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분석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산업동향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음식료 산업의 개요

Ⅱ. 음식료 산업의 특성
1. 음식료 산업환경 특성
2. 재무환경 특성
3. 음식료 업종 특징

Ⅲ. 음식료 산업관련 규제 및 산업 경쟁
1. HACCP, PL 건강기능성식품법 등 규제의 강화
2. 식품업계 전반의 구조조정

Ⅳ. 음식료 산업의 동향

Ⅴ. 음식료 산업 전망
1. 음식료 산업의 화두 질적 성장
2. 음식료 산업 실적 변수 점검

Ⅵ. 음식료 산업 분석
1. 곡물수입가격 상승 부담 완화되는 시점
2. 국제곡물가격 추가 상승 어렵고 장기적으로는 안정될 전망
3. 해상운임 급락 효과 기대해 볼 만
4. 제품가격 상승과 원재료비 하락이 교차할 하반기 주목
5. CJ, 오리온, 빙그레 투자 유망

Ⅶ. 음식료 산업의 구체적 분석
1. 곡물수입가격 하락 가능성
2. 가격 인상의 효과
3. 음식료업체 투자 전략

본문내용

/04(전망)
변동률
2004.3
2004.4
YoY
MoM
공 급 량
186
203
216
229
238
233
1.4
-2.3
생 산 량
160
175
185
197
199
193
-2.0
-2.8
소 비 량
161
172
184
191
202
200
4.4
-1.2
교 역 량
47
55
54
62
65
63
0.5
-3.4
기말재고량
26
31
32
39
36
33
-16.0
-8.0
기말재고율
16.0
18.0
17.5
20.6
17.8
16.5
Source :USDA
④ 원당과 제당업체
원당가격은 하락 기조에서 최근 반등하였지만 여전히 상승폭은 매우 낮은 편이다. 5월 뉴욕선물시장의 원당선물가격은 전년동월대비 5.6% 상승한 $165.8/ton을 기록하였다. 운임상승을 반영한 원당수입가격은 전년동월대비 6.2% 상승한 $214.6/ton이다. 세계 원당 생산량의 10% 이상을 공급하는 브라질의 작황 호조로 인한 공급과잉로 곡물 중 유일하게 가격이 안정되어 있다.
03/04년 세계 원당 재고율은 24.8%로 전년 26.9%에 비해 하락할 전망이다. 단기적으로 원당가격은 강보합이 예상된다. 이는 투기자본의 침투 우려가 있고, 브라질의 항구 노동자 파업으로 인한 수출 차질이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인도등 아시아지역의 수요 증가도 영향을 줄 전망이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최대 생산국인 브라질의 작황이 여전히 호조세이고, 미국 등 생산국 작황 전망이 밝기 때문에 가격은 보합 수준에서 머무를 전망이다.
CJ, 삼양사, 대한제당 등 제당업체는 원당가격이 하락하여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원당가격은 하락하였으나, 02년 설탕가격이 8~9% 인하된 것 말고는 아직까지 제품가격 조정이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제당업체의 실적은 개선될 것으로 추정된다. 단기적으로는 원당가격은 강보합이 예상되나 운임 및 환율 하락이 수입가격 부담을 낮출 것으로 보여 당분간 제당사업은 국내 곡물가공업체의 cash cow 역할을 충실히 해낼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로 이들 제당업체는 제당뿐만 아니라 제분, 대두가공 혹은 사료사업도 동시에 하고 있다.
세계 대두 수급 동향 및 전망 (단위:백만톤,%)
구 분
99/00
00/01
01/02
02/03(추정)
03/04(전망)
변동률(YoY)
공 급 량
167
167
172
1812
182
0.2
생 산 량
136
130
135
147
145
-1.8
소 비 량
127
130
135
138
139
1.2
교 역 량
41
38
41
46
45
-1.3
기말재고량
40
37
34
37
34
-6.9
기말재고율
31.6
28.8
25.2
26.9
24.8
Source : USDA
미국 옥수수 수급 및 가격 전망 (단위: 백만부셀,%,$/부셀,$/ton)
구 분
02/03
03/04
04/05
05/06
08/09
10/11
13/14
공 급
11,517
11,785
12,088
12,466
12,598
12,783
13,151
기초재고
1,426
1,305
1,950
2,343
2,057
2,032
2,083
생 산
8,378
8,895
8,365
8,397
8,505
8,633
8,765
수 입
1,713
1,584
1,774
1,726
2,036
2,117
2,304
수 요
10,212
9,835
9,745
10,257
10,558
10,754
11,044
내 수
9,978
9,675
9,595
10,107
10,408
10,604
10,894
수 출
234
160
150
150
150
150
150
기 말 재 고
1,305
1,950
2,343
2,208
2,040
2,028
2,107
재 고 율(%)
12.8
19.8
24.1
21.5
19.3
18.9
19.1
가격($/부셀)
21.8
21.2
20.5
20.7
20.9
21.1
21.0
가격($/ton)
154.6
150.7
145.7
146.9
148.2
149.5
148.9
Source : USDA 전망, 동양종합금융증권 리서치센터
3. 음식료업체 투자 전략
1차 곡물가공업체는 앞서 분석한 바와 같이 향후 수익성 개선 모멘텀을 기대해 볼 만하다. 그 동안 이들 업체가 주식시장에서 소외되었던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가 ‘곡물가격 및 운임 급등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 우려’였다면, 향후에는 이 두가지 부담요인이 모두 약화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제품가격은 이미 원가부담을 상쇄하는 수준으로 인상되었기 때문에 원재료비가 하락할 경우 마진율은 오히려 개선될 수 있는 여건이 형성되었다. 이들 업체 중에서는 CJ가 투자 유망하다. CJ는 제분, 제당, 대두가공시장의 선두 업체이고, 신동방 인수로 전분전분당시장에까지 진출하며 위상이 더욱 강력해지고 있다. 여타 곡물가공업체는 곡물가공업 이외의 타 사업부 실적이 부진하여 이익 개선 효과가 반감될 것으로 보이지만, 동사는 곡물가공 이외의 사업부인 가공식품 및 생명공학부문의 실적도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2차 식품가공업체는 곡물가격 안정과 운임 하락의 간접적인 영향권 내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곡물수입가격이 하락할 경우 곡물가공업체는 이를 반영하여 제품가격을 인하하게 되고, 이때 비로소 식품가공업체의 원재료(곡물가공품)비가 떨어지게 된다. 수익성 개선의 시차가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부재료비의 비중도 높다. 따라서 식품가공업체는 곡물수입가격 하락 효과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기 때문에, 자체 경쟁력 강화로 시장점유율이 상승하는 업체에 투자를 집중하는 전략을 제시한다. 투자 유망 종목은 오리온과 빙그레이다. 성숙시장, 그리고 대기업들이 과점하고 있는 식품시장에서 점유율이 상승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이들 업체는 각각 제과와 유음료시장에서 점유율이 상승하고 있다. 점유율이 상승하면 가격결정권을 갖게 되고 이는 곧 업체의 수익성 향상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이들 업체의 점유율 상승이 일시적인 비용 출혈에 따른 효과가 아닌 브랜드력 상승에 기인한 것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는 신유통업태의 성장에 따라 이들 업체의 점유율상승이 계속되어 이익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하기 때문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4.06.22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66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