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핵심정리
2.작품의 이해와 감상
3.연구 문제
4.우리가 물이 되어 만난다면
2.작품의 이해와 감상
3.연구 문제
4.우리가 물이 되어 만난다면
본문내용
▶ 불은 삶의 기본 원리가 되는 물의 이미지와 대비되는 것으로 죽음, 파괴, 파멸 등 바람직하지 않는 삶의 방향을 상징한다.
3. \'물\'의 상징적 의미를 생각해 보자.
▶ 현대 사회의 여러 병폐에 찌들어 사라져 버리는 것들에 새 생명을 부여할 수 있는 실체이다.
4. \'넓고 깨끗한 하늘\'에서 만나자는 것이 의미하는 바를 생각해 보자.
▶ 단순한 연인이나 친구가 아닌, 원시적 생명력과의 만남, 합일에의 희구이다.
5. 이 시에서 현대 사회에서의 이기주의, 무관심, 물질적 가치에 기울어진 삶 등 인간성이 메마른 상황을 나타낸 시어를 찾아보자.
▶ 가뭄
6. 이 시의 화자가 지향하는 세계를 표상하는 시구를 찾아보자.
▶ 넓고 깨끗한 하늘
7. 이 시의 주제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 원시적 생명력과 만남에 대한 희구를 노래하고 있다.
우리가 물이 되어 만난다면 - 강은교
물-삶의 고독을 해소할 수 있는 매개체
우리가 물이 되어 만난다면
물은 주체와 객체를 우리로 만나게 하는 매개체. 유동적이고 서로 완벽하게 섞일 수 있는 성질
가문 어느 집에선들 좋아하지 않으랴
가뭄-기계 문명의 편의성. 현대 사회에서의 이기주의, 무관심, 물질만능주의 등의 인간성이 메마른 상황)
우리가 키 큰 나무와 함께 서서
넉넉한 모습으로
우르르 우르르 비오는 소리로 흐른다면 ▶ 메마른 대지를 적셔주었으면 하는 소망
가뭄을 해소시킬 수 있는 비
흐르고 흘러서 저물녘엔
저 혼자 깊어지는 강물에 누워
죽은 나무뿌리를 적시기도 한다면
가뭄의 갈증을 해소하여 생명을 주는 물이 될 수 있다면 (가뭄-인간적 정이 고갈된 삶의 고독)
아아, 아직 처녀인
순결하고 깨끗한
부끄러운 바다에 닿는다면 ▶물이 되어 만나고 싶은 심정
그러나 지금 우리는
불처럼 뜨거운 욕망으로 만나려 한다(부정적인 것들을 태우기 위해)
불로 만나려 한다.
바람직하지 않은 삶의 방향(죽음, 파멸, 파괴의 이미지)
벌써 숯이 된 뼈 하나가
부정적인 것들이 타버린 곳에 사랑이 찾아옴
세상에 불타는 것들을 쓰다듬고 있나니 ▶물과 불의 대비
불이 모든 것을 태우고 지나간 후
만리 밖에서 기다리는 그대여
내가 갈망하는 세계
저 불 지난 뒤에
부정적인 것들이 타버린 곳에서
흐르는 물로 다시 만나자
푸시시 푸시시 불 꺼지는 소리로 말하면서
파괴의 상처를 치유하면서
올 때는 인적 그친
넓고 깨끗한 하늘로 오라. ▶불이 지난 뒤의 만남
원시적 생명력과의 만남, 합일에의 희구(화자가 지향하는 세계)
3. \'물\'의 상징적 의미를 생각해 보자.
▶ 현대 사회의 여러 병폐에 찌들어 사라져 버리는 것들에 새 생명을 부여할 수 있는 실체이다.
4. \'넓고 깨끗한 하늘\'에서 만나자는 것이 의미하는 바를 생각해 보자.
▶ 단순한 연인이나 친구가 아닌, 원시적 생명력과의 만남, 합일에의 희구이다.
5. 이 시에서 현대 사회에서의 이기주의, 무관심, 물질적 가치에 기울어진 삶 등 인간성이 메마른 상황을 나타낸 시어를 찾아보자.
▶ 가뭄
6. 이 시의 화자가 지향하는 세계를 표상하는 시구를 찾아보자.
▶ 넓고 깨끗한 하늘
7. 이 시의 주제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 원시적 생명력과 만남에 대한 희구를 노래하고 있다.
우리가 물이 되어 만난다면 - 강은교
물-삶의 고독을 해소할 수 있는 매개체
우리가 물이 되어 만난다면
물은 주체와 객체를 우리로 만나게 하는 매개체. 유동적이고 서로 완벽하게 섞일 수 있는 성질
가문 어느 집에선들 좋아하지 않으랴
가뭄-기계 문명의 편의성. 현대 사회에서의 이기주의, 무관심, 물질만능주의 등의 인간성이 메마른 상황)
우리가 키 큰 나무와 함께 서서
넉넉한 모습으로
우르르 우르르 비오는 소리로 흐른다면 ▶ 메마른 대지를 적셔주었으면 하는 소망
가뭄을 해소시킬 수 있는 비
흐르고 흘러서 저물녘엔
저 혼자 깊어지는 강물에 누워
죽은 나무뿌리를 적시기도 한다면
가뭄의 갈증을 해소하여 생명을 주는 물이 될 수 있다면 (가뭄-인간적 정이 고갈된 삶의 고독)
아아, 아직 처녀인
순결하고 깨끗한
부끄러운 바다에 닿는다면 ▶물이 되어 만나고 싶은 심정
그러나 지금 우리는
불처럼 뜨거운 욕망으로 만나려 한다(부정적인 것들을 태우기 위해)
불로 만나려 한다.
바람직하지 않은 삶의 방향(죽음, 파멸, 파괴의 이미지)
벌써 숯이 된 뼈 하나가
부정적인 것들이 타버린 곳에 사랑이 찾아옴
세상에 불타는 것들을 쓰다듬고 있나니 ▶물과 불의 대비
불이 모든 것을 태우고 지나간 후
만리 밖에서 기다리는 그대여
내가 갈망하는 세계
저 불 지난 뒤에
부정적인 것들이 타버린 곳에서
흐르는 물로 다시 만나자
푸시시 푸시시 불 꺼지는 소리로 말하면서
파괴의 상처를 치유하면서
올 때는 인적 그친
넓고 깨끗한 하늘로 오라. ▶불이 지난 뒤의 만남
원시적 생명력과의 만남, 합일에의 희구(화자가 지향하는 세계)
추천자료
정지용의 <유리창1>, <장수산1> 상호 텍스트성 시 지도
바다를 소재로 한 시
방언과 문학 - 시와 방언
1990년, 2000년 민중시와 페미니즘 시 연구
한국현대문학사 <동인지 문학의 출발과 서정시의 등장>
解放직후 文學史에 관한 考察 -통합문학사 기술에 대한 시도
만해(萬海) 한용운, 그의 시(詩)와 삶
만해(萬海) 한용운, 그의 시(詩)와 삶
윤동주(尹東柱) 시 연구
[국어국문학] 기형도 시에 대한 연구 - 죽음과 어둠의 시학
식민지와 고향 -1930~40년 백석 시에 나타난 고향 의식-
[현대시강독] <1940년대 한국시>
[김광균 연구][김광균의 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박노해, 김남주 - 혁명의 이름으로 (시, 문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