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국악 박물관
2.국악사실
① 상고 사회의 음악문화
② 고구려의 음악문화
③ 백제의 음악문화
④ 신라의 음악문화
⑤ 통일신라의 음악문화
⑥ 고려의 음악문화
⑦ 조선시대의 음악문화
⑧ 근대의 음악문화
3.고문헌실
①음악관련문헌
②한국의 악보
4.악기전시실
①현악기
②관악기
③타악기
5.명인실
6.음향영상실
7.죽헌실
8.중앙홀
①삭고
.
.
.
⑮영도, 뇌도, 노도
9.감상
2.국악사실
① 상고 사회의 음악문화
② 고구려의 음악문화
③ 백제의 음악문화
④ 신라의 음악문화
⑤ 통일신라의 음악문화
⑥ 고려의 음악문화
⑦ 조선시대의 음악문화
⑧ 근대의 음악문화
3.고문헌실
①음악관련문헌
②한국의 악보
4.악기전시실
①현악기
②관악기
③타악기
5.명인실
6.음향영상실
7.죽헌실
8.중앙홀
①삭고
.
.
.
⑮영도, 뇌도, 노도
9.감상
본문내용
부딪쳐서 소리가 나는 악기. 허리가 가는 양면 북인 장구류, 원통형의 북종류, 작은 놋그릇 모양의 운라
) 운라: 본래는 중국의 악기이며 구운라 ·운오라고도한다. 한국에는 조선 후기에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놋쇠로 조율해서 각기 다른 높이의 소리를 내는 작은 징 10개를 나무틀에 매달고 나무망치로 쳐서 소리를 내는데, 매우 맑고 영롱한 음색을 지녀 경쾌한 음곡에 알맞다. 징을 배열하는 방법은 맨 아래의 왼쪽이 가장 낮은 음의 징이고 오른쪽으로 가면서 높아가며, 둘째 간은 오른쪽이 낮은 음이고 왼쪽으로 가면서 높아진다. 셋째 간은 다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높아지는 순서이며 맨 위의 중앙에는 가장 높은 음의 징 하나를 걸어 놓았다.
류, 여러개의 나무를 겹쳐서 소리내는 박종류, 그리고 크고 작은 징과 꽹과리류의 악기 등이 있다.
5.명인실
근대 국악계의 명인들의 생애가 간략하게 소개되고 유품이 전시되어 있다.
6. 음향영상실
우리 음악이 담긴 음향자료를 전시해 놓은 곳이다. 교육 중이라는 팻말이 있어서 들어가 보지 못 하였다.
7. 죽헌실
전통음악의 발전에 공헌한 죽헌 김기수의 기증품을 전시한 방이다.
평소에 사용했던 방을 그대로 재현하여 전시해 놓았다.
8. 중앙홀
중앙홀에는 궁중음악과 제례음악에 편성되어 쓰이던 타악기들이 전시되어 있다.
①삭고: 타악기의 하나로 고려 때부터 사용되었다.
긴 통같이 생긴 북을 틀에 매어 달고 틀 위에 해모양을 그리고 흰 칠을 하였다. 삭고는 궁중의 조희와 잔치음악에 쓰였는데 음악이 시작할 때 삭고를 한 번 치고 응고가 잇달아 쳤다. 세종조때 많이 제작하여 사용되었다가 지금은 쓰이지 않는다.
②응고: 타악기. 고려 때부터 사용. 긴 통같이 생긴 북을 틀에 매어 달고 틀 위에 달 모양을 그리고 검붉은 칠을 하였다. 응고는 삭고와 비슷하나 삭고보다 작은 크기이다. 현재 사용 안함.
③축과 어: 축은 음악의 갈래로는 아악기에 속한다. 속이 빈 나무 상자에 구멍을 뚫고 그 구멍 속에 방망이를 넣어 치는 악기로 1116년(고려 예종 11) 중국 송나라로부터 들여왔다. 이후 어와 함께 문묘제례 ·종묘제례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축은 음악의 시작을 알리는 악기로 동쪽에, 어는 음악의 끝남을 알리는 악기로 서쪽에 놓는다. 악기는 정육면체이면서 위쪽이 조금 넓은 모양이고 윗면에는 구름을, 옆 4면에는 산수화를 각각 그려 놓고 있다. 그림은 어의 사진이다.
④특종: 고대 중국의 악기로 한국에서는 조선 세종 때 박연이 아악을 정비할 때 새로 만들어 궁중아악에 사용해 왔다. 길이 50cm 정도의 종 하나를 종 틀에 걸어놓고 친다. 현재 문묘제례악·석전제례악에 등가에서만 쓰이며, 악작할 때 박 다음과 고축삼성 다음에 한 번씩 울리고 있다.
⑤편종: 윗칸 8개, 아랫칸 8개의 종으로 이루어진 악기. 두께에 따라서 음이 달라진다. 두꺼우면 음이 높고, 얇으면 음이 낮다. 편경과 함께 문묘제례악에 주로 쓰임.
⑥건고: 큰 북이다. 북의에 장식천이 2층으로 올려져 있다. 삭고, 등고와 같은 용도로 쓰인다.
⑦노고: 긴 북 두 개를 엇갈리게 고정시킨 것이다.
네 면 가운데 한 면만 연주한다. 뇌고와 영고처럼 진고를 따라 쳤다. 문묘제례의 음악에서 사용한다.
⑧뇌고: 북 6개를 이어서 연결해 놓은 모양. 지금 사용하지 않는다. 북통이 검은색이다.
⑨영고: 북 8개를 동그랗게 이어서 만든 것이다. 북통이 노란색. 같은 노란색으로 칠한 영고와 영도는 땅신에 대한 제사 음악에만 사용한다. 노란색은 땅을 상징한다.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다.
⑩ 신라금과 풍류 가야금 : 신라금은 가야국의 우륵이 신라로 망명할 때 가지고 온 것으로서, 《니혼고키》에는 809년경(나라시대)에 신라의 악사들이 전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현재 나라의 쇼소인에 보존되어 있다. 풍류 가야금은 신라금에 있는 금박이 없다. 사진 중에는 위에 것이 풍류 가야금이다.
⑪ 특경: 큰 경 하나를 나무틀에 매단 것이다. 음악이 마칠 때 연주한다. 종묘제례악, 문묘제례악에 사용한다.
⑫ 편경: 윗칸에 8개, 아랫칸에 8개의 경으로 이루어져있다. 두꺼우면 음이 높다. 각퇴로 경의 긴 쪽을 친다. 종묘제례악, 문묘제례악, 낙양춘, 보허자 등의 연주에 쓰인다.
⑬ 진고: 북 가운데 가장 크다. 종묘제례악, 문묘제례악에 사용한다. 시작과 끝에 사용한다. 곡 중간에도 절고와 함께 악절 끝마다 두 번씩 쳐준다. 북통이 검붉은 색이다.
⑭ 방향: 16개의 쇠 조각. 두께가 두꺼우면 소리가 높다. 길이는 모두 같다.
⑮ 영도, 뇌도, 노도: 영도는 북 4개를 엇갈리게 꿰어놓은 모양이다. 사진은 영도의 모습이다. 뇌도는 북 3개를 영도와 비슷한 형태로 엇갈리게 꿰어놓은 모양. 노도 역시 북 2개를 엇갈리게 꿰어놓은 모양이다. 이 세 가지 북은 모두 대를 흔들면서 연주한다.
9. 감상
국악 박물관을 갔다왔다. 창피하지만 처음에는 이런 곳이 있는 줄도 몰랐다. 일단 돈을 내지 않아서 좋았다. 박물관이라고 해서 무조건 넓을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작았다. 전시물들은 모두 깨끗하게 전시되어 있었는데 아쉬운 점은 전시품의 종류와 수가 적었다는 점이다. 악기전시실에는 악기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장치가 되어있어서 보고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듣고 배울 수도 있어서 좋았다. 그런데 그런 장치들 중에서 편경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것은 망가져 있어서 아쉬웠다. 음향영상실은 들어가 보지도 못했고 자료실은 들어갈 수가 없게 되어 있었다. 분명 일반인에게도 개방한다고 알고있었는데 못 들어가게 돼서 씁쓸했다. 그리고 자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게 간단한 설명 가이드북이나 라디오 설명이 있었으면 좋겠다. 국악은 우리 나라의 전통 음악이다. 그러나 많이 대중화 되어있지는 않다. 우리가 국악을 멀리하는 이유 중에 하나는 국악이 우리에게서 멀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국악 박물관의 작은 변화 하나가 우리를 우리 음악으로 좀더 이끌 수 있지 않을까 감히 생각해 본다.
참고문헌
최신 국악총론(세광음악출판사, 1989)
국악통론(형설출판사, 1994)
국악학논총(은하출판사, 2000)
http://www.ncktpa.go.kr(국립국악원)
) 운라: 본래는 중국의 악기이며 구운라 ·운오라고도한다. 한국에는 조선 후기에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놋쇠로 조율해서 각기 다른 높이의 소리를 내는 작은 징 10개를 나무틀에 매달고 나무망치로 쳐서 소리를 내는데, 매우 맑고 영롱한 음색을 지녀 경쾌한 음곡에 알맞다. 징을 배열하는 방법은 맨 아래의 왼쪽이 가장 낮은 음의 징이고 오른쪽으로 가면서 높아가며, 둘째 간은 오른쪽이 낮은 음이고 왼쪽으로 가면서 높아진다. 셋째 간은 다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높아지는 순서이며 맨 위의 중앙에는 가장 높은 음의 징 하나를 걸어 놓았다.
류, 여러개의 나무를 겹쳐서 소리내는 박종류, 그리고 크고 작은 징과 꽹과리류의 악기 등이 있다.
5.명인실
근대 국악계의 명인들의 생애가 간략하게 소개되고 유품이 전시되어 있다.
6. 음향영상실
우리 음악이 담긴 음향자료를 전시해 놓은 곳이다. 교육 중이라는 팻말이 있어서 들어가 보지 못 하였다.
7. 죽헌실
전통음악의 발전에 공헌한 죽헌 김기수의 기증품을 전시한 방이다.
평소에 사용했던 방을 그대로 재현하여 전시해 놓았다.
8. 중앙홀
중앙홀에는 궁중음악과 제례음악에 편성되어 쓰이던 타악기들이 전시되어 있다.
①삭고: 타악기의 하나로 고려 때부터 사용되었다.
긴 통같이 생긴 북을 틀에 매어 달고 틀 위에 해모양을 그리고 흰 칠을 하였다. 삭고는 궁중의 조희와 잔치음악에 쓰였는데 음악이 시작할 때 삭고를 한 번 치고 응고가 잇달아 쳤다. 세종조때 많이 제작하여 사용되었다가 지금은 쓰이지 않는다.
②응고: 타악기. 고려 때부터 사용. 긴 통같이 생긴 북을 틀에 매어 달고 틀 위에 달 모양을 그리고 검붉은 칠을 하였다. 응고는 삭고와 비슷하나 삭고보다 작은 크기이다. 현재 사용 안함.
③축과 어: 축은 음악의 갈래로는 아악기에 속한다. 속이 빈 나무 상자에 구멍을 뚫고 그 구멍 속에 방망이를 넣어 치는 악기로 1116년(고려 예종 11) 중국 송나라로부터 들여왔다. 이후 어와 함께 문묘제례 ·종묘제례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축은 음악의 시작을 알리는 악기로 동쪽에, 어는 음악의 끝남을 알리는 악기로 서쪽에 놓는다. 악기는 정육면체이면서 위쪽이 조금 넓은 모양이고 윗면에는 구름을, 옆 4면에는 산수화를 각각 그려 놓고 있다. 그림은 어의 사진이다.
④특종: 고대 중국의 악기로 한국에서는 조선 세종 때 박연이 아악을 정비할 때 새로 만들어 궁중아악에 사용해 왔다. 길이 50cm 정도의 종 하나를 종 틀에 걸어놓고 친다. 현재 문묘제례악·석전제례악에 등가에서만 쓰이며, 악작할 때 박 다음과 고축삼성 다음에 한 번씩 울리고 있다.
⑤편종: 윗칸 8개, 아랫칸 8개의 종으로 이루어진 악기. 두께에 따라서 음이 달라진다. 두꺼우면 음이 높고, 얇으면 음이 낮다. 편경과 함께 문묘제례악에 주로 쓰임.
⑥건고: 큰 북이다. 북의에 장식천이 2층으로 올려져 있다. 삭고, 등고와 같은 용도로 쓰인다.
⑦노고: 긴 북 두 개를 엇갈리게 고정시킨 것이다.
네 면 가운데 한 면만 연주한다. 뇌고와 영고처럼 진고를 따라 쳤다. 문묘제례의 음악에서 사용한다.
⑧뇌고: 북 6개를 이어서 연결해 놓은 모양. 지금 사용하지 않는다. 북통이 검은색이다.
⑨영고: 북 8개를 동그랗게 이어서 만든 것이다. 북통이 노란색. 같은 노란색으로 칠한 영고와 영도는 땅신에 대한 제사 음악에만 사용한다. 노란색은 땅을 상징한다.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다.
⑩ 신라금과 풍류 가야금 : 신라금은 가야국의 우륵이 신라로 망명할 때 가지고 온 것으로서, 《니혼고키》에는 809년경(나라시대)에 신라의 악사들이 전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현재 나라의 쇼소인에 보존되어 있다. 풍류 가야금은 신라금에 있는 금박이 없다. 사진 중에는 위에 것이 풍류 가야금이다.
⑪ 특경: 큰 경 하나를 나무틀에 매단 것이다. 음악이 마칠 때 연주한다. 종묘제례악, 문묘제례악에 사용한다.
⑫ 편경: 윗칸에 8개, 아랫칸에 8개의 경으로 이루어져있다. 두꺼우면 음이 높다. 각퇴로 경의 긴 쪽을 친다. 종묘제례악, 문묘제례악, 낙양춘, 보허자 등의 연주에 쓰인다.
⑬ 진고: 북 가운데 가장 크다. 종묘제례악, 문묘제례악에 사용한다. 시작과 끝에 사용한다. 곡 중간에도 절고와 함께 악절 끝마다 두 번씩 쳐준다. 북통이 검붉은 색이다.
⑭ 방향: 16개의 쇠 조각. 두께가 두꺼우면 소리가 높다. 길이는 모두 같다.
⑮ 영도, 뇌도, 노도: 영도는 북 4개를 엇갈리게 꿰어놓은 모양이다. 사진은 영도의 모습이다. 뇌도는 북 3개를 영도와 비슷한 형태로 엇갈리게 꿰어놓은 모양. 노도 역시 북 2개를 엇갈리게 꿰어놓은 모양이다. 이 세 가지 북은 모두 대를 흔들면서 연주한다.
9. 감상
국악 박물관을 갔다왔다. 창피하지만 처음에는 이런 곳이 있는 줄도 몰랐다. 일단 돈을 내지 않아서 좋았다. 박물관이라고 해서 무조건 넓을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작았다. 전시물들은 모두 깨끗하게 전시되어 있었는데 아쉬운 점은 전시품의 종류와 수가 적었다는 점이다. 악기전시실에는 악기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장치가 되어있어서 보고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듣고 배울 수도 있어서 좋았다. 그런데 그런 장치들 중에서 편경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것은 망가져 있어서 아쉬웠다. 음향영상실은 들어가 보지도 못했고 자료실은 들어갈 수가 없게 되어 있었다. 분명 일반인에게도 개방한다고 알고있었는데 못 들어가게 돼서 씁쓸했다. 그리고 자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게 간단한 설명 가이드북이나 라디오 설명이 있었으면 좋겠다. 국악은 우리 나라의 전통 음악이다. 그러나 많이 대중화 되어있지는 않다. 우리가 국악을 멀리하는 이유 중에 하나는 국악이 우리에게서 멀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국악 박물관의 작은 변화 하나가 우리를 우리 음악으로 좀더 이끌 수 있지 않을까 감히 생각해 본다.
참고문헌
최신 국악총론(세광음악출판사, 1989)
국악통론(형설출판사, 1994)
국악학논총(은하출판사, 2000)
http://www.ncktpa.go.kr(국립국악원)
키워드
추천자료
- 1917년 러시아 혁명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여성
- [교육사회학] 교육을 문화과정으로 보는 관점에 대해 설명하시오
- 자연지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 영역에서 영국의 4대권역(스코틀랜드, 웨일즈, 아일랜드, ...
- 러시아 발레의 기원과 생성과정, 발전과정, 사회문화사적 배경, 현재 흐름, 대표적 발레인물 ...
- 1917년 러시아 혁명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여성
- 남한부적응 탈북 청소년의 남한사회 문화 적응을 위한 사업 프로그램
- 예술로서의 영화, 영화의 문화성과 사회성
- 영어과 기본학습능력신장 사례, 기술가정과 만들기학습능력신장 사례, 과학과 탐구학습능력신...
- [오스만 제국의 모든것] 오스만 제국의 역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상세분석 레포트(2012...
- 영유아기에 수학교육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이론적 기초가 된 피아제의 인지적 구성주의, 부...
- 현대한국사회 배론 과제 - 한류문화의 발생근원, 확산원인, 그리고 미래 모습에 대한 자신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