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퇴비제조의 목적
2. 퇴비화과정
3. 퇴비화의 최적조건
4. 퇴비화 방법
가. 퇴적식 방법
나. 고속퇴비제조법
5. 연속퇴비제조법
2. 퇴비화과정
3. 퇴비화의 최적조건
4. 퇴비화 방법
가. 퇴적식 방법
나. 고속퇴비제조법
5. 연속퇴비제조법
본문내용
가에서 가능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처음에 만 생분을 건조 시켜 퇴적하여 수분함량 30∼40%의 퇴비를 만들어 종균퇴비로 하고,이 종균퇴비와 생분을 1:1 로 혼합퇴적하여 재발효 시킨다. 이때 수분은 60∼65% 정도로 하는데 수분함량이 이보다 많을 때는 종균의 퇴비의 량을 많게 하던가, 수분이 이보다 적을 때는 종균퇴비의 량을 적게 한다. 재발효의 퇴적 수분함량은 58∼65%로하여 퇴적기간중에 2∼3회의 뒤집기하여 퇴비화 한다. 발효가 끝난 퇴비는 그 량의 반은 퇴비로 사용하고 나머지 반은 다음 생분과 혼합 할 종균퇴비로 사용한다. 생분의 천일건조는 종균퇴비를 만들떼인 처음에만 실시하고 그 후에는 생분을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퇴비를 만드는데, 계절에 관계 없이 2∼3주간이면 퇴비화 할 수 있는 방법이다.
추천자료
슬러지처리처분계획
사업계획서-음식물쓰레기자원화시스템
[자연과학] 비료의 형태 및 성질
(사업계획서) 음식물처리기 개발 및 제조판매업 창업 (고급 PPT발표자료)
우리나라 퇴비관련 법규 및 품질관리 제도의 개선방안
음식물쓰레기로 부터 제조한 분체연료 연소특성
[퇴비][퇴비화][퇴비의 정의][퇴비의 필요성][퇴비의 부숙도평가][퇴비의 품질고급화 방안]퇴...
[퇴비화][퇴비][퇴비화 목적][퇴비화 특성][퇴비화 과정][퇴비화 조건][퇴비화 기술][퇴비화 ...
[퇴비화][퇴비화 특징][퇴비화 대상폐기물][퇴비화 장단점][퇴비화 개선 방안][폐기물]퇴비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