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강 정철의 '장진주사' 종장의 의미와 역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작품의 단계별 분석
1. 1단계 - 작품의 흐름 분석
2. 2단계 - 어휘의 심층 분석과 비교(" 나비"를 중심으로)
3. 3단계 - 유배와 은둔생활의 파란만장한 삶

Ⅲ. 결 론

본문내용

이라고 하기엔 불필요한 사후세계의 묘사부분까지도 담고 있다. 이러한 표현은 인생의 무상함과 쓸쓸함을 드러내기에 부족함이 없는 표현이고 시대의 울타리를 초월한 감각을 나타내는 부분이기도 하다. 이렇게 보았을 때 하나의 장치로써 쓰이고 있는 초장의 의미를 작품 전체에 확대 해석하여 비판하는 것은 다소 위험한 비판이 아닌가 한다.
"짜나비 하람"이라는 표현이 한시에서 차용하여 보지도 않은 것에 대해 아는 척 하는 것이라는 비판에 대해서도 좀 더 신중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이전의 한시에서 거의 관용구처럼 쓰이고 있었고 정철이 그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는 할 수 없지만 "짜나비"를 보지 않았다는 것은 그다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문학 작품 속에서 작품 속의 내용이 반드시 실제와 연관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작품외적 사실과는 무관하게 작품내적 진실을 성취하고 있으면 괜찮은 것이다. 「장진주사」의 중장 이후는 상상력의 공간이다. 사후세계를 묘사하는 데 있어서 구체적인 표현들은 물론 실제로도 볼 수 있는 것들이기는 하지만 사후세계라는 설정 자체도 실제 경험과는 무관한 것이고 설령 있다하더라도 정철이 묘사해 놓은 것과 같으리라는 보장은 없다. 종장에서 나타나는 "짜나비 하람"도 그런 상상력의 연장선에서 볼 수 있다. 비록 한시에서 차용했다 할지라도 한시에서는 슬픔의 심상을 드러내기 위해 단독으로 쓰였을 뿐 「장진주사」에서처럼 "무덤 우힝"라는 공간과 묶여서 적막함과 으스스함까지 드러내면서 시 전체의 의미를 증폭시키는 역할까지 했던 적은 없다. 모방이기는 하지만 '창조적 모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런 것을 두고 실제로 보지도 않은 것에 대해 지식인이 유식한 척하는 것이라며 운운하는 것은 역시 작은 부분을 전체에 확대 해석하는 우를 범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하나의 작품을 평가할 때는 작품을 다각도로 최대한 분석한 과정을 거치고 난 이후에 평가해야지 작품의 내용만을 마음대로 요약해서 평가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그것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지니고 있는 이기적인 면을, 그것만을 보고 이기주의자라고 매도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 더군다나 사실여부와 연관지어 작품과 작가의 업적마저도 매도하는 것은 '선의의 거짓말'을 '사기'라고 매도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는 것이다. 허나 그렇다고 「장진주사」라는 시조 한 편을 두고 시가의 대가답다 운운하려는 것은 아니다. 그런 네임밸류를 떠나서 이 한 편의 시조만 놓고 본다고 해도 표현에 있어서 놀라운 감각을 보이고 있으며 작품의 완성도 측면에서도 뛰어난 성취를 보이고 있다.
작품을 다각도로 분석하면서 나름대로 작품에 충실하고자 했지만 본고의 논지전개에 있어서 미약한 부분은 앞으로 생각해봐야 할 부분이다. 서론에서도 얘기한 바 있듯이 주제나 어휘력의 범위가 현대에 비해 좁은 고전에서, 게다가 형식이 비교적 자유로운 가사에 비해 엄격한 정형성을 띠는 시조에서, 작품의 수준을 논할 때에는 보다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근거가 필요할 텐데, 본고에서는 "힝믈며"라는 표현이 당시에 어떤 형태로 쓰이고 있는지, 당시의 문법에 대한 고찰과 다른 작품과의 비교 부분이 없었고, 한시와의 연관성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도 이전의 작품을 두고 막연히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추측만 있었을 뿐, 그 과정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은 본고의 한계점으로 지적될 것이며 앞으로의 과제로 남을 것이다. 이러한 부분이 개인적으로 아쉬움으로 남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작품분석을 통해 고전시가의 한 부분을 조금이나마 볼 수 있었던 것은 귀중한 경험이 되었으며, 고전 작품 하나를 완벽하게 분석하고 평가하는데 얼마나 고도의 안목이 필요한 것인가 느낄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10.07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97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