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Ⅳ. 민족 문화의 전통
Ⅱ. 인류와 우리 민족의 기원 1. 우리의 언어
1. 인류의 기원과 진화 2. 우리의 신앙
2. 우리 민족의 기원 3 . 우리의 사상
Ⅲ. 우리 민족 문화의 형성과 발전 4. 우리의 예술
1. 민족 문화의 개념 Ⅴ. 맺음말
2. 우리 민족 문화의 기초
3. 민족 문화의 성장과 발전
Ⅱ. 인류와 우리 민족의 기원 1. 우리의 언어
1. 인류의 기원과 진화 2. 우리의 신앙
2. 우리 민족의 기원 3 . 우리의 사상
Ⅲ. 우리 민족 문화의 형성과 발전 4. 우리의 예술
1. 민족 문화의 개념 Ⅴ. 맺음말
2. 우리 민족 문화의 기초
3. 민족 문화의 성장과 발전
본문내용
전통 음악이다.
특히, 민요, 설화, 민속극 등 구비 전승의 문화 유산은 오랜 기간에 걸쳐 많은 사람이 참여한 공동의 창작물이다.여기에는 특정한 작가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고, 그 시대 민중들의 생각이 담겨 있었다.
우리 민족의 생활과 정서를 노래로 표현한 민요는 우리의 전통적인 농경 문화를 잘 나타내 주고 있다. 즉, 모내기 노래, 논매기 노래, 보리 타작 노래, 맷돌 노래, 방아 노래, 길쌈 노래 등 일을 하면서 부르는 노동요는 노동 자체를 즐겁게 하기 위해서 부르는 것이다.
이문웅, <노동요>, <<한국의 민요>>, (서울:양서원, 1984), P 71.
노동요 이외에도 강강술래, 줄다리기 노래 등과 같이 순수한 놀이를 위한 민요도 있으며, 상여 소리와 같은 의례적인 민요도 있다. 또, 아리랑, 도라지타령 등과 같이 우리 민족 누구에게나 공감을 주는 민요가 있는가 하면, 정선 아리랑, 몽금포타령, 영변가 등과 같이 각 지방의 향토색을 살려 생활 정서에 알맞게 불리는 그 지방 고유의 향토 민요도 있다.
이문웅, <향토 민요>, <<한국의 민요>>, (서울:양서원, 1984), P 74.
특히, 건국 신화는 민족적인 긍지를 상징하며 민족 정신의 지표를 설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문화 유산으로 꼽을 수 있다. 또, 우리 조상은 수많은 민담을 통하여 해학과 웃음을 즐기고, 선한 사람을 찬양하고 악한 사람을 징계하며, 효자, 열녀를 칭송하는 등으로 민족적인 생활 감정을 표현해 왔다.
탈춤과 탈놀이를 포함한 가면극도 서민 생활 속에서 계승, 발전되어 옴으로써 우리 민속의 중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다. 마을굿에서와 같이 농사가 잘 되도록 비는 의례적인 목적의 가면극이 있는가 하면, 양반들의 신분적인 특권이나 남성의 횡포에 대하여 저항을 표현하는 사회 비판적이고도 풍자적인 연극, 그리고 해학적인 성격을 곁들인 것도 많다.
Ⅴ. 맺음말
1. 문화의 발생과 변화는 인류의 오랜 진화 과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2. 우리 민족 문화는 농경 문화, 특히 수도작 문화를 토대로 형성되었다. 그 영향으로 상부 상 조의 전통이나 근면, 협동의 생활 자세 등이 민족성으로 형성되었다.
3. 민족 문화의 발전 과정에서 문화의 융합 현상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우리 민족이 개 방적이고 포용력이 크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4. 우리의 사상은 홍익인간에서 비롯되어 현세 중심 사상과 인간 중심 사상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히, 민요, 설화, 민속극 등 구비 전승의 문화 유산은 오랜 기간에 걸쳐 많은 사람이 참여한 공동의 창작물이다.여기에는 특정한 작가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고, 그 시대 민중들의 생각이 담겨 있었다.
우리 민족의 생활과 정서를 노래로 표현한 민요는 우리의 전통적인 농경 문화를 잘 나타내 주고 있다. 즉, 모내기 노래, 논매기 노래, 보리 타작 노래, 맷돌 노래, 방아 노래, 길쌈 노래 등 일을 하면서 부르는 노동요는 노동 자체를 즐겁게 하기 위해서 부르는 것이다.
이문웅, <노동요>, <<한국의 민요>>, (서울:양서원, 1984), P 71.
노동요 이외에도 강강술래, 줄다리기 노래 등과 같이 순수한 놀이를 위한 민요도 있으며, 상여 소리와 같은 의례적인 민요도 있다. 또, 아리랑, 도라지타령 등과 같이 우리 민족 누구에게나 공감을 주는 민요가 있는가 하면, 정선 아리랑, 몽금포타령, 영변가 등과 같이 각 지방의 향토색을 살려 생활 정서에 알맞게 불리는 그 지방 고유의 향토 민요도 있다.
이문웅, <향토 민요>, <<한국의 민요>>, (서울:양서원, 1984), P 74.
특히, 건국 신화는 민족적인 긍지를 상징하며 민족 정신의 지표를 설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문화 유산으로 꼽을 수 있다. 또, 우리 조상은 수많은 민담을 통하여 해학과 웃음을 즐기고, 선한 사람을 찬양하고 악한 사람을 징계하며, 효자, 열녀를 칭송하는 등으로 민족적인 생활 감정을 표현해 왔다.
탈춤과 탈놀이를 포함한 가면극도 서민 생활 속에서 계승, 발전되어 옴으로써 우리 민속의 중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다. 마을굿에서와 같이 농사가 잘 되도록 비는 의례적인 목적의 가면극이 있는가 하면, 양반들의 신분적인 특권이나 남성의 횡포에 대하여 저항을 표현하는 사회 비판적이고도 풍자적인 연극, 그리고 해학적인 성격을 곁들인 것도 많다.
Ⅴ. 맺음말
1. 문화의 발생과 변화는 인류의 오랜 진화 과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2. 우리 민족 문화는 농경 문화, 특히 수도작 문화를 토대로 형성되었다. 그 영향으로 상부 상 조의 전통이나 근면, 협동의 생활 자세 등이 민족성으로 형성되었다.
3. 민족 문화의 발전 과정에서 문화의 융합 현상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우리 민족이 개 방적이고 포용력이 크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4. 우리의 사상은 홍익인간에서 비롯되어 현세 중심 사상과 인간 중심 사상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추천자료
민족주의와 문학
아랍 민족주의에 대해서
한국민족운동사
[식민주의사관][민족주의사관]식민주의사관과 민족주의사관, 식민주의사관의 내용, 시기별 민...
[홍익인간사상][홍익인간][인간관][한민족][남북통일][민족교육]홍익인간사상의 인간관, 홍익...
[중국문학][민간문학][소수민족문학][육유][몽롱시]중국문학의 변천, 중국문학과 되돌아보기...
[북한교육][북한의 교육][북한교육 사상교육][북한교육 사회주의교육][보통교육][민족교육][...
민족사관에 대한 비판
민족교육의 개념, 역사, 의의, 특징, 실태, 문제점, 향후 전망[2012년 평가우수자료★★★★★]
[1980년대][사회운동][학생운동][변혁운동][민족민중운동]1980년대의 사회운동, 1980년대의 ...
[일제강점기]일제(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와 민족주의자, 민족의학, 일제(일제강점기, 식민...
[식민지][식민지제국의식][식민지국가권력][민족주의]식민지와 식민지제국의식, 식민지와 식...
우리에게 민족이란 무엇인가 (식민지시기 민족해방운동의 전개와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