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The Human Brain (인간의 두뇌)
1)the modularity of the brain (두뇌의 모듈성)
◎ Evidence from childhood brain lesions (유아기 두뇌손상에 나타난 증거)
◎ Spilt brains (절단한 두뇌)
◎ futher experiment (그 밖의 실험)
2)more evidence for modularity (모듈성에 대한 그 밖의 증거)
◎ apgasia (실어증)
◎ distinct categories of conceptual knowledge (개념지식의 독특한 범주)
2. The Autonomy of Language (언어의 독자성)
(1)Asymmetry of abilities (능력의 비대칭성)
◎ Laura
◎ Christopher
(2)Genetic evidence for language autonomy (언어 독자성의 유전학적 증거)
3. Language and Brain Development (언어와 두뇌 발달)
(1)the critical period (결정적 시기)
(2)A critical period for bird songs (새의 노래의 결정적 시기)
4. The Evolution of Language (언어의 진화)
◎ God's gift to mankind? (신이 내려준 선물인가?)
◎ The first language (최초의 언어)
◎ Human invention or 속 cries of nature? (인간 발명인가 또는 자연의 외침일까?)
1)the modularity of the brain (두뇌의 모듈성)
◎ Evidence from childhood brain lesions (유아기 두뇌손상에 나타난 증거)
◎ Spilt brains (절단한 두뇌)
◎ futher experiment (그 밖의 실험)
2)more evidence for modularity (모듈성에 대한 그 밖의 증거)
◎ apgasia (실어증)
◎ distinct categories of conceptual knowledge (개념지식의 독특한 범주)
2. The Autonomy of Language (언어의 독자성)
(1)Asymmetry of abilities (능력의 비대칭성)
◎ Laura
◎ Christopher
(2)Genetic evidence for language autonomy (언어 독자성의 유전학적 증거)
3. Language and Brain Development (언어와 두뇌 발달)
(1)the critical period (결정적 시기)
(2)A critical period for bird songs (새의 노래의 결정적 시기)
4. The Evolution of Language (언어의 진화)
◎ God's gift to mankind? (신이 내려준 선물인가?)
◎ The first language (최초의 언어)
◎ Human invention or 속 cries of nature? (인간 발명인가 또는 자연의 외침일까?)
본문내용
들은 스스로 언어를 만들어 낼 것으로 예상, 그것이 태초의 말이었을 것이라 믿음. 그 아이들이 말할 수 있는 나이가 되었을 때 처음 사용한 말은 bekos(현재 터키의 한 지방에서 쓰였던 "빵" 이라는 말) 였음. ∴ 이미 사멸한 이 고대언어가 본래의 언어라고 생각함
스코틀랜드의 James 4세 : 아이들은 히브리어를 사용함 ∴에덴동산에서 쓰인 언어로 생각
J.G.Becanus: 하느님은 가장 완전한 언어를 사용했을 것이기 때문에 독일어를 원시어로 봄
Noah Webster : 로마시대에 예루살렘에서 사용한 아람어라고 주장
Joseph Elkin : 처음으로 쓰인 말이라고 가장 합리적으로 추측할 수 있는 언어는 중국어
Monogenetic theory of language origin (언어의 단일 기원론) : 모든 언어의 뿌리는 하나→ 신화, 전설 등에 발견됨
◎ Human invention or 속 cries of nature? (인간 발명인가 또는 자연의 외침일까?)
Plato의 Cratylus 논문 : 고대 어느 시기에 모든 사물에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이름을 부여한 "명명자"가 있었다. 그리고 말은 그 의미의 본질을 반영한다.
bow-wow theory (멍멍이론) : 가장 초기의 언어형태는 모방적 즉 의성적인 것이다
Jean Jacques Rousseau : 가장 초기의 언어 표현은 "자연의 외침" (공포,놀람,고통 등)이다
Jespersen : 의사소통의 욕구보다는 사랑의 표현욕구로서 노래에서 유래된 것이 언어다
▶ the development of language in the species
스코틀랜드의 James 4세 : 아이들은 히브리어를 사용함 ∴에덴동산에서 쓰인 언어로 생각
J.G.Becanus: 하느님은 가장 완전한 언어를 사용했을 것이기 때문에 독일어를 원시어로 봄
Noah Webster : 로마시대에 예루살렘에서 사용한 아람어라고 주장
Joseph Elkin : 처음으로 쓰인 말이라고 가장 합리적으로 추측할 수 있는 언어는 중국어
Monogenetic theory of language origin (언어의 단일 기원론) : 모든 언어의 뿌리는 하나→ 신화, 전설 등에 발견됨
◎ Human invention or 속 cries of nature? (인간 발명인가 또는 자연의 외침일까?)
Plato의 Cratylus 논문 : 고대 어느 시기에 모든 사물에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이름을 부여한 "명명자"가 있었다. 그리고 말은 그 의미의 본질을 반영한다.
bow-wow theory (멍멍이론) : 가장 초기의 언어형태는 모방적 즉 의성적인 것이다
Jean Jacques Rousseau : 가장 초기의 언어 표현은 "자연의 외침" (공포,놀람,고통 등)이다
Jespersen : 의사소통의 욕구보다는 사랑의 표현욕구로서 노래에서 유래된 것이 언어다
▶ the development of language in the species
추천자료
컴퓨터 그래픽스의 역사
의사소통장애(communication disorder)
언어장애에 대해서
이상적인 교사 (바람직한 교사상)
[효과적인 교사, 바람직한교사상, 바람직한 교사] 효과적인 교사와 바람직한 교사
인지갈등학습(인지갈등수업모형) 정의와 특성, 인지갈등학습(인지갈등수업모형) 전제조건, 인...
[풍수][풍수지리설]풍수(풍수지리설)의 형태, 풍수(풍수지리설)의 용어, 풍수(풍수지리설)의 ...
[현대사회와 유아교육 보육] 현대사회와 아동교육 - 아동교육의 중요성과 아동교육의 내용 및...
인지발달 이론의 이해
나의 생애사를 작성하여 발달단계별 특성과 나의 생애사는 어떤 차이점과 공통점이 있는지 자...
[부모교육] 태내기 및 영아기 발달 특성과 중요성, 태내기 및 영아기 자녀를 둔 바람직한 부...
'언어발달 이론 중 행동주의주의 이론을 설명하시오.[언어습득이론]
언어의 이해 B형) 내적 언어학의 분야를 제시하고, 각 분야에서 무엇을 어떻게 연구하는지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