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 우즈베키스탄의 개요
2. 지연연구 목적(문제 제기)
3. 연구방법
Ⅱ 본론
1. 우즈베키스탄의 역사
2. 우즈베키스탄의 정치
3. 우즈베키스탄의 경제
4. 우즈베키스탄의 사회·문화
Ⅲ 결론
우리가 보는 우즈베키스탄의 성장 가능성
Ⅳ 참고문헌
1. 우즈베키스탄의 개요
2. 지연연구 목적(문제 제기)
3. 연구방법
Ⅱ 본론
1. 우즈베키스탄의 역사
2. 우즈베키스탄의 정치
3. 우즈베키스탄의 경제
4. 우즈베키스탄의 사회·문화
Ⅲ 결론
우리가 보는 우즈베키스탄의 성장 가능성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마나 배꼽이 보이는 셔츠를 입는가 하면, 한편에서는 트레이닝 바지와 양복 윗도리를 함께 입기도 한다.
② 식(食)문화
우즈베키스탄인 들의 주식은 빵, 양고기, 소고기, 닭고기 및 채소류이며 식사 때마다 차를 같이 한다. 밀로 만든 음식을 주식으로 하며, 하루 세끼 모두 \'논\'(밀가루 반죽을 발효시켜 구운 딱딱한 빵)을 먹는다. 이들이 즐겨 먹는 것은 \'좌반\'(양고기, 무, 건포도 등을 함께 섞은 밥)이며, 소, 양, 말고기와 요구르트, 버터, 치즈 등 유제품을 잘 먹는다. 차와 각종 과일로 만든 과즙도 즐겨 마신다. 우즈베키스탄인의 주요 식료품은 감자, 곡물 등 채식의 소비가 전체 식품소비의 57%를 차지한다. 전반적으로 육류의 가격은 다른 식품에 비해 높은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인접한 카자흐스탄과 키르기즈스탄으로부터 수입이 축소된 이후 만성적인 공급량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인 이 최고로 꼽는 음식은 \'쿨다크\'라는 요리인데, 이것은 감자와 양파를 다지고 잘게 썰어 양고기나 말고기로 버무려 아이들 주먹만 하게 만들어 솥에 삶은 뒤 끄집어내어 꿀이나 설탕에 찍어 먹는 음식이다.
③ 주(住) 문화
과거 우즈베키스탄 사람들이 유목 생활을 할 때는 유르트(yurts)라고 불리는 동물의 모피로 만든 원형의 이동식 천막에 살았다. 현재 우즈베키스탄 시골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평범한 진흙 벽돌집과 현관 쪽으로 열려 있는 개인 방들이 딸린 긴 장방형의 가옥에 살고 있다. 주택은 대부분 정원이 딸려 있는 2층 이상의 집이거나 단층집이다. 실내 장식은 다른 이슬람권 국가와 마찬가지로 바닥과 벽에 양탄자를 장식한다. 도시의 주거 문화는 침대 문화이지만 식사나 연 회시에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바닥에 음식을 차리고 먹는 경우가 많으며, 전통 가옥에는 방과 거실 등에 벽지를 사용하지 않고 카펫을 이용하여 벽을 치장하거나 바닥에 까는데 사용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의 집들은 겨울에는 온수 라디에타에 의한 난방을 주로 이용하나 한겨울에는 만족할만한 수준이 되지 못하고 있다. 무더운 여름 날씨 때문에 웬만한 집에는 에어컨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창문형 에어컨을 설치하는데 우즈베키스탄 생산품이 없어 러시아제를 사용하고 있지만 냉매 불량이 30%이상을 이루고 있어 대부분 한국이나 서방의 수입품을 사용하고 있다. 주택 사정은 러시아인들의 이주 때문에 양호한 편이다. 구소련 체제에서 주택정책은 국가소유의 주택비율이 매우 높았지만, 1992년 사유화법이 적용되면서 개인의 주택에 대한 사유화가 급속하게 진행되어 개인 소유의 주택이 늘어나고 있다. 1992년 이후 신축되는 아파트의 대부분이 시민들의 개인소유로 분양되었다. 특히 전쟁유공자, 의사, 과학자, 교사, 예술가연맹의 회원들에게는 무상으로 양도 되었다. 국영아파트에 대한 임대료는 총관리비의 20% 수준으로 비교적 저렴한 수준으로 임대되고, 나머지 부문은 국가 보조금으로 충당된다. 그러나 전반적인 기존의 국영 주택 시설은 낙후된 형편이어서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주택으로의 이전을 희망하고 있다.
Ⅲ 결론
우리가 보는 우즈베키스탄의 성장 가능성
우즈베키스탄은 브릭스(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를 뒤이을 신흥국으로서 언급이 될 만큼 충분한 경제 발전을 이루고 있는 상황이며, 정부 주도하에 미비한 산업에 대한 장기적인 프로젝트를 수행 중이기에 앞으로 더 기대되는 국가라 해도 무방하다. 외국인 투자 역시 적극적으로 반기는 현황으로 보아 외국인 투자로 인하여 다양한 분야의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직까지는 금융시스템이나 러시아에 의존적인 단순한 수출 선적 등 간단하지만 쉽게 바꾸기는 어려운 근본적인 문제들이 남아있는 상태이다. 또한, 종교적인 위험성(현재 우즈베크인 88%가 무슬림(수니파 70%, 시아파 20%)이나 정부는 인접 타지키스탄·아프가니스탄으로부터 과격 시아파 원리주의 확산을 경계하고 있음.)이 있기에 이 또한 고려해야 한다. 게다가 국제적으로 미국과는 적대적이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할 수도 없는 상태이다. 이러한 위험성들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브릭스에 비할 수 있을 정도의 자원과 성장성을 보여주는 우즈베키스탄이기에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종교적인 위험성, 미국과의 대외관계, 러시아에 의존적인 단순한 수출 선적 그리고 외국인투자자들에게 부담을 주는 금융시스템과 같은 리스크들이 해결이 된다면 충분히 매력적인 시장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한국 기업들의 입장으로 본다면 우즈베키스탄은 매력도가 높은 나라임이 틀림없다. 아직 큰 발전이 이루어 지지 않은 상태로 우즈베키스탄이 많은 생산을 하는 농업이나 천연광물 그리고 에너지와 같은 부문이 아닌 아직 미비한 산업에 투자를 한다면 많은 이익을 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현재 우즈베키스탄은 한국과 아주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나라이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은 한국이 전쟁의 폐허 속에서 시작하여 단시간에 초고속 성장을 이룬 것에 대해 관심이 많기 때문이다.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상태에서 한국기업들이 우즈베키스탄 이라는 지역에 대한 연구를 철저히 하여 진출을 한다면 더 좋은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된다.
Ⅳ 참고문헌
1. 우즈베키스탄 투자자문 카페 : http://cafe.naver.com/uzinvest/
2. kotra 글로벌 윈도우 - 우즈베키스탄 2012년 경제 성과 및 2013년 전망, 중점 추진계획 작성자 : 이종섭 (타슈켄트무역관) : http://www.globalwindow.org
3. 행복스케치 국가별정보 우즈베키스탄 : http://www.happysk.net
4. 두산백과 우즈베키스탄의 교통 통신 : http://terms.naver.com/
5. kotra 글로벌 윈도우 - 우즈베키스탄 통신시장 개관 작성자 : 이종섭 (타슈켄트무역관) : http://www.globalwindow.org
6. 학술논문 : 우즈베키스탄 독립세대의 이슬람에 대한 태도와 정치의식 성동기 (인하대)
7. 아담과이브 우즈베키스탄 문화정보 : http://delros.oranc.co.kr/
② 식(食)문화
우즈베키스탄인 들의 주식은 빵, 양고기, 소고기, 닭고기 및 채소류이며 식사 때마다 차를 같이 한다. 밀로 만든 음식을 주식으로 하며, 하루 세끼 모두 \'논\'(밀가루 반죽을 발효시켜 구운 딱딱한 빵)을 먹는다. 이들이 즐겨 먹는 것은 \'좌반\'(양고기, 무, 건포도 등을 함께 섞은 밥)이며, 소, 양, 말고기와 요구르트, 버터, 치즈 등 유제품을 잘 먹는다. 차와 각종 과일로 만든 과즙도 즐겨 마신다. 우즈베키스탄인의 주요 식료품은 감자, 곡물 등 채식의 소비가 전체 식품소비의 57%를 차지한다. 전반적으로 육류의 가격은 다른 식품에 비해 높은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인접한 카자흐스탄과 키르기즈스탄으로부터 수입이 축소된 이후 만성적인 공급량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인 이 최고로 꼽는 음식은 \'쿨다크\'라는 요리인데, 이것은 감자와 양파를 다지고 잘게 썰어 양고기나 말고기로 버무려 아이들 주먹만 하게 만들어 솥에 삶은 뒤 끄집어내어 꿀이나 설탕에 찍어 먹는 음식이다.
③ 주(住) 문화
과거 우즈베키스탄 사람들이 유목 생활을 할 때는 유르트(yurts)라고 불리는 동물의 모피로 만든 원형의 이동식 천막에 살았다. 현재 우즈베키스탄 시골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평범한 진흙 벽돌집과 현관 쪽으로 열려 있는 개인 방들이 딸린 긴 장방형의 가옥에 살고 있다. 주택은 대부분 정원이 딸려 있는 2층 이상의 집이거나 단층집이다. 실내 장식은 다른 이슬람권 국가와 마찬가지로 바닥과 벽에 양탄자를 장식한다. 도시의 주거 문화는 침대 문화이지만 식사나 연 회시에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바닥에 음식을 차리고 먹는 경우가 많으며, 전통 가옥에는 방과 거실 등에 벽지를 사용하지 않고 카펫을 이용하여 벽을 치장하거나 바닥에 까는데 사용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의 집들은 겨울에는 온수 라디에타에 의한 난방을 주로 이용하나 한겨울에는 만족할만한 수준이 되지 못하고 있다. 무더운 여름 날씨 때문에 웬만한 집에는 에어컨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창문형 에어컨을 설치하는데 우즈베키스탄 생산품이 없어 러시아제를 사용하고 있지만 냉매 불량이 30%이상을 이루고 있어 대부분 한국이나 서방의 수입품을 사용하고 있다. 주택 사정은 러시아인들의 이주 때문에 양호한 편이다. 구소련 체제에서 주택정책은 국가소유의 주택비율이 매우 높았지만, 1992년 사유화법이 적용되면서 개인의 주택에 대한 사유화가 급속하게 진행되어 개인 소유의 주택이 늘어나고 있다. 1992년 이후 신축되는 아파트의 대부분이 시민들의 개인소유로 분양되었다. 특히 전쟁유공자, 의사, 과학자, 교사, 예술가연맹의 회원들에게는 무상으로 양도 되었다. 국영아파트에 대한 임대료는 총관리비의 20% 수준으로 비교적 저렴한 수준으로 임대되고, 나머지 부문은 국가 보조금으로 충당된다. 그러나 전반적인 기존의 국영 주택 시설은 낙후된 형편이어서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주택으로의 이전을 희망하고 있다.
Ⅲ 결론
우리가 보는 우즈베키스탄의 성장 가능성
우즈베키스탄은 브릭스(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를 뒤이을 신흥국으로서 언급이 될 만큼 충분한 경제 발전을 이루고 있는 상황이며, 정부 주도하에 미비한 산업에 대한 장기적인 프로젝트를 수행 중이기에 앞으로 더 기대되는 국가라 해도 무방하다. 외국인 투자 역시 적극적으로 반기는 현황으로 보아 외국인 투자로 인하여 다양한 분야의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직까지는 금융시스템이나 러시아에 의존적인 단순한 수출 선적 등 간단하지만 쉽게 바꾸기는 어려운 근본적인 문제들이 남아있는 상태이다. 또한, 종교적인 위험성(현재 우즈베크인 88%가 무슬림(수니파 70%, 시아파 20%)이나 정부는 인접 타지키스탄·아프가니스탄으로부터 과격 시아파 원리주의 확산을 경계하고 있음.)이 있기에 이 또한 고려해야 한다. 게다가 국제적으로 미국과는 적대적이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할 수도 없는 상태이다. 이러한 위험성들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브릭스에 비할 수 있을 정도의 자원과 성장성을 보여주는 우즈베키스탄이기에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종교적인 위험성, 미국과의 대외관계, 러시아에 의존적인 단순한 수출 선적 그리고 외국인투자자들에게 부담을 주는 금융시스템과 같은 리스크들이 해결이 된다면 충분히 매력적인 시장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한국 기업들의 입장으로 본다면 우즈베키스탄은 매력도가 높은 나라임이 틀림없다. 아직 큰 발전이 이루어 지지 않은 상태로 우즈베키스탄이 많은 생산을 하는 농업이나 천연광물 그리고 에너지와 같은 부문이 아닌 아직 미비한 산업에 투자를 한다면 많은 이익을 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현재 우즈베키스탄은 한국과 아주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나라이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은 한국이 전쟁의 폐허 속에서 시작하여 단시간에 초고속 성장을 이룬 것에 대해 관심이 많기 때문이다.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상태에서 한국기업들이 우즈베키스탄 이라는 지역에 대한 연구를 철저히 하여 진출을 한다면 더 좋은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된다.
Ⅳ 참고문헌
1. 우즈베키스탄 투자자문 카페 : http://cafe.naver.com/uzinvest/
2. kotra 글로벌 윈도우 - 우즈베키스탄 2012년 경제 성과 및 2013년 전망, 중점 추진계획 작성자 : 이종섭 (타슈켄트무역관) : http://www.globalwindow.org
3. 행복스케치 국가별정보 우즈베키스탄 : http://www.happysk.net
4. 두산백과 우즈베키스탄의 교통 통신 : http://terms.naver.com/
5. kotra 글로벌 윈도우 - 우즈베키스탄 통신시장 개관 작성자 : 이종섭 (타슈켄트무역관) : http://www.globalwindow.org
6. 학술논문 : 우즈베키스탄 독립세대의 이슬람에 대한 태도와 정치의식 성동기 (인하대)
7. 아담과이브 우즈베키스탄 문화정보 : http://delros.oranc.co.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