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르네 상스기 철학
2.합리론
3.경험론
2.합리론
3.경험론
본문내용
존재가 있다는 것을 말한다. 존재하지 않으면 완전하다고 볼 수 없다. 그런데 신은 완전하다. 그래서 신은 존재하게 되는 것이지. 존재하지 않으면 완전한게 아니니깐! 우습지. 그래도 이런 증명을 존재론적 증명이라고 하지.
존재뿐만아니라 운동도 마찬가지다. 움직이지 않는 것이 움직이려면 자극이 필요하다. 그 근원은 바로 신이 되는 것이지.
중세와 차이를 이제 알겠는가? 모르겠지. 중세에는 완전한 개념을 신이 만들어 준다고 했는데 테카르트에 와서는 이성이 그것을 판단할 수 있게 된거지. 그래서 합리주의, 또는 이성주의라고 부르지.
그런데 데카르트는 육체와 정신은 틀리다는 이원론을 주장했지. 그러면 감성에 좌우되는 육체를 이떻게 해야되겠는가? 누가 이 육체를 말릴 것인가? 그래서 데카르트는 그것이 이성밖에 없다고 해서 우리머리 속에 송과선이란 것이 있어서 이성이 육체를 억제할 수 있다고 보았다.
【스피노자】
참된 인식을 보증받기 위해서 신의재가를 얻을 필요는 없다. 실체는 정신도 물체도 아니었다. 전체로서의 자연이다. 정신과 물체는 사유와 연장이라는 실체의 속성이 드러난 양태라는 것이다. 데카르트는 신이 완전하고 무한하다고 했다. 그런데 신이 신에 의해 창조된 만물과 같을 순 없다. 이 말은 신과 자연에는 경계선이 있다는 것이다. 결국 신이 유한한 존재라고 할 수 있다는 모순이 생긴다. 그래서 신은 원래 자연과 똑같은 존재여야한다. 범신론적 일원론
‘나는 생각한다.’가 모든 것을 확실하게 사고하도록 보증해 준다고 했지만 물질 세계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확증해 주지 못한다. 불완전하다고 의심하는 것은 완전한 원의 개념이 있다는 것이다. 완전한 미인을 정의하면 그 미인은 테카르트에 의하면 존재론적 증명에 의해 존재해야 한다. 그런데 실재 존재하는가? 그래서 스피노자는 완전한 개념이 완전한 존재를 증명해 줄 수는 없다고 본다. 결국 ‘개라는 개념은 짖지 않는다는 것이다’
존재와 무의 기준은 존재에 있다는 것이지. 결국 진리가 진리 자체의 기준이고 인식에 이르려면 진리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 되지.
【라이프니츠】실체를 활동성있는 존재라고 정의했다. 실체의 속성은 연장, 사유가 아니라 활동성이라고 그리고 이 실체는 무수히 많다고 했다. 단자(monade)라고 불린다.
정신은 자기 외부로 부터의 간섭이나 인과율적인 영향을 받지 않고 자신의 본질적 원리에 따라 발전한다. 개개의 정신을 단자라고 하고, 신이 단자를 창조할
존재뿐만아니라 운동도 마찬가지다. 움직이지 않는 것이 움직이려면 자극이 필요하다. 그 근원은 바로 신이 되는 것이지.
중세와 차이를 이제 알겠는가? 모르겠지. 중세에는 완전한 개념을 신이 만들어 준다고 했는데 테카르트에 와서는 이성이 그것을 판단할 수 있게 된거지. 그래서 합리주의, 또는 이성주의라고 부르지.
그런데 데카르트는 육체와 정신은 틀리다는 이원론을 주장했지. 그러면 감성에 좌우되는 육체를 이떻게 해야되겠는가? 누가 이 육체를 말릴 것인가? 그래서 데카르트는 그것이 이성밖에 없다고 해서 우리머리 속에 송과선이란 것이 있어서 이성이 육체를 억제할 수 있다고 보았다.
【스피노자】
참된 인식을 보증받기 위해서 신의재가를 얻을 필요는 없다. 실체는 정신도 물체도 아니었다. 전체로서의 자연이다. 정신과 물체는 사유와 연장이라는 실체의 속성이 드러난 양태라는 것이다. 데카르트는 신이 완전하고 무한하다고 했다. 그런데 신이 신에 의해 창조된 만물과 같을 순 없다. 이 말은 신과 자연에는 경계선이 있다는 것이다. 결국 신이 유한한 존재라고 할 수 있다는 모순이 생긴다. 그래서 신은 원래 자연과 똑같은 존재여야한다. 범신론적 일원론
‘나는 생각한다.’가 모든 것을 확실하게 사고하도록 보증해 준다고 했지만 물질 세계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확증해 주지 못한다. 불완전하다고 의심하는 것은 완전한 원의 개념이 있다는 것이다. 완전한 미인을 정의하면 그 미인은 테카르트에 의하면 존재론적 증명에 의해 존재해야 한다. 그런데 실재 존재하는가? 그래서 스피노자는 완전한 개념이 완전한 존재를 증명해 줄 수는 없다고 본다. 결국 ‘개라는 개념은 짖지 않는다는 것이다’
존재와 무의 기준은 존재에 있다는 것이지. 결국 진리가 진리 자체의 기준이고 인식에 이르려면 진리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 되지.
【라이프니츠】실체를 활동성있는 존재라고 정의했다. 실체의 속성은 연장, 사유가 아니라 활동성이라고 그리고 이 실체는 무수히 많다고 했다. 단자(monade)라고 불린다.
정신은 자기 외부로 부터의 간섭이나 인과율적인 영향을 받지 않고 자신의 본질적 원리에 따라 발전한다. 개개의 정신을 단자라고 하고, 신이 단자를 창조할
추천자료
근세철학&현대철학
합리주의철학과 비합리주의철학
[그리스][그리스 정치][그리스 경제][그리스 철학][그리스 전쟁][정치][경제][철학][전쟁]그...
[고전미술,고전철학,고전음악,고전영화,미술,철학,음악,영화]고전미술, 고전철학(칸트, 피히...
[칸트][칸트철학][칸트사상][비판철학][선천적 종합판단]칸트의 생애, 칸트의 시대적 배경과 ...
철학사 - 서양의 철학역사와 한국의 철학
과학철학의 탐구범위(과학철학, 논리실증주의, 포퍼, 쿤, 라카토슈)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유아교육사상(유아교육철학), 퀸틸리아누스, 루터, 로크 유아교육사...
데카르트의 철학을 계승하면서, 수정 보완하여 기존 철학을 종합한 칸트의 주체 철학의 특징
[동양][철학][동양철학][사상][학문][행정][무도][인종][동양예술][미술][동양화]동양의 철학...
[대통령]대통령의 이념, 대통령의 권위, 대통령의 자질, 이승만 대통령의 통치철학(정치철학)...
방통대 중간과제 철학의 이해 공통유형 서양철학사(렘프레히트) - 9장 17세기 대륙의 철학 데...
유아교육철학 및 교육사 아동중심주의가 무엇인지 교육철학자의 입장에서 설명하고 현대 유아...
한중일 삼국의 ‘개화기’ 역사의 철학적 고찰 (동양 삼국의 철학과 서구 철학의 충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