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도표정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세국어 도표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훈민정음
2. 표기법
3. 문헌자료
4. 중세국어의 형태적 특징
5. 중세국어의 통사적 특징

본문내용

중세국어
1. 문자와 문헌
훈민정음
창제시기
창제 : 1443년(세종25) 음력 12월에 예의본 완성
『훈민정음』 해례본
「어제서문
(御製序文)」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 서로 잘 통하지 아니하므로(자주정신) 이런 까닭에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할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자가 많으니라. 내가 이를 불쌍히 여겨 새로 스물 여덟 자를 만드니(애민정신) 사람마다 날로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실용정신)
구성
예의
어지(御旨) : 창제의 취지
글자와 소리값 : 초성, 중성, 종성 글자와 소리값
글자의 운용 : 연서법(이어쓰기), 병서법(나란히쓰기), 부서법(붙여쓰기), 성음법(음절이루기), 사성법(점찍기)
해례
제자해, 초성해, 중성해, 종성해, 합자해, 용자례
정인지 서
훈민정음 제작 경위
반포 : 1446년 9월(세종28) 음력 9월 상한에 해례본 완성
1459년(세조5) 언해본 간행(‘예의’만 언해되어 ‘예의본’이라고도 함)
구성
창제원리
『훈민정음』 해례본 「제자해」
상형의 원리 : 기본자(초성 5개, 중성 3개)를 만듦
초성자(조음위치)
중성자(우주의 기본요소)
아음 :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 - ㅋ
설음 : ㄴ은 혀끝이 윗잇몸에 닿는 모양 - ㄷ - ㅌ
순음 : ㅁ은 입의 모양 - ㅂ - ㅍ
치음 : ㅅ은 이의 모양 - ㅈ - ㅊ
후음 : ㆁ은 목구멍의 모양 - ㆆ - ㅎ
상형
기본자
초출자
재출자
하늘

ㅏ, ㅗ


ㅓ, ㅜ
사람

ㅑ, ㅕ, ㅛ, ㅠ
가획의 원리 : 어떤 자의 음보다 ‘성출초려’(소리가 약간 셈)한 음을 표시하는 글자는 원래의 글자에 획을 더하여 만듦
합이성의 원리 : 기본자끼리 조합하여 초출자를 만들어 내고, 다시 초출자와 기본자 ‘ㅣ’를 조합하여 재출자를 만듦
성음법
초성, 중성, 종상의 글자를 합쳐서 적어야 소리가 이루어진다는 규정(모아쓰기) → 한자를 글자의 모범으로 생각 군, 땀, , , 침
초성자
초성자
(17자)
조음위치
기본자
가획 한 번
가획 두 번
이체자
아음



조음위치는 아음이나 소리가 후음과 유사하여 ‘ㅇ’에 가획함
설음




‘ㄴ→ㄷ→ㄹ’ 가획하였으나 가획의 의미(소리의 세기)는 없음
순음



치음




\'ㅅ→ㅿ‘ 가획하였으나 가획의 의미(소리의 세기)는 없음
후음



조음위치
아음
설음
순음
치음
후음
반설음
반치음
전청(예사소리)



ㅅ,ㅈ

차청(거센소리)





불청불탁(울림소리)






전탁(된소리)



ㅆ,ㅉ

연서자
ㆁ을 입술소리 밑에 연서하면 순경음이 된다. → 순경음 표기(ㅸ, ㆄ, ㅹ, ㅱ,)
병서자
각자병서
초성을 어울려 쓰려면 나란히 쓴다. → 된소리 표기(ㄲ, ㄸ, ㅃ. ㅉ. ㅆ, ㆅ)
합용병서
초성 두 자, 세 자를 합해서 나란히 쓴다.
된소리설
ㅅ계 합용병서
된소리 표기(ㅺ, ㅼ, ㅽ) → 16세기 초에 된소리로 바뀜
‘ㅅ’계 합용병서로 쓰인 말이 현대어에서는 대체로 된소리로 발음 리>꼬리, ㅎ>땅
‘ㅅ’을 예전에 ‘된시옷’으로 불렀던 사실
‘ㅅ’이 사이시옷으로 쓰여서 뒤에 실현되는 말이 된소리로 발음됨*‘ㅻ’제외 히>사나이
이중자음설
ㅂ계 합용병서
어두자음군 표기(ㅳ, ㅄ, ㅶ, ㅷ) → 18세기 초 된소리로 바뀜
/ㅂ/의 덧남 해>햅쌀, 조>좁쌀,
/ㅂ/받침소리 존재 말며 > 밟지, 쉬 아니니>쉽지
<훈민정음 해례>에서 합용병서 글자의 음가를 따로 설정하지 않았음. 따라서 각각의 글자대로 발음한 것으로 보아야 함.
ㅄ계 합용병서
어두자음군 표기(ㅴ, ㅵ) 이>입때, >함께 → 17세기 된소리 또는 ‘ㅂ’계 합용병서로 합류
중성자
기본자
상형
기본자

소리
하늘

설축
소리가 깊음


설소축
소리가 깊지도 얕지도 않음
사람

설불축
소리가 얕음
ㆍ, ㅡ, ㅣ
단모음
단일구성
합성자
초출자
‘ㆍ’가 하나만 쓰임 → ㅏ, ㅓ, ㅗ, ㅜ
재출자
‘ㆍ’가 두 개 쓰임 → ㅑ, ㅕ, ㅛ, ㅠ
* 단일구성이지만 이중모음으로 발음(구성과 발음이 불일치)
이중모음
합용자
동출합용자
초출자, 재출자끼리 합함 → ㅘ, ㅝ, ㆇ, ㆊ
복합구성
‘l\'합용 일자 중성
중성자 하나(단일구성 11개 중 ‘ㅣ’모음 제외한 10개)가 ‘ㅣ’와 합함
→ ㆎ, ㅢ, ㅐ, ㅔ, ㅚ, ㅟ, ㅒ, ㅖ, ㆉ, ㆌ
‘l\'합용 이자 중성
종성자 두 개(동출합용자 4개)가 ‘ㅣ’와 합함 → ㅙ, ㅞ, ㆈ, ㆋ
종성자
鐘聲復用初聲 : 종성은 따로 만들지 않고 초성자를 가져다 쓴다.
『훈민정음』 해례본 八鐘聲可足用也 : 받침에는 ㄱㆁㄷㄴㅂㅁㅅㄹ 8자면 가히 족히 쓸 수 있다.
사성법
성조
방점법
거성
가장 높은 소리
글자의 왼쪽에 점 하나
상성
처음이 낮고 나중이 높은 소리
글자의 왼쪽에 점 둘
평성
가장 낮은 소리
점 없음
입성
빨리 끝나는 소리 (경우에 따라 평성, 상성, 거성이 될 수 있으나, 한자음의 경우에는 거성과 유사한 소리)
평성, 상성, 거성의 경우와 같음
표기법
표음주의적 표기법
음소적 표기법
명사나 용언의 어간형을 고정시키지 않고 교체 현상을 표기에 반영 八鐘聲可足用也 : 고지(곶+이), 곳도(곶+도), 업서(없+어), 업고(없+고) = 표음주의적 표기법
단, 자음동화는 반영되지 않음 믿는[민는]
예외
명사나 용언의 어간형을 고정시켜 단어의 의미를 정확하게 나타냄 鐘聲復用初聲 : 곶,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1.12.20
  • 저작시기202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01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