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서 그러하다.
이 시는 철도파업에 가담한 노동자와 시적자아를 우리로 묶어 유대의식을 드러내고 싸움의 상대를 미군정과 미군정 협력자 혹은 앞잡이로 분명히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투쟁의 목표를 ‘자욱마다 정그렁거리는 사슬에서 너이들까지 완전히 풀어 놓고저’로 뚜렷하게 제시하고 있는데, ‘너이들’은 미군정에 협력하는 자들로 볼 수 있겠다.
3. 문학사적 의의와 한계
① 의의
그의 시는 일제 강점기 국내외 유이민의 뿌리 뽑힌 삶과 해방 직후 귀향이민의 비극적 실상, 해방정국의 분열 상태에서 나타난 민족 모순을 역사의식을 통해 시에 형상화하였다. 또한 카프계의 리얼리즘 문학의 퇴조와 모더니즘 문학의 변환기에서 토착적 서정성과 모더니즘의 주지적 기법을 차용한 그의 시는 서사적 구조를 지닌 리얼리즘적 서정시의 출발점이며 시적 양식의 확산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러한 그의 서사 지향성은 훗날 신경림의 <농무>로 시작되는 70년대 민중시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② 한계
해방 이후 그의 시들은 변혁에의 의지와 결부되어 선전 선동성을 추구하는데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한 현실의 구체적 형상화보다 사회주의 조국과 당에의 충성, 전투성, 혁명성 등을 내용으로 하며 정치적 의도가 생경한 언어로써 직설적으로 노출되는 등 투쟁성으로 기울게 되는 한계를 지니게 된다. 결국 이용악의 현실적 상상력이 50년대 이후의 시대적인 상황과 여건으로 인하여 더 이상 충분히 전개되지 못하였음은 우리 시사의 큰 아쉬움이 아닐 수 없다.
※ 참고문헌 ※
김병택, 한국 현대 시인론, 국학자료원, 1995
김용직, 한국 현대 시인 연구(상),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윤영천, 이용악시전집, 창작과 비평사, 1988
유종호, 다시읽는 한국시인, 문학동네, 2002
장석주, 20세기 한국문학의 탐험, 시공사, 2000
김윤식,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1994
박일환, 선생님과 함께 읽는 이용악, 실천문학, 2004
제해만, 한국 현대시의 고향의식 연구, 시세계, 1994
최두석, 민족현실의 시적 탐구 - 이용악론, 한국현대리얼리즘 시인론, 태학사, 1990
이경희, 북방의 시인 이용악, 국학자료원, 2007
반지영, 이용악 시의 담론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0
김정예, 이용악의 생애와 시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강연호, 이용악 시의 공간 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2004
백금희, 이용악 시의 서사성 연구, 창원대학교, 2006
이 시는 철도파업에 가담한 노동자와 시적자아를 우리로 묶어 유대의식을 드러내고 싸움의 상대를 미군정과 미군정 협력자 혹은 앞잡이로 분명히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투쟁의 목표를 ‘자욱마다 정그렁거리는 사슬에서 너이들까지 완전히 풀어 놓고저’로 뚜렷하게 제시하고 있는데, ‘너이들’은 미군정에 협력하는 자들로 볼 수 있겠다.
3. 문학사적 의의와 한계
① 의의
그의 시는 일제 강점기 국내외 유이민의 뿌리 뽑힌 삶과 해방 직후 귀향이민의 비극적 실상, 해방정국의 분열 상태에서 나타난 민족 모순을 역사의식을 통해 시에 형상화하였다. 또한 카프계의 리얼리즘 문학의 퇴조와 모더니즘 문학의 변환기에서 토착적 서정성과 모더니즘의 주지적 기법을 차용한 그의 시는 서사적 구조를 지닌 리얼리즘적 서정시의 출발점이며 시적 양식의 확산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러한 그의 서사 지향성은 훗날 신경림의 <농무>로 시작되는 70년대 민중시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② 한계
해방 이후 그의 시들은 변혁에의 의지와 결부되어 선전 선동성을 추구하는데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한 현실의 구체적 형상화보다 사회주의 조국과 당에의 충성, 전투성, 혁명성 등을 내용으로 하며 정치적 의도가 생경한 언어로써 직설적으로 노출되는 등 투쟁성으로 기울게 되는 한계를 지니게 된다. 결국 이용악의 현실적 상상력이 50년대 이후의 시대적인 상황과 여건으로 인하여 더 이상 충분히 전개되지 못하였음은 우리 시사의 큰 아쉬움이 아닐 수 없다.
※ 참고문헌 ※
김병택, 한국 현대 시인론, 국학자료원, 1995
김용직, 한국 현대 시인 연구(상),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윤영천, 이용악시전집, 창작과 비평사, 1988
유종호, 다시읽는 한국시인, 문학동네, 2002
장석주, 20세기 한국문학의 탐험, 시공사, 2000
김윤식,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1994
박일환, 선생님과 함께 읽는 이용악, 실천문학, 2004
제해만, 한국 현대시의 고향의식 연구, 시세계, 1994
최두석, 민족현실의 시적 탐구 - 이용악론, 한국현대리얼리즘 시인론, 태학사, 1990
이경희, 북방의 시인 이용악, 국학자료원, 2007
반지영, 이용악 시의 담론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0
김정예, 이용악의 생애와 시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강연호, 이용악 시의 공간 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2004
백금희, 이용악 시의 서사성 연구, 창원대학교, 200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