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D 케이스 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OPD 케이스 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연구목적
2. 사례연구 기간 및 방법
3. 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
4. 간호력
5. 현재 병력
6. 건강력 조사
7. 임상 검사 및 진단 검사 결과
8. 경구, 비경구적 주입 약물(oral, parenteral and fluid)
9. 대상자에서 규명한 간호진단(우선순위대로)
10.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본문내용

, 환자교육(정기 적으로 자신의 몸을 흔들거나 굴리는 동작), 물침대, 공기침대 이용, 감염을 막 기 위해 일회용 장갑 착용, 피부상태 자주 확인, 대상자가 힘들어하면 멈춘다.
처치명: 식이요법(그린비아 400-유동식) 사용 기간: 일 3회
사용목적: 스스로 식사를 할 수 없는 장 기능에 이상이 없는 대상자에게 영양을 공급 하기 위해서 시행함.
간호: 영양공급 전 비위관이 제자리에 있는지 확인한다. 영양공급 전과 후 공기가 위 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관을 꺾는다. 중력에 의해 스스로 들어가도록 하고, 너무 빠른 속도나, 너무 느린 속도로 주입하지 않는다. 식이 주입 후 30분~1시간동 안 반좌위 자세를 취해주고, 구강위생을 자주 실시한다.
9. 대상자에서 규명한 간호진단(우선순위대로)
1. 폐의 기능저하와 관련된 가스 교환 장애
-대상자는 COPD환자로 인공호흡기로 산소를 공급받고 있으며, 시간별로 산소포화도와 이산화 탄소의 양이 변화하고, 폐의 기능저하 때문에 어떤 것도 할 수 없는 상태임.
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대상자는 침습적인 처치를 굉장히 많이 하고 있는데, 그로인한 감염에 취약하다고 생각했고, WBC나 절대호중구수와 같은 면역지표들이 정상범위가 아닌 상태임.
3. 부동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대상자는 의식이 Simple obey는 가능한 정도이며, 자신의 힘으로 position을 change 하거 나, 그에대한 요구도 하지 않기 때문에 피부에 문제가 발생 할 수 있음.

1. COPD AE.(급성적인 악화가 있는 만성폐쇄성폐질환)
2. KI d/t dehydration으로 인하여 CRRT 진행 중
3.
정상치
2월/6일
2월/8일
2월/10일
2월/12일
2월/14일
WBC▲
5000~10000개/mm³
15400
18300
22800
18500
15100
Hgb

여: 12-16g/dL
남: 14-18g/dL
10.2
9.5
8.5
7.8
9.6
PLT

15만~45만 개/mm³
11만1천
13만3천
12만5천
14만1천
14만4천
ANC

2800개 ~ 7000개
1241
1482
1503
1916
1739
Hct

여: 40~48%
남: 42~51%
32.0
29.8
27.1
24.6
30.5
4. 근력 평가 기준: 사정결과 1 등급
5. CV Cath, 유치도뇨, CRRT, 기관절개관 등 많은 침습적 처치가 이루어 짐.
정상치
2월/6일
2월.8일
2월/10일
2월/12일
2월/14일
pH
7.35~7.45
7.177
7.270
7.320
7.322
7.325

PCO₂
35~48
75.4
61.4
48.5
50.5
43.6

Hgb
여: 12-16g/dL
남: 14-18g/dL
10.9
9.3
8.4
9.6
10.9

O₂CT
15~23
12.5
12.1
12.9
11.8
15.0

6.
10.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간호진단 #1: 폐의 기능 저하와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Subjective data)
객관적 자료(objective data)
1. 기관절개관으로 산소공급.
2. tidal volume 400대
3. ABGA결과
pH
7.177
7.270
7.320
7.322
7.325
PCO₂
75.4
61.4
48.5
50.5
43.6
Hgb
10.9
9.3
8.4
9.6
10.9
O₂CT
12.5
12.1
12.9
11.8
15.0
4. COPD 진단받음.
5. Flow sheet에 SaO₂ 수시로 흔들림.
SaO₂
90%
91%
90%
89%
90%
6. PCV모드 Ventilator 사용 중
7. 헐떡거리는 숨소리
간호목표
가스교환 능력이 정상적인 상태로 유지된다.
1. ABGA결과 PCO₂와 PO₂의 수치가 정상범위로 유지된다.
2. Tidal volume이 500대로 유지된다.
3. SaO₂가 95~100%로 유지된다.
간호계획 및 수행
1. 대상자의 V/S를 Q1h로 check한다.
1-1 대상자의 HR, RR, BP, MAP, BT, U/O등을 Q1h로 check하였음.
2. 대상자의 Patient monitor를 수시로 observation한다.
2-1 Alarm이 울릴 때 마다 즉시 간호사 선생님께 보고 하였음.
3. 헐떡거리는 숨소리를 할 때마다 간호사 선생님께 상태를 알린다.
3-1 간호사 선생님께서는 Ventilator을 확인하시고, 대상자 튜브를 확인하였음.
4. 객담 흡인시 객담이 잘 제거 되도록 가슴을 타진해 준다.
4-1 손을 둥근 컵모양을 만들어 가슴 부분을 타진해주었고, 가래의 양상이 thick해 서 잘 나오지 않았는데, 많이 연해져서 쉽게 나옴.
간호평가
ABGA결과와 Tidal Volume은 점차 수치가 정상수치로 가고 있는 양상이지만,
SaO₂는 여전히 88~93%로 유지되었다.
SaO₂를 점진적으로 올리고, COPD특성상 PCO₂의 배출에 관점을 두어야겠다.
간호진단 #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Subjective data)
객관적 자료(objective data)
1. CV Cath 삽입 중
2. 유치도뇨관 삽입 중
3. CRRT Tube 삽입 중
4. 사지에 IV Line 유지 중
5. 대상자 WBC 상승, ANC수치 감소
2월/
6일
2월
/8일
2월
/10일
2월/
12일
2월/
14일
WBC▲
1.54
1.830
2.28
1.85
1.51
ANC

1241
1482
1503
1916
1739
6. Sepsis 진단 받음.
간호목표
대상자는 침습적인 처치로 인한 감염이 되지 않는다.
1. WBC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온다.
2. ANC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온다.
3. 대상자에게서 감염의 전조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간호계획 및 수행
1. 대상자의 침습적 처치 부위를 관찰한다,
1-1 CV Cath, CRRT, 유치도뇨관을 Duty당 1회 관찰하였음.
2. 대상자의 CBC검사결과를 관찰한다.
2-1 대상자의 CBC검사결과상 면역지표들의 상승이나 하강에 집중하였음.
3. 대상자와 접촉 전 후 꼭 손씻기를 한다.
3-1 대상자의 BT를 측정하거나, Care시 꼭 시작 전 후로 해서 손을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21.05.11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98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