기와 인식의 전환을 유도해야 한다.
(4) 지역사회 예방기구
미국에서는 일정한 행정구역 단위별로 ‘자살예방센터’가 운영되고 있으나, 한국에서는 보건 복지부 ‘콜센터 129’와 사회복지 법인인 ‘생명의 전화 1588-9191’과 자살예방센터 상담전화 ‘블루터치 핫라인(1577-0199)’ 같은 몇몇 봉사단체들이 전화 상담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자살 위기에 처한 청소년들이 도움을 쉽게 받을 수 있게 지역사회기구가 별도로 마련되거나 관련 기관을 체계화하고 경찰, 상담사, 사회복지사, 간호사, 의사 등이 전문적인 정신보건 전문요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위기 개입에도 관여할 필요가 있다.
5) 법제도적 대처방안
(1) 자살 도구의 제도적 규제
자살을 예방하는 가장 고전적인 방법으로 자살에 이용될 수 있는 방법이나 수단을 제한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특히 청소년들의 자살은 충동적으로 일어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청소년 자살에 이용될 수 있는 도구에 대해 제도적 규제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자살의 원인이 되는 향정신성 물질이나 독극물의 유통과정에 대한 감독 관리체계의 강화를 들 수 있다.
(2) 가정-학교-상담전문기관 및 의료기관의 협조체제의 제도화
국가주도의 청소년 자살예방 프로그램 개발, 관련 전문상담사, 사회복지사, 보건교사, 의료전문가 등 전문가들의 연계 및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지침의 개발·운영·관리가 중요하다고 제안한다.
6) 자살 예방 프로그램
(1) 위기 상담
자살 예방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위기 상황에 개입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전화 상담과 사이버상담이 있다. 이를 통해 고민과 갈등, 위기와 자살 등을 상담하며 정신건강을 위해 스트레스 관리방법을 교육하는 역할을 하며 언제라도 도움을 줄 수 있도록 24시간 운영되어진다.
(2) 예방 교육
학생, 부모, 교사 등을 대상으로 청소년 자살의 심각성에 대해 인식을 증가시키고, 프로그램 참가자들이 자살 위험성이 높은 청소년을 식별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관련기관 등에 관해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시키는 것이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은 청소년 자살의 현황, 자살자의 경고적 징후, 우울의 증상, 지역사회 관련기관의 목록, 동료와의 상담 기술, 자살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보이는 동료를 발견하였을 때의 행동 요령 등에 관한 교육과 토의 등을 통해 자살을 예방한다.
<출처>
● 인터넷
- http://cafe.naver.com/psyad/259
- http://fadad.tistory.com/1130 http://mybox.happycampus.com/b6674323/1996212/?agent_type=naver
- http://www.naeil.com/News/economy/ViewNews.asp?nnum=657874&sid=E&tid=4
- http://mbceconomy.com/detail.php?number=1179&thread=26r06
http://www.datanews.co.kr/site/datanews/DTWork.asp?itemIDT=1002851&aID=20060512123420942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74398&yy=2011
http://mbceconomy.com/detail.php?number=1179&thread=26r06
- http://blog.daum.net/popovj/98
- http://cafe.naver.com/psyad/259
- 자살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작성자 마음 수리공
- 2012 청소년 통계:가장 큰 고민은 공부와 직업, 자살 충동요인 1위 … 성적 (에듀베리)
- 스트레스가 쌓이면 자살충동도...... (한국스트레스코치협회)|작성자sm118722
- 학생자살 예방교육 및 위기관리 (송도고등학교 또래상담부 休)|작성자라이론킹
● 논문
- 최윤정(2012) :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 작용하는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 청소년의 우울, 사회적지지,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강성옥 (2011) 국회도서관
- 청소년 자살생각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김정은 (2009) 국회도서관 실태
- 학교위험요인이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Baumeister의 도피이론(Escape Theory)모형의 검증을 통해 = The Effects of School risk factors on Suicide Ideation in Adolescence-With a test the Baumeister\' Escape Theory Model- 박재숙
- 청소년 자살시도 위험요인에 대한 고찰 김현실
● 국내학술지
- 학술지명 : 미래청소년학회지 저자명 : 임영식
- 청소년의 자살행동 연구 저자명: 한국청소년상담원 학술지명:청소년상담문제연구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