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선거결과에 나타난 지역성과 정치문화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기존의 연구 고찰

3. 역대 선거결과에 대한 검토
3.1. 역대 대통령 선거결과
3.2. 역대 국회의원 선거결과

4. 지역주의 지표: 후보(당) 편파성, 지역 편파성 및 지역주의
4.1. 역대 대통령 선거의 지역 편파성, 지역주의 및 후보 편파성
4.2. 역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지역 편파성, 지역주의 및 당 편파성

5. 요약 및 결론

▣ 참고문헌 ▣

본문내용

지역기반이 있는 정당들이 출현하면서 집단의식으로서 지역주의가 강하게 발동하였다.
이에 따라, 후보 편파성뿐만 아니라 지역 편파성 그리고 총체적 지역주의가 모두 높아졌다. 역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1963년 박정희 후보의 편파성 수치가 선거사상 처음으로 10 이상을 기록하였으나 1971년에는 두 후보가, 1987년 이후에는 대부분 후보의 편파성 수치가 높게 나타났다. 지역 편파성은 1967년과 1971년 영남지역의 수치가 가장 높아서 강한 지역성을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고, 1987년 이후 선거에서는 호남지역의 지역성이 특히 높아졌고 다른 지역도 높아져 갔다. 국회의원 선거에서 지역주의는 1988년 선거부터 강하게 작용하였는데, 당의 편파성은 평민당이 가장 높았고 지역 편파성은 영호남뿐만 아니라 충청·강원 등 여러 지역에서 강하게 작용하여 지역주의가 강해졌다. 역대 선거결과에 작용한 지역주의 추이 분석 결과, 지역주의는 앞으로도 상당기간 강하게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극단적인 지역주의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 유형의 노력이 있어 왔지만 선거 때가 되면 어김없이 지역감정을 조장하는 행위나 발언은 끊이지 않았다. 그것은 선거에서 궁극적 목적이 승리에 있으니 후보자들로서는 지지율을 높이기 위해 지역감정을 활용하는 것이 손쉬운 선거전략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제는 지역주의의 고리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후보들이 지역감정을 조장하는 행위를 스스로 자제해야 할 것이며 그같은 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강력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대표를 선출하는 유권자들 스스로가 지역주의 사슬에 얽매이지 않고 진정 유권자의 권익을 보호할 능력있는 대표를 선출하려는 마음자세가 필수적이다. 여기에는 언론을 비롯하여 여론을 주도하는 지식인과 다수 유권자의 올바른 식견과 판단이 요구된다고 본다.
이 연구가 갖는 의의는 첫째로 선거에 나타난 지역주의의 시대적 추이와 양상을 정확히 추적하였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둘째로는, 일정한 척도를 활용하여 선거결과에 나타난 지역주의 정도를 상호 비교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선거에서 지역주의 문제를 경험적으로 접근한 데서 찾을 수 있다.
▣ 참고문헌 ▣
고흥화(1989),『韓國人의 地域感情』, 서울: 성원사, 49∼65면.
김만흠(1987),『한국사회 지역갈등 연구: 영호남 지방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연구소.
김문조(1992),「한국 지역주의의 형성과 성격」, 한국사회학회편,『한국의 지역주의와 지역갈등』, 서울: 성원사. 153∼165면.
김익기(1992),「지역감정의 해소책: 사회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한국사회학회편, 같은 책. 385∼402면.
김용학(1992),「엘리트 충원에 있어서 지역격차: 미시적 동기와 거시적 결과」, 한국사회학회편, 같은 책. 265∼300면.
김형국(1991),「제13대 대통령선거 투표행태 연구」, 김종철·최장집 외,『지역감정연구』, 서울: 학민사, 334∼359면.
문석남(1984),「지역격차와 갈등에 관한 한 연구」,『한국사회학』, 18집, 109∼133면.
민족문화추진회(1968),『국역 고려사 절요』, I.
백완기(1992),「지역갈등의 해소책: 지방자치」, 한국사회학회편, 위의 책. 403∼406면.
송정헌(1971),「호남지방의 지역적 낙후원인」, 전남대 지역개발연구소편,『지역개발연구』, 23∼40면.
신광영(1990),「춘천지역에서의 지역주의와 투표행위: 두가지 투표행위 논리의 경험적 검증」,『한국사회학』, 26집, 35∼58면.
안병만(1992),「지역갈등의 해소책: 정당정치」, 한국사회학회편, 같은 책. 407∼410면.
온만금(1997),「역대 대통령 선거결과에 나타난 지역주의 추이와 양상」,『한국사회학』, 31집, 737∼757면.
중앙선거관리위원회(1989), 역대 국회의원 선거상황: 제 1대∼11대.
----------------------------(1985),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총람.
----------------------------(1988),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총람.
----------------------------(1993),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총람.
----------------------------(1971), 역대 대통령 선거상황.
----------------------------(1988), 제13대 대통령 선거총람.
----------------------------(1993), 제14대 대통령 선거총람.
중앙일보 1996년 4월 13일자, 제 15대 국회의원 선거결과
조선일보 1997년 12월 20일자, 대통령 선거결과
차종천(1988),「지역주의적 선거와 유권자: 제13대 대통령 선거 후보 지지에 대한 로짓분석」,『한국사회학』, 22집, 143∼160면.
Hechter, Michael(1975), Internal Colonialism,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4), "The Political Economy of Ethnic Chang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9, pp. 1151∼78.
Inkeles, Alex and David Smith. 1974. Becoming Modern: Individual Changes in Six Developing Countries,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Jordan, David. 1994. New World Regionalism,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목차
1. 머리말
2. 기존의 연구 고찰
3. 역대 선거결과에 대한 검토
3.1. 역대 대통령 선거결과
3.2. 역대 국회의원 선거결과
4. 지역주의 지표: 후보(당) 편파성, 지역 편파성 및 지역주의
4.1. 역대 대통령 선거의 지역 편파성, 지역주의 및 후보 편파성
4.2. 역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지역 편파성, 지역주의 및 당 편파성
5. 요약 및 결론
▣ 참고문헌 ▣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3.04.10
  • 저작시기2003.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23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