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능분석에서 문제행동을 촉발하는 선행사건은 아무래도 멀티플레이를 해도 비교적 업무 결과가 좋았고 칭찬을 받았던 과거에서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학창시절 나는 수업 시간에 그림을 그려도 성적이 좋았고, 다른 짓을 하는 듯 해도 선생님의 말씀을 놓치지 않고 들어서 주변 친구들로부터 놀랍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 때 내 기능을 인정받고 칭찬이 내게 보상이 되었기 때문에, 나이가 들어도 아직도 그 때 칭찬의 쾌감 같은 보상을 기다리며 여전히 업무 시간에 딴 짓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나이가 들어서 이런 업무 태도를 고수하며 여러 직장에서 불이익을 받기도 했으며, 지금도 이런 근무 태도를 고수하다 보니 같은 업무를 해도 에너지가 많이 들고 일을 끝내고 나면 뿌듯함 대신 탈력감이 더 드는 것 같다. 그래서 나의 습관을 버리기 위해 목표를 정하기로 했다. 첫 1주일간은 30분간은 업무에 집중하고 그 뒤 5분 인터넷 서핑을 하기, 익숙해지면 학창시절처럼 50분 업무 / 10분 휴식의 루틴으로 업무를 진행할 것이다. (4) 행동변화 전략 짜기에서는 스키너의 보상 실험에서 힌트를 얻어서 업무에 전념한 나 자신에게 보상을 주는 방식으로 나의 행동을 변화시켜 나갈 것이다. 또한 업무에 집중하지 않아서 나 자신과 동료들에게 피해를 주었던 경험을 ‘자극’으로 여기고, 부정적 자극에 나 자신을 노출시키지 않도록 끊임없이 부정적 결과를 상기하고, 긍정적 자극인 ‘업무 달성 후에 찾아오는 보람’을 극대화하기 위해 업무에 집중하는 시간을 늘릴 것이다.
(5) 평가하기는 업무일지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내가 집중한 시간 / 휴식한 시간의 비율을 적어갈 것이다.
Ⅲ. 결론
마음도 몸과 마찬가지로 트레이닝을 통해 극복해나갈 수 있다. 요즘 사람들은 너무 유전자 결정론에 매몰된 나머지 나 자신의 자유의지를 폄하하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현 시점의 시대정신은 과거 ‘노력’을 강요했던 기성세대들에 대한 반발로부터 왔다고 생각하고, 노력해도 성과가 없는 현실에 좌절한 사람들이 타고난 기질과 환경 탓을 하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한편으로 얼마나 우리 사회가 개인을 끊임없이 억압하고 강요했는지 느껴져서 안타깝기도 하지만, 이제 사람들이 서로를 향해 자조를 섞어가면서 ‘나는 원래 우울한 기질을 타고 났어. 나는 원래 무기력해.’ 같은 말들을 하게 되며, 다른 사람들까지 더 우울하게 만드는 악순환을 밟고 있는 것 같다. 이제는 다시 우리의 자유 의지를 믿고, 노력한 만큼 나는 원하는 만큼 행복하고 안정된 마음가짐을 가질 수 있다는 희망을 느꼈으면 한다.
우선 나부터 이번 강의를 통해 배운 바를 바탕으로 마음 트레이닝을 꾸준히 할 것이다. 그 어떤 좌절과 무기력의 순간에도 나의 좌절감은 한 때의 상태 이상일 뿐, 내 본질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스스로에게 확인시키고 싶다. 강하게 키운 회복탄력성을 바탕으로 무기력한 이 사회에 나 스스로 영감을 줄 수 있는 사람이고 싶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심리학에게묻다. 하혜숙, 강지현 지음. 출판문화원. 2020
하지만 나이가 들어서 이런 업무 태도를 고수하며 여러 직장에서 불이익을 받기도 했으며, 지금도 이런 근무 태도를 고수하다 보니 같은 업무를 해도 에너지가 많이 들고 일을 끝내고 나면 뿌듯함 대신 탈력감이 더 드는 것 같다. 그래서 나의 습관을 버리기 위해 목표를 정하기로 했다. 첫 1주일간은 30분간은 업무에 집중하고 그 뒤 5분 인터넷 서핑을 하기, 익숙해지면 학창시절처럼 50분 업무 / 10분 휴식의 루틴으로 업무를 진행할 것이다. (4) 행동변화 전략 짜기에서는 스키너의 보상 실험에서 힌트를 얻어서 업무에 전념한 나 자신에게 보상을 주는 방식으로 나의 행동을 변화시켜 나갈 것이다. 또한 업무에 집중하지 않아서 나 자신과 동료들에게 피해를 주었던 경험을 ‘자극’으로 여기고, 부정적 자극에 나 자신을 노출시키지 않도록 끊임없이 부정적 결과를 상기하고, 긍정적 자극인 ‘업무 달성 후에 찾아오는 보람’을 극대화하기 위해 업무에 집중하는 시간을 늘릴 것이다.
(5) 평가하기는 업무일지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내가 집중한 시간 / 휴식한 시간의 비율을 적어갈 것이다.
Ⅲ. 결론
마음도 몸과 마찬가지로 트레이닝을 통해 극복해나갈 수 있다. 요즘 사람들은 너무 유전자 결정론에 매몰된 나머지 나 자신의 자유의지를 폄하하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현 시점의 시대정신은 과거 ‘노력’을 강요했던 기성세대들에 대한 반발로부터 왔다고 생각하고, 노력해도 성과가 없는 현실에 좌절한 사람들이 타고난 기질과 환경 탓을 하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한편으로 얼마나 우리 사회가 개인을 끊임없이 억압하고 강요했는지 느껴져서 안타깝기도 하지만, 이제 사람들이 서로를 향해 자조를 섞어가면서 ‘나는 원래 우울한 기질을 타고 났어. 나는 원래 무기력해.’ 같은 말들을 하게 되며, 다른 사람들까지 더 우울하게 만드는 악순환을 밟고 있는 것 같다. 이제는 다시 우리의 자유 의지를 믿고, 노력한 만큼 나는 원하는 만큼 행복하고 안정된 마음가짐을 가질 수 있다는 희망을 느꼈으면 한다.
우선 나부터 이번 강의를 통해 배운 바를 바탕으로 마음 트레이닝을 꾸준히 할 것이다. 그 어떤 좌절과 무기력의 순간에도 나의 좌절감은 한 때의 상태 이상일 뿐, 내 본질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스스로에게 확인시키고 싶다. 강하게 키운 회복탄력성을 바탕으로 무기력한 이 사회에 나 스스로 영감을 줄 수 있는 사람이고 싶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심리학에게묻다. 하혜숙, 강지현 지음. 출판문화원. 2020
추천자료
(2023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 심리학에게묻다, 과제물) 삶을 건겅하게 살아가기 위해 우리는 ...
2023년 2학기 심리학에게묻다 기말시험 과제물(마음트레이닝에 소개된 다양한 활동)
심리학에게묻다(기말)) 삶을 건겅하게 살아가기 위해 우리는 다양한 노력을 할 수 있다 심리...
심리학에게 묻다 마음 트레이닝의 정의 마음 트레이닝의 3가지 예시
심리학에게묻다 교재 내용 마음트레이닝에 소개된 다양한 활동
마음트레이닝 기분 일기 내용 발췌, 처음 써 보는 편지 내용 발췌, 역기능적 사고 기록지 등
심리학에게묻다 삶을 건겅하게 살아가기 위해 우리는 다양한 노력
심리학에게묻다 마음트레이닝
교재(p317-334) 내용 및 기타 자료를 개인이 자유롭게 참조하여, 심리학에게묻다 마음트레이닝
삶을 건겅하게 살아가기 위해 심리학에게묻다 교재(p317-334) 내용 및 기타 자료 참조하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