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4 부 : ‘제자백가’ 와 우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4 부 : `제자백가` 와 우리

본문내용

을 위한 것인가?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어마어마한 불당과 예배당과 진리당과 공자묘은 살아 있는 사람들로 하여금 위압감을 느끼게 된다. 도저히 자기 힘으로는 지을 수 없는 저 큰 건축물, 여기에서 압박감을 느끼고 굴복하게 된다. 여기에 그친 다면 아마 그 효과는 반감되리라. 그런데 종교 경전에는 좋은 말씀이 얼마나 많은가? 사실이지 나는 아무 것도 믿지 않는 사람이지만 불교, 기독교, 힌두교, 孔敎.... 등의 語錄을 보면 정말이지 좋은 말씀이 많다고 생각된다. 나 같은 사람이 이럴 진데 믿는 사람들이야 오죽하랴? 금반지 금목걸이 다 빼도 전혀 아깝지 않을 것이다. 이런 현상을 中國 封建王朝의 統治手段 ----겉은 儒家이고 속은 法家----인 것과는 대조적으로 겉은 法家(우람한 건축물)이고 속은 儒家(좋은 말씀)인 셈이다. 여기까지 쓰고 나서 나는 좀 불안하다. 좀 광신적인 학생이 혹시 칼침을 놓지 않을까 해서......
위대한 건축물로부터 위대한 皇帝가 연상된다. 위대한 皇帝는 결국 살아 있는 神이 되고 만다. 거의 무조건에 가깝게 복종하고야 만다. 또한 戰爭에 있어 승리를 위해서는 手段과 方法을 가리지 말라는 게 法家의 가르침이다. 물론 그 승리의 열매가 국민들에게 돌아가지 않고 통치자 몇 명의 승리라 할지라도. 그러므로 法家를 통해서 우리는 紫禁城과 天安門 事態를 비교적 합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적어도 아마추어 中國 專門家인체 할 수 있다.
우리 韓國의 古典 思想 중에 상당 부분은 中國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儒家가 그러하다. 忠孝思想이 대표적이라 하겠다. 이걸 이해하려면 싫건 좋건 간에 中國의 思想을 알아야 하고, 中國의 思想을 알기 위해서는 諸子百家와 박치기를 해야 한다.
한편 우리는 죽으나 사나 일단은 中語中文學科이니까 諸子百家가 中國 古典文學에 미친 영향을 한번쯤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中國 古典文學과 가장 긴밀한 관계에 있는 諸子百家는 儒家와 道家다. 儒家는 실용적인 문학관을, 道家는 浪漫的인 문학관을 제공했다는 사실, 이미 「中國文學史」라든가 「中國文學批評史」 그리고 「詩經」 혹은 「楚辭」 등의 과목을 수강하며 귀에 따갑도록 들었을 줄로 믿는다. 또한 諸子講義의 儒家 부분에서 ≪詩經≫과 연관지어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므로 여기서 더 이상 되풀이하는 것도 시간 낭비이므로 이 부분은 여러분들에게 특히 대학원생들에게 課題로 부과하고 싶다. 하늘같은 이인호 교수님께서
) 法家의 統治術을 흉내냈음. 學點으로 威勢를 삼을까 하노라.
대학원생들과 중문과 4학년 여러분에게 課題를 下賜하노라!
대충 이상으로 諸子百家가 우리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 생각해 보았다. 물론 이 밖에도 여러 분야에 많은 예가 있을 줄로 믿는다. 나는 古代 中國을 이해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現代 中國을 이해하 위해서도 諸子百家는 한 번 정도 접할 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생각한다. 어쩌면 中國과 中國人을 이해하려면 필수인지도 모르겠다. 현재 내가 강의하고 여러분이 듣고 있는 諸子講讀.硏究가 비록 (전공)선택이긴 하지만..........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09.29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46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