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례
1. 서론
2. 로저스(Carl R. Rogers)의 이론 옹호 입장
2.1 인본주의 심리학
2.2 로저스의 성격이론
2.3 주요 개념
2.4 로저스 이론의 적용
2.5 로저스 이론에 대한 전체적인 나의 생각
3.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이론 비판 입장
3.1 정신역동적 관점의 심리학
3.2 프로이트의 성격이론
3.3 주요 개념
3.4 정신분석치료의 목표
3.5 프로이트 이론과 영향
3.6 프로이트 이론에 대한 전체적인 나의 생각
4. 참고문헌
1. 서론
2. 로저스(Carl R. Rogers)의 이론 옹호 입장
2.1 인본주의 심리학
2.2 로저스의 성격이론
2.3 주요 개념
2.4 로저스 이론의 적용
2.5 로저스 이론에 대한 전체적인 나의 생각
3.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이론 비판 입장
3.1 정신역동적 관점의 심리학
3.2 프로이트의 성격이론
3.3 주요 개념
3.4 정신분석치료의 목표
3.5 프로이트 이론과 영향
3.6 프로이트 이론에 대한 전체적인 나의 생각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성격이론
3.2.1 프로이트의 이야기
프로이트는 현대 성격이론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친 사람이다. 그의 유명한 저서인 ‘꿈의 해석’등을 통해 그는 무의식의 세계와 리비도, 성, 본능이 성격형성과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프로이트 이후의 유명한(혹은 권위있는) 심리학 내용들도 모두 프로이트의 의견을지지, 보완하거나 비판하면서 나온점을 볼 때, 프로이트가 심리학에 미친 영향력은 대단하다고 볼 수 있다.
그의 성격 이론에 영향을 주었을 어릴적 이야기를 살펴보겠다. 이는 프로이트가 직접 이야기한 것이라고 한다.
프로이트-라깡학파의 프로이트 읽기
제 1장 나의 인생은 정신분석학과 관련해서만 흥미로울 뿐이다...
추억(souvenirs)-어릴적 이야기(평범하거나 평화롭지 않았던 상황)
\"양친은 처음에는 부유하였고, 조그마한 시골 마을에서 꽤 안락하게 살았다고 기억된다. 세살 무렵, 아버지가 종사하던 업종은 파산을 했고, 아버지는 자본을 잃어버리고 우리 가족은 고향을 떠나 큰 도시로 나가 정착하여야만 했다. 그후로 이루 말할 수 없이 고통스러운 힘든 나날이 계속되었던 것 같다. 나는 그 도시에서 결코 편안하게 느껴본 적이 없었다. 요즈음, 나는 자신이 고향의 아름다운 숲에 대한 향수를 늘 품어 왔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내가 막 걸음마를 시작하였던 시절, 내 뒤를 쫓아오는 아버지를 피해 이리저리 뛰어다니곤 했던 추억 하나가 떠오른다...\"
소명 - 대학에 입학했던 시기의 정신상태
\"나는 열일곱 살이었고, 내가 하숙하던 가정에는 열다섯 살의 소녀가 있었다. 나는 즉시 그녀와 사랑에 빠지게 되었다. 이것이 나의 유년기의 첫사랑이었는데, 제법 강렬한 것이었다. 그러나 나는 이를 절대적으로 비밀로 간직했다. 며칠 후 그 소녀는 학교로 돌아갔다 - 그녀 역시 휴가를 지내러 온 것이었었다. 그렇게 짧은 시간 후의 헤러짐이라서 나의 슬픔은 더욱 컸다. 나는 어렸을 때 스페인 성을 지으며 시간을 보내곤 했던, 다시 찾은 아름다운 숲을 가로질러 장시간 고독하게 산책하곤 했다. 나의 몽상은 기묘하게도 미래로 향하지 않고 과거를 수정하려고만 했다. 만약에 우리 가족이 파산하지 않았더라면. 만일 내가 집에 머물러 그녀의 가족들처럼, 내 애인의 오빠들처럼 성장해 강해졌더라면! 그래서 내가 아버지의 가업을 이어받앗다면, 그리고 그녀와 결혼했다면! - 그랬다면 수년간 그녀를 가까이서 알 수 있었을 텐데. 나는 상상력이 만들어낸 상황이 이루어진다 하여도 그녀를 정확히 똑같은 정열을 갖고 사랑했으리라는 사실에 대해서는 털끝만큼도 의심하지 않았다...\"
3.3 주요 개념
3.3.1 정신분석의 발전과정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은 처음 의견에 굳어있지 않다. 즉, 자신의 의견을 보완하고 발전시키면서 완성해 갔던 것이다. 연대별로 간단히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전정신분석기(1896년까지)
근본적인 발견의 시기(1896년에서 1910년까지)
확립기(1910년에서 1919년까지)
추동이론의 수정과 구조이론의 발전에 기여한 시기(1919년부터 1926년까지)
자아심리학 구축기(1926년에서 1939년까지)
3.3.2 주요개념
자각의 수준
의식(conscious), 전의식(preconscious), 무의식(unconscious)으로 자각의 세 수준을 구분하였다. 이중 무의식은 프로이트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자각의 수준이다.
본능이론
프로이트의 성격이론은 성격의 주요한 추진력을 추동(drive) 혹은 충동(impulse)으로 보는 본능이론이다. 이 본능을 두 가지 범주인 삶 본능(life insctincts)과 죽음 본능(death insctincts)으로 나누었다.
성격의 구조이론
프로이트는 성격이 세 가지 구조적 구성요서인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에 의해 작동한다고 보았다.
원초아 - 성격의 가장 원시적인 부분으로 모든 본능의 저장소이며 본능적 추동에 의해 추동적으로 작동하며 성격의 다른 두 부부닌 자아, 초자아에 쾌락을 위한 압력을 가한다.(쾌락원리; pleasure principle)
자아 - 자아는 성격의 합리적 측면으로 실제적인 면에서 개인이 접하는 현실을 인지하고 조정하면서현실원리(reality principle)에 따라 작동한다.
초자아 - 인간 성격의 사회적 구성요소로서 주로 개인의 내적 도덕성인 양심(conscience)과 개인이 추구하고자 하는 자아이상(ego-ideal)에 의해 작동한다.(도덕원리; morality principle)
불안
현실 불안 - 자아가 현실을 지각하여 두려움을 느끼는 불안이다.
신경증 불안 - 현실을 고려하여 작동하는 자아와 본능에 의해 작동되는 원초아간의 갈등에서 비롯된 불안이다.
도덕 불안 - 원초아와 초자아간의 갈등에서 비롯된 불안으로본질적으로자신의 양심에 대한 두려움이다.
방어기제
프로이트는 모든 행동이 본능에 의해 동기화되는 것처럼 역시 불안을 피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방어적이라고 보았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불안을 원치 않으며 불안으로부터 벗어나기를 원한다. 따라서 인간은 갈등에서 비롯된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방어기제(defensemechnisms)를 사용한다.
다양한 방어기제가 작동되는 구체적 내용은 서로 다르지만 공통적인 두 가지 특성을 가진다. 첫째는 현실의 부정 혹은 외곡이고 둘째는 방어기제는 무의식적으로 작동된다는 점이다. 몇 가지 주요한 방어기제의 내용은 억압(repression), 부정(denial),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투사(projection), 퇴행(regression), 전위(displacement), 승화(sublimation), 합리화(rationalization) 이 있다.
3.4 정신분석치료의 목표
성장의 촉진
인간의 기본적인 신뢰감과 안정감을 회복시켜야 한다. 대상관계 발달에서는 분리와 개별화가 이루어져서 자기 동일성을 구축하도록 해야 한다. 초자아로부터 어느 정도 자유로와지고 자기화된 건전한 양심을 형성해야 한다. 자신의 공격성에 대한 불안을 극복하고공격성을 건설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성에 대한 미숙한 환상이나
3.2.1 프로이트의 이야기
프로이트는 현대 성격이론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친 사람이다. 그의 유명한 저서인 ‘꿈의 해석’등을 통해 그는 무의식의 세계와 리비도, 성, 본능이 성격형성과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프로이트 이후의 유명한(혹은 권위있는) 심리학 내용들도 모두 프로이트의 의견을지지, 보완하거나 비판하면서 나온점을 볼 때, 프로이트가 심리학에 미친 영향력은 대단하다고 볼 수 있다.
그의 성격 이론에 영향을 주었을 어릴적 이야기를 살펴보겠다. 이는 프로이트가 직접 이야기한 것이라고 한다.
프로이트-라깡학파의 프로이트 읽기
제 1장 나의 인생은 정신분석학과 관련해서만 흥미로울 뿐이다...
추억(souvenirs)-어릴적 이야기(평범하거나 평화롭지 않았던 상황)
\"양친은 처음에는 부유하였고, 조그마한 시골 마을에서 꽤 안락하게 살았다고 기억된다. 세살 무렵, 아버지가 종사하던 업종은 파산을 했고, 아버지는 자본을 잃어버리고 우리 가족은 고향을 떠나 큰 도시로 나가 정착하여야만 했다. 그후로 이루 말할 수 없이 고통스러운 힘든 나날이 계속되었던 것 같다. 나는 그 도시에서 결코 편안하게 느껴본 적이 없었다. 요즈음, 나는 자신이 고향의 아름다운 숲에 대한 향수를 늘 품어 왔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내가 막 걸음마를 시작하였던 시절, 내 뒤를 쫓아오는 아버지를 피해 이리저리 뛰어다니곤 했던 추억 하나가 떠오른다...\"
소명 - 대학에 입학했던 시기의 정신상태
\"나는 열일곱 살이었고, 내가 하숙하던 가정에는 열다섯 살의 소녀가 있었다. 나는 즉시 그녀와 사랑에 빠지게 되었다. 이것이 나의 유년기의 첫사랑이었는데, 제법 강렬한 것이었다. 그러나 나는 이를 절대적으로 비밀로 간직했다. 며칠 후 그 소녀는 학교로 돌아갔다 - 그녀 역시 휴가를 지내러 온 것이었었다. 그렇게 짧은 시간 후의 헤러짐이라서 나의 슬픔은 더욱 컸다. 나는 어렸을 때 스페인 성을 지으며 시간을 보내곤 했던, 다시 찾은 아름다운 숲을 가로질러 장시간 고독하게 산책하곤 했다. 나의 몽상은 기묘하게도 미래로 향하지 않고 과거를 수정하려고만 했다. 만약에 우리 가족이 파산하지 않았더라면. 만일 내가 집에 머물러 그녀의 가족들처럼, 내 애인의 오빠들처럼 성장해 강해졌더라면! 그래서 내가 아버지의 가업을 이어받앗다면, 그리고 그녀와 결혼했다면! - 그랬다면 수년간 그녀를 가까이서 알 수 있었을 텐데. 나는 상상력이 만들어낸 상황이 이루어진다 하여도 그녀를 정확히 똑같은 정열을 갖고 사랑했으리라는 사실에 대해서는 털끝만큼도 의심하지 않았다...\"
3.3 주요 개념
3.3.1 정신분석의 발전과정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은 처음 의견에 굳어있지 않다. 즉, 자신의 의견을 보완하고 발전시키면서 완성해 갔던 것이다. 연대별로 간단히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전정신분석기(1896년까지)
근본적인 발견의 시기(1896년에서 1910년까지)
확립기(1910년에서 1919년까지)
추동이론의 수정과 구조이론의 발전에 기여한 시기(1919년부터 1926년까지)
자아심리학 구축기(1926년에서 1939년까지)
3.3.2 주요개념
자각의 수준
의식(conscious), 전의식(preconscious), 무의식(unconscious)으로 자각의 세 수준을 구분하였다. 이중 무의식은 프로이트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자각의 수준이다.
본능이론
프로이트의 성격이론은 성격의 주요한 추진력을 추동(drive) 혹은 충동(impulse)으로 보는 본능이론이다. 이 본능을 두 가지 범주인 삶 본능(life insctincts)과 죽음 본능(death insctincts)으로 나누었다.
성격의 구조이론
프로이트는 성격이 세 가지 구조적 구성요서인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에 의해 작동한다고 보았다.
원초아 - 성격의 가장 원시적인 부분으로 모든 본능의 저장소이며 본능적 추동에 의해 추동적으로 작동하며 성격의 다른 두 부부닌 자아, 초자아에 쾌락을 위한 압력을 가한다.(쾌락원리; pleasure principle)
자아 - 자아는 성격의 합리적 측면으로 실제적인 면에서 개인이 접하는 현실을 인지하고 조정하면서현실원리(reality principle)에 따라 작동한다.
초자아 - 인간 성격의 사회적 구성요소로서 주로 개인의 내적 도덕성인 양심(conscience)과 개인이 추구하고자 하는 자아이상(ego-ideal)에 의해 작동한다.(도덕원리; morality principle)
불안
현실 불안 - 자아가 현실을 지각하여 두려움을 느끼는 불안이다.
신경증 불안 - 현실을 고려하여 작동하는 자아와 본능에 의해 작동되는 원초아간의 갈등에서 비롯된 불안이다.
도덕 불안 - 원초아와 초자아간의 갈등에서 비롯된 불안으로본질적으로자신의 양심에 대한 두려움이다.
방어기제
프로이트는 모든 행동이 본능에 의해 동기화되는 것처럼 역시 불안을 피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방어적이라고 보았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불안을 원치 않으며 불안으로부터 벗어나기를 원한다. 따라서 인간은 갈등에서 비롯된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방어기제(defensemechnisms)를 사용한다.
다양한 방어기제가 작동되는 구체적 내용은 서로 다르지만 공통적인 두 가지 특성을 가진다. 첫째는 현실의 부정 혹은 외곡이고 둘째는 방어기제는 무의식적으로 작동된다는 점이다. 몇 가지 주요한 방어기제의 내용은 억압(repression), 부정(denial),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투사(projection), 퇴행(regression), 전위(displacement), 승화(sublimation), 합리화(rationalization) 이 있다.
3.4 정신분석치료의 목표
성장의 촉진
인간의 기본적인 신뢰감과 안정감을 회복시켜야 한다. 대상관계 발달에서는 분리와 개별화가 이루어져서 자기 동일성을 구축하도록 해야 한다. 초자아로부터 어느 정도 자유로와지고 자기화된 건전한 양심을 형성해야 한다. 자신의 공격성에 대한 불안을 극복하고공격성을 건설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성에 대한 미숙한 환상이나
추천자료
심리학 이론을 바탕으로 한 나의 성격분석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 이론적 배경,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 성격발달단계, 정신분석이론(...
교육심리(교육심리학)의 개념과 성격 및 발달이론, 교육심리(교육심리학)의 성격과 적용기제...
[종교][신앙][종교 성격][종교 기능][종교 이론][종교분쟁][철학][심리학][종교 문제점]종교...
[매슬로우 욕구이론]매슬로우 욕구이론과 조직행동 동기부여, 매슬로우 욕구이론과 개인행동...
[인간행동과사회환경]분석심리학이론 - Jung의 생애, 정신에너지(리비도), 성격체제와 성격발...
[프로이트 정신분학학 이론] 프로이트 심리 성격 발달단계, 프로이트 이론 교육적 시사점, 프...
[교육심리학]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과 에릭슨(Erikson)의 성격발달 8단계설에 대해...
[교육심리학]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am...
방송통신 대학학교 간호학과 4학년 2학기 2014년 교육심리학 과제물 - 가드너(Gardner)의 다...
프로이드(프로이트/Freud)의 성격발달단계와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 이론 8단계에 대...
프로이드(프로이트/Freud)의 정신발달이론의 핵심적 내용을 소개하고, 성격발달 단계를 설명...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을 설명하고,...
심리학 이론 중 정신분석 이론을 활용하여 본인의 성격이 만들어진 과정을 설명하고 어린 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