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글자의 운용법
2. 여린히읗 글자의 소리
3. 반치음 글자의 소리
4. 각자병서(5가지)
5. 합용병서(ㅂ계, ㅅ계, ㅄ계)
6. 비읍순경음 글자의 소리
7. 단모음체계
8. 이중모음체계
9. 종성의 표기법
10. 달라진 음운현상 (ㄹ탈락, ㅎ탈락, ㄱ탈락)
11. 중세국어의 합성법
12. 중세국어의 파생법
2. 여린히읗 글자의 소리
3. 반치음 글자의 소리
4. 각자병서(5가지)
5. 합용병서(ㅂ계, ㅅ계, ㅄ계)
6. 비읍순경음 글자의 소리
7. 단모음체계
8. 이중모음체계
9. 종성의 표기법
10. 달라진 음운현상 (ㄹ탈락, ㅎ탈락, ㄱ탈락)
11. 중세국어의 합성법
12. 중세국어의 파생법
본문내용
병서가 있다.
각자병서는 현대어의 된소리처럼 똑같은 글자를 나란히 적은 것으로, 현대에도 쓰이는 \'ㄲ, ㄸ, ㅃ, ㅆ, ㅉ\'과 중세에만 쓰인 \', , \'이 있다.
합용병서는 다른 글자를 나란히 적은 것으로, 현대어에서는 종성에만 쓰이지만, 중에 국어에서는 초성에도 쓰였다. 합용병서에는 ㅂ계 합용병서인 \', , \'과 ㅅ계 합용병서인 \', , , \'과 ㅄ계 합용병서인 \', \'이 있다.
성음법
성음법은 초성, 중성, 종성의 글자를 합쳐서 적는다는 방법으로, 모아쓰기가 이에 해당된다. 예를 들면 영어에서는 \'snow\'와 같이 풀어쓰기를 하지만, 국어에서는 \'ㄴㅜㄴ\'과 같이 적지 않고, \'눈\'과 같이 모아쓰기로 적는다.
음소 글자인 훈민정음은 낱글자 단위로 하나하나 풀어서 적는 것이 원칙이지만, 훈민정음 창제자들은 성음법이란 규정을 두어 낱글자를 음절 단위로 모아 적게 하였다. 그 이유는 한자의 한 글자가 대응되는 소리는 음소가 아니라 음절이기 때문에, 한자 한 글자와 한글 한 글자가 표현하는 소리의 단위가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중세 때는 초성과 중성, 종성이 모두 있어야 이상적인 발음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종성에 받침이 없으면 무조건 \'ㅇ\'을 붙였다. 예를 들어 동국정운식 한자음인 \'快\'를 우리말로 표기할 때, \'쾌\'라고 하지 않고, 종성에 음가가 없는 \'ㅇ\'을 붙여, \'쾡\'으로 표기하였다. 우리나라와 발음이 다른 것은 우리말과 똑같이 표기할 수 없기 때문에 고유어 표기와 달리 표기한 것이다. 하지만 고유어에서는 \'ㅇ\'을 초성에만 쓰고, 종성에는 \'\'과 같이 \'\'을 썼다.
부서법
부서법은 \'ㅡㅗㅜㅛㅠ 附書初聲之下 ㅣㅏㅓㅑㅕ 附書於右.\'라 하여, 중성 가운데 둥근 것 \'\'과 가로 그은 것 \'ㅡㅗㅜㅛㅠ\'은 초성의 아래에 붙여 쓰고, 위에서 아래로 내리 그은 것 \'ㅣㅏㅓㅑㅕ\'은 초성의 오른쪽에 붙여 쓰는 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면, \', 그, 고, 구, 교, 규\'와 \'기, 가, 거, 갸, 겨\'와 같이 쓰는 것이 있다.
사성법
사성법은 글자의 왼편에 방점을 찍어 성조(소리의 높낮이)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평성, 상성, 거성, 입성이 있다. 평성은 점이 없고, 낮은 소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활\'을 예로 들 수 있다. 상성은 점이 2개이며, 처음에는 낮았다가 나중에 높은 소리를 내는 것으로, 예로는 \':돌\'이 있다. 거성은 점이 1개이며, 높은 소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로는 \'갈\'이 있다. 입성은 점으로 구분하지 않으며, 높낮이와 관계없이 급하게 닫는 소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종성이 \'ㄱ, ㄷ, ㅂ\'로 끝나는 불파음이 입성에 해당된다. 예로는 \', :낟, 입\' 등이 있다. 이러한 방점의 사용은 16세기 초기 문헌부터 혼란을 보이다가, 16세기 후반부터 거의 표시되지 않았다.
\'\'글자의 소리(음가, 용법)
여린히읗 \'\'은 후음의 전청 글자로서, 후두폐쇄음(소리를 끊음을 표시하는 부호)인 //의 음가를 가진다.
또한 여린히읗 \'\'은 우리말의 특정한 소리를 적기 위한 문자가 아니다. 즉, 우리말의 음소가 아닌데, 이 글자를 만든 이유는 중국에서는 후음의 전청자가 있었는데, 우리말에는 없어서 세종이 중국음을 적기 위해 채워 넣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은 동국정운식 한자음을 표기하는 데 많이 쓰였다. 예를 들어 한자음의 초성 표기로, \', , , , \' 등이 있는데, 은 중국어 후음의 전청자에 해당되며, 고유어에서는 이처럼 초성에 표기할 수 없다. 또한 한자음의 종성 표기로는 \'(日), \' 등이 있는데, 중국에서는 종성의 [ㄹ]발음을 입성 [ㄷ]으로 발음하였다. 즉, 15세기 중국 한자음의 \'일(日), 을(乙)\'과 같은 단어는 우리말의 발음과 달리 \'[
각자병서는 현대어의 된소리처럼 똑같은 글자를 나란히 적은 것으로, 현대에도 쓰이는 \'ㄲ, ㄸ, ㅃ, ㅆ, ㅉ\'과 중세에만 쓰인 \', , \'이 있다.
합용병서는 다른 글자를 나란히 적은 것으로, 현대어에서는 종성에만 쓰이지만, 중에 국어에서는 초성에도 쓰였다. 합용병서에는 ㅂ계 합용병서인 \', , \'과 ㅅ계 합용병서인 \', , , \'과 ㅄ계 합용병서인 \', \'이 있다.
성음법
성음법은 초성, 중성, 종성의 글자를 합쳐서 적는다는 방법으로, 모아쓰기가 이에 해당된다. 예를 들면 영어에서는 \'snow\'와 같이 풀어쓰기를 하지만, 국어에서는 \'ㄴㅜㄴ\'과 같이 적지 않고, \'눈\'과 같이 모아쓰기로 적는다.
음소 글자인 훈민정음은 낱글자 단위로 하나하나 풀어서 적는 것이 원칙이지만, 훈민정음 창제자들은 성음법이란 규정을 두어 낱글자를 음절 단위로 모아 적게 하였다. 그 이유는 한자의 한 글자가 대응되는 소리는 음소가 아니라 음절이기 때문에, 한자 한 글자와 한글 한 글자가 표현하는 소리의 단위가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중세 때는 초성과 중성, 종성이 모두 있어야 이상적인 발음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종성에 받침이 없으면 무조건 \'ㅇ\'을 붙였다. 예를 들어 동국정운식 한자음인 \'快\'를 우리말로 표기할 때, \'쾌\'라고 하지 않고, 종성에 음가가 없는 \'ㅇ\'을 붙여, \'쾡\'으로 표기하였다. 우리나라와 발음이 다른 것은 우리말과 똑같이 표기할 수 없기 때문에 고유어 표기와 달리 표기한 것이다. 하지만 고유어에서는 \'ㅇ\'을 초성에만 쓰고, 종성에는 \'\'과 같이 \'\'을 썼다.
부서법
부서법은 \'ㅡㅗㅜㅛㅠ 附書初聲之下 ㅣㅏㅓㅑㅕ 附書於右.\'라 하여, 중성 가운데 둥근 것 \'\'과 가로 그은 것 \'ㅡㅗㅜㅛㅠ\'은 초성의 아래에 붙여 쓰고, 위에서 아래로 내리 그은 것 \'ㅣㅏㅓㅑㅕ\'은 초성의 오른쪽에 붙여 쓰는 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면, \', 그, 고, 구, 교, 규\'와 \'기, 가, 거, 갸, 겨\'와 같이 쓰는 것이 있다.
사성법
사성법은 글자의 왼편에 방점을 찍어 성조(소리의 높낮이)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평성, 상성, 거성, 입성이 있다. 평성은 점이 없고, 낮은 소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활\'을 예로 들 수 있다. 상성은 점이 2개이며, 처음에는 낮았다가 나중에 높은 소리를 내는 것으로, 예로는 \':돌\'이 있다. 거성은 점이 1개이며, 높은 소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로는 \'갈\'이 있다. 입성은 점으로 구분하지 않으며, 높낮이와 관계없이 급하게 닫는 소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종성이 \'ㄱ, ㄷ, ㅂ\'로 끝나는 불파음이 입성에 해당된다. 예로는 \', :낟, 입\' 등이 있다. 이러한 방점의 사용은 16세기 초기 문헌부터 혼란을 보이다가, 16세기 후반부터 거의 표시되지 않았다.
\'\'글자의 소리(음가, 용법)
여린히읗 \'\'은 후음의 전청 글자로서, 후두폐쇄음(소리를 끊음을 표시하는 부호)인 //의 음가를 가진다.
또한 여린히읗 \'\'은 우리말의 특정한 소리를 적기 위한 문자가 아니다. 즉, 우리말의 음소가 아닌데, 이 글자를 만든 이유는 중국에서는 후음의 전청자가 있었는데, 우리말에는 없어서 세종이 중국음을 적기 위해 채워 넣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은 동국정운식 한자음을 표기하는 데 많이 쓰였다. 예를 들어 한자음의 초성 표기로, \', , , , \' 등이 있는데, 은 중국어 후음의 전청자에 해당되며, 고유어에서는 이처럼 초성에 표기할 수 없다. 또한 한자음의 종성 표기로는 \'(日), \' 등이 있는데, 중국에서는 종성의 [ㄹ]발음을 입성 [ㄷ]으로 발음하였다. 즉, 15세기 중국 한자음의 \'일(日), 을(乙)\'과 같은 단어는 우리말의 발음과 달리 \'[
추천자료
<소학언해> 원문과 해석 및 문법관련 자료
석보상절 원문과 해석 및 문법 관련 자료
조선 사람들의 생로병사를 통해 드러난 국어 생활 문화 탐구
<절구이수(絶句二首)>에 나타난 15세기 국어의 특징
시제- ‘-었-’의 형성과정과 실현, 의미에 관하여 -
용비어천가 제123장에 나타난 15세기 국어의 특징 분석
용비어천가 제122장에 나타난 15세기 국어의 특징 분석
용비어천가 제121장에 나타난 15세기 국어의 특징 분석
용비어천가 제35장에 나타난 15세기 국어의 특징 분석
용비어천가 제34장에 나타난 15세기 국어의 특징
용비어천가 제119장에 나타난 15세기 국어의 특징 분석
용비어천가 제20장 분석, 국문 가사와 한문 가사, 전고, 국어학적 분석, 정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