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D 케이스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OPD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연구목적
2. 사례연구 기간 및 방법
3.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4. 간호력
5. 현재 병력
6. 건강력 조사
7. 임상 검사 및 진단 검사 결과
8. 경구, 비경구적 주입 약물(oral, parenteral and fluid)

본문내용

다.
2. 매일 WBC, CRP 등 감염의 징후를 나타내는 수치들을 확인한다.
3. 연결관 주위의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한다.
4. 필요 시 항생제(Ceftriaxone)를 투여하고, 효과와 부작용을 모니터한다.
5. 연결관 부위 dressing 시 무균법을 지킨다.
6. 대상자와 접촉하기 전에 손 위생을 시행한다.
7. 매 Duty마다 IV line, Foley catheter, L- Tube 부위에 감염증상(발적, 종창, 부종)이 있는지 확인한다.
V/S를 통해 환자의 건강상태를 측정
할 수 있다. (특히 체온은 감염징후에 중요한 지표가 된다.)
2. WBC, CRP의 수치로 감염을 확인할 수 있다.
3. 연결관 주위의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해 감염을 예방한다.
4. 항생제(Ceftriaxone)를 투여함으로써 감염을 예방한다.
5. 연결관 부위 dressing 시 무균법을 지켜 균으로 인한 감염을 예방한다.
6. 손 씻기를 통해 균으로 인한 감염을 예방한다.
7. IV line, Foley catheter, L- Tube 부위에 발적, 종창,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감염을 의심할 수 있다.
간호수행
2시간마다 대상자의 V/S를 측정하였다.
2. WBC, CRP 등의 수치들을 매일 모니터하였다.
(9/9 WBC: 14000▲ CRP: 5.1▲)
3. 항생제(Ceftriaxone)를 투여하였고 부작용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4. dressing 시 무균법을 지켰다. (무균 장갑 착용, 무균적으로 dressing 도구들 사용)
5. 대상자와 접촉하기 전에 손 위생을 실시하였다.
6. IV line, Foley catheter, L- Tube 부위를 관찰하였다. (발열, 종창, 부종 등의 감염 징후 없음)
간호평가
단기목표
장기목표
1.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연결관(IV line,
Foley catheter, L- Tube)에서 부종, 열감, 종창 등 감염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았다. (달성)
2. 대상자는 5일 이내에 WBC, CRP 수치가 정상범위가 되지 않았다.
→ 9/13 WBC 13000▲, CRP 3.9▲(미달성)
대상자는 WBC, CRP 수치가 정상범위가 유지되지 않았다. (미달성)
간호진단 #3: 부동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Subjective data)
객관적 자료(objective data)
보호자: “5분이 지나도 엉덩이 쪽 피
부가 빨개요”
1. 욕창(부위/단계): Coccyx/Stage 1
2. Skin integrity: rash
3. ADL 의존 정도(level): 4 (완전 의존 혹은 참여하지 않음)
4. Albumin 수치 감소▼
Albumin
3.0~
5.5g/dL
2.8
2.6
2.8
2.8

5. 진단명: COPD AE
6. Foley catheter 삽입 중
7. GCS: Mental stupor
GCS
eye opening
4
4
4
4
4
verbal response
1
1
1
1
1
motor response
6
6
6
6
6
총합
11
11
11
11
11
8. V/S
날짜/시간
내용
13:00
15:00
17:00
19:00
21:00
활력
징후
혈압
160/
70
140/
70
130/
70
130/
80
120/
70
108
119
123
122
맥박
126
36.4
36.4
36.2
36.2
체온
36.3
20
20
20
20
호흡
20
96%
97%
97%
96%
SaO₂
97%
간호목표
단기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Albumin 수치가 정상범위가 될 것이다.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욕창 단계가 1단계 이하로 유지될 것이다.
간호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1. 2시간마다 대상자의 V/S를 측정한다.
2. 매일 대상자의 피부 상태를 사정한다.
3. 혈중 Albumin 수치를 사정한다.
4. 대상자의 영양상태를 사정하고 금기가 아니라면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5. 욕창 발생 가능성이 높은 부위는 자주 관찰한다.
6.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한다.
7. 체위 변경 시 등 마사지를 조심스럽게 실시한다.
8.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9. 침상시트는 깨끗하게 유지하고 구김이 없게 한다.
10. 뼈 돌출부위에 베개를 적용한다.
11. 도넛 모양의 방석은 삼간다.
1. V/S를 통해 환자의 건강상태를 측정
할 수 있다.
2. 대상자의 피부를 관찰하고 이를 기록하며, 변화가 있을 시 보고하여 즉시 치료에 임하게 할 수 있다.
3. Albumin 저하 시 피부 탄력성이 감소하여 욕창 발생위험이 증가된다.
4. 적절한 영양섭취는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고, 욕창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5. 비활동성 부위와 뼈가 돌출된 부위는 욕창 발생 위험이 높으므로 자주 관찰하도록 한다.
6. 잦은 체위 변경은 한 부위에 지속되는 압력을 제거하여 욕창을 예방해준다.
7. 마사지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면 효과적이다. 그러나 뼈 돌출부위 마사지는 연조직 손상을 악화시킨다.
8. 오염물질에 접촉을 줄여 감염 및 피부가 연화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9.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피부 통합성 회복에 도움을 준다.
10. 욕창은 뼈 돌출부위에 호발하므로 유의해야 하며, 베개를 적용할 경우 압박을 덜어준다.
11. 방석과 엉덩이가 접하는 부위에 압박을 가할 수 있으니 삼가고, 에어매트리스 같은 체압 분산 침구를 사용한다.
간호수행
2시간마다 대상자의 V/S를 측정하였다.
2. 매일 대상자의 피부 상태를 사정하였다. (redness 있고 삼출물은 없음)
3. 혈중 Albumin 수치를 사정하였다.
4.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하였다. (피부에 소변이나 대변, 혈액이 묻어있으면 닦아주고, 환자복에 묻어있으면 갈아 입혀주었다.)
5. 침상 시트는 깨끗이 유지하고 구김이 없게 하였다.
6. 뼈 돌출부위에 베개를 적용하였다.
7. 체압 분산을 위해 도넛 모양의 방석 대신 에어매트리스를 깔아주었다.
간호평가
단기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Albumin 수치가 정상수치가 되지 않았다.
→ 9/13 Albumin 2.7▼ (미달성)
대상자는 욕창 단계가 1단계 이하로 유지되고 있다. (달성)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21.05.11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98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