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2. 절대진리란 존재하여야 하는가
2-1. 절대진리의 기원
2-2. 기독교의 독단
2-3. 문화의 다양성
2-4. 포스트모더니즘
3. 결론
2. 절대진리란 존재하여야 하는가
2-1. 절대진리의 기원
2-2. 기독교의 독단
2-3. 문화의 다양성
2-4. 포스트모더니즘
3. 결론
본문내용
획일화 해왔다. 하나의 진리를 주장한다는 것은 이제는 받아들이기 힘들지 않나 생각이 든다. 물론 아직까지 다양한 가치가 공존하는 세기가 온 것은 아니다. 현재 일어나고 있는 기독교 문명과 이슬람 문명의 충돌, 세계를 이끌고 있는 W.A.S.P 의 존재 등 아직 절대진리를 필요로 하는 자들이 많이 있다.
나는 이 세상을 살면서 인간이 궁극적으로 추구해야만 하는 가치가 어떤 것인지, 있는지는 한 것인지 잘 모르겠다. 하지만 분명히 단지 신의 뜻이라는 이유만으로, 본적도 없는 신의 가르침이라는 이유만으로 만들어진 진리에 따라 사는 것은 아닐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절대진리를 필요로 하는 자들이 획일화 해놓은 가치들에 따라 살아가는 것도 아닐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이러한 것들을 다 부정해 버리고 모든 사람들의 가치의 다양성을 다 인정한다면 이 사회는 혼란에 빠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 혼란이 어느 정도까지 심각해 질 것인지는 나로서는 예측하기가 힘들다. 하지만 인간이 궁극적으로 원하는 유토피아적인 세상에 대해 생각해 볼 때, 절대진리라는 것에 가려져 사는 것보다는 각 개인의 다양한 가치를 실현 시킬 수 있는 세상에 사는 것이 좀더 유토피아적인 세상에 가깝지 않나 생각한다. 모든 사람이 태어나면서 똑같은 가치의 추구를 위해 태어났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정해져 있는 가치가 있다고 한다면, 이 또한 단지 한 개인의 가치일 뿐 모두의 가치는 아니한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꼽추에게서 그 혹을 떼어내면, 그에게서 정신을 떼어내는 것이다. 그리고 장님의 눈을 뜨게 하면, 그는 지상에서 나쁜 일을 너무 많이 보게 되고 따라서 그를 낫게한 자를 저주하게 된다. 더욱이 절름발이를 달리게 하는 자는 그에게 최대의 해악을 가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가 달리자마자 그의 악덕도 그와 함께 달리기 때문이다.” Friedrich Nietzsche,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2004, 민음사, P.245)
참고문헌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Friedrich Nietzsche, (2004, 민음사)
권력에의 의지, Friedrich Nietzsche, (1988, 청하)
포스트 모던인가 새로운 중세인가, Umberto Eco, (1993, 새물결)
Utopistics, Immanuel Wallerstein, (1999, 창작과 비평사)
Politics and Culture, Michael Ryan, (1996, 갈무리)
나는 이 세상을 살면서 인간이 궁극적으로 추구해야만 하는 가치가 어떤 것인지, 있는지는 한 것인지 잘 모르겠다. 하지만 분명히 단지 신의 뜻이라는 이유만으로, 본적도 없는 신의 가르침이라는 이유만으로 만들어진 진리에 따라 사는 것은 아닐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절대진리를 필요로 하는 자들이 획일화 해놓은 가치들에 따라 살아가는 것도 아닐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이러한 것들을 다 부정해 버리고 모든 사람들의 가치의 다양성을 다 인정한다면 이 사회는 혼란에 빠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 혼란이 어느 정도까지 심각해 질 것인지는 나로서는 예측하기가 힘들다. 하지만 인간이 궁극적으로 원하는 유토피아적인 세상에 대해 생각해 볼 때, 절대진리라는 것에 가려져 사는 것보다는 각 개인의 다양한 가치를 실현 시킬 수 있는 세상에 사는 것이 좀더 유토피아적인 세상에 가깝지 않나 생각한다. 모든 사람이 태어나면서 똑같은 가치의 추구를 위해 태어났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정해져 있는 가치가 있다고 한다면, 이 또한 단지 한 개인의 가치일 뿐 모두의 가치는 아니한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꼽추에게서 그 혹을 떼어내면, 그에게서 정신을 떼어내는 것이다. 그리고 장님의 눈을 뜨게 하면, 그는 지상에서 나쁜 일을 너무 많이 보게 되고 따라서 그를 낫게한 자를 저주하게 된다. 더욱이 절름발이를 달리게 하는 자는 그에게 최대의 해악을 가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가 달리자마자 그의 악덕도 그와 함께 달리기 때문이다.” Friedrich Nietzsche,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2004, 민음사, P.245)
참고문헌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Friedrich Nietzsche, (2004, 민음사)
권력에의 의지, Friedrich Nietzsche, (1988, 청하)
포스트 모던인가 새로운 중세인가, Umberto Eco, (1993, 새물결)
Utopistics, Immanuel Wallerstein, (1999, 창작과 비평사)
Politics and Culture, Michael Ryan, (1996, 갈무리)
추천자료
폴 히버트의 Anthropological Insights for Missionaries. 선교와 문화인류학
[계몽][계몽사상][계몽주의][계몽의 진리][과학][이성][계몽주의 시대 과학]계몽, 계몽사상, ...
[다도][차][다도교육][차문화][다도 유래][다구 종류][다도의 예절][차를 우려내는 방법][차...
[포스트모던][포스트모더니즘]포스트모던(포스트모더니즘)의 정의와 특성, 포스트모던(포스트...
현대의 4대교육철학,진보주의,본질주의,항존주의,문화재건주의,진보주의본질주의비교,본질주...
그리스도교(기독교) 역사, 그리스도교(기독교) 역사관, 그리스도교(기독교) 은총, 그리스도교...
[포스트모던 철학][포스트모더니즘 철학][진리관][교육적 시사점]포스트모던 철학(포스트모더...
스토리텔링을 통한 관광 개발 성공 사례, 배경, 지역개발 사례, 국내 사례, 문화관광 축제, ...
[과학기술]과학기술의 특성, 과학기술 문제점, 과학기술과 문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카이...
[아동수학지도] 행동주의 구성주의 사회문화적 구성주의 다중지능 선택1 이론이 아동수학에 ...
다국적기업 구글(Google) 구글기업분석,구글 경영전략사?구글 마케팅 - 기업소개, 역사, 기업...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리더십, 소크라테스의 생애, 소크라테스정치, 소크라테스사회, 소크라...
과학교육을 위한 인지적 기초 이론으로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문화적 구성주의를 비교하고 ...
[성차의 이해] 성차의 생물학적 기원, 성의 사회문화적 성격, 여성성-남성성-양성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