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비평의 정의
2. 비평의 단계(段階)
3. 비평의 기능과 의의
4. 비평의 양상
5. 비평의 유형
6. 비평의 오류
7. 비평의 접근 방법
2. 비평의 단계(段階)
3. 비평의 기능과 의의
4. 비평의 양상
5. 비평의 유형
6. 비평의 오류
7. 비평의 접근 방법
본문내용
일관성 형성'을 시도한다. 즉 현실독자가 독서활동을 하는 동안 텍스트 속의 의도된 내포독자의 해석을 이해하는 과정이 생기는 것이다. 그러나 텍스트와 독자 사이에는 독자의 판단이 정확한지의 여부, 그리고 텍스트의 의도를 확정할 수 있는 규제적인 맥락이 없다. 이것을 이저는 "텍스트와 독자 사이의 비대칭적 관계"라고 말한다. 소통 구조 속에 '공백'이 있기 때문에 텍스트와 독자 사이의 관계는 불확정적이다. '공백'은 독서를 방해하면서 동시에 독자를 자극하는 요소가 되며 결합적 관계 속에서 공백을 메우는 과정에서 이전의 제도가 독자의 사회 규범과의 모순을 발견하고 타당성이 없거나 파괴되는 하나의 새로운 관점을 얻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이저는 '부정'이라고 말한다. 그 부정에 의해서 텍스트의 대상은 독자의 의식에 더욱 선명하게 나타나고, 그것은 독자로 하여금 심미적 효과를 강화하게 된다. 결국 독자는 텍스트 내의 공백을 메꾸고 부정함으로써 텍스트를 작품으로 완성시키는 공동창작자가 되어야 한다.
한계(비판)
- 문학의 개념, 또는 문학의 가치에 대한 객관적 규명을 하기가 어렵다.
- 독자의 의식 상태를 객관적으로 도출하기가 어렵다.
- 개개의 작품과 독자의 기대지평을 토대로 작품 수용과정을 일률적으로 밝혀내기 어렵다.
- 독자의 각양각색의 스키마(schima)에 의한 독서 수준을 판단할 뚜렷한 기준이 없다.
④ 심리주의 비평
· 심리주의 비평이란 심리학적, 정확하게는 정신분석학적 원리에 비추어 문학 연구를 수행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
· 프로이드(Sigmund Freud)에 의하여 발전된 심리분석의 가정 : 종족과 기본적 충동 안에서 잠재되어 있는 많은 역할을 맡고 있으며, 또한 개인의 요구의 좌절과도 연관된 무의식의 세계가 갖는 중요서에 대한 인식 / 충동들에 대한 사회적 금지를 깨닫게 하고, 금지·억압된 것들을 허락된 표현의 형태도 승화시켜 나타내도록 하는 내면적 검열 / 기본적 리비도(libido) 또는 성적 요구
· 문학 연구에 있어서도 심리학의 적용은 구체적으로 작가의 창작 심리 연구, 작품의 내적 심리 연구, 그리고 독자의 수용 심리 연구라는 세 분야로 나누어 전개되었다.
한계(비판)
- 작품에 대한 미적 가치 구명에 적절한 방법이 되지 못한다.
⑤ 신화 비평
· 현대의 신화 비평은 문학을 하나의 신화 체계에 따라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 문학이 인류의 기본 신화를 이야기하는 역할을 맡은 것으로 믿는다.
· 신화 비평(원형 비평)은 문학 작품과 신화의 불가분의 관계를 상정한 후, 문학 작품 속에서 신화적 요소의 원형을 발견하며, 그 원형이 어떠한 변모의 과정을 거쳐 작품화되었나를 연구하게 된다.
· 프레이저의 ■■황금가지■■는 오늘날 신화 비평이 있게 하는 데 큰 공헌을 하였다.
· 프라이(N. Frye) ■■비평의 해부■■
- 문학 장르의 원형 : 봄의 미토스 - 희곡 / 여름의 미토스 - 로만스 / 가을의 미토스 - 비극 / 겨울의 미토스 - 아이러니와 풍자
- 신화 비평의 특징
① 문학의 근거를 신화라고 믿고 직접 체험한 이야기는 배제한다는 것이다.
② 신화 비평은 어떤 이념이나 역사관에 의거한 작품 평가를 반대한다.
③ 신화 비평은 그 목표를 문학의 형태를 논한(장르론)에 두고 있다.
한계(비판)
- 원형이나 단일 신화(기본 신화)를 추구하다 보면 일정한 동일성이나 예상성에 빠질 수가 있다.
- 분석적이고 묘사적인 작품 연구는 가능하나, 가치평가적인 문학 연구와는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 문학 작품을 가장 시원적으로 돌리려는 시도에서, 문학을 때로는 원시적 표현의 한 양식으로 환원해 버리고 예술가를 어린이나 원시인과 동일한 것으로 그려 놓게 된다.
한계(비판)
- 문학의 개념, 또는 문학의 가치에 대한 객관적 규명을 하기가 어렵다.
- 독자의 의식 상태를 객관적으로 도출하기가 어렵다.
- 개개의 작품과 독자의 기대지평을 토대로 작품 수용과정을 일률적으로 밝혀내기 어렵다.
- 독자의 각양각색의 스키마(schima)에 의한 독서 수준을 판단할 뚜렷한 기준이 없다.
④ 심리주의 비평
· 심리주의 비평이란 심리학적, 정확하게는 정신분석학적 원리에 비추어 문학 연구를 수행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
· 프로이드(Sigmund Freud)에 의하여 발전된 심리분석의 가정 : 종족과 기본적 충동 안에서 잠재되어 있는 많은 역할을 맡고 있으며, 또한 개인의 요구의 좌절과도 연관된 무의식의 세계가 갖는 중요서에 대한 인식 / 충동들에 대한 사회적 금지를 깨닫게 하고, 금지·억압된 것들을 허락된 표현의 형태도 승화시켜 나타내도록 하는 내면적 검열 / 기본적 리비도(libido) 또는 성적 요구
· 문학 연구에 있어서도 심리학의 적용은 구체적으로 작가의 창작 심리 연구, 작품의 내적 심리 연구, 그리고 독자의 수용 심리 연구라는 세 분야로 나누어 전개되었다.
한계(비판)
- 작품에 대한 미적 가치 구명에 적절한 방법이 되지 못한다.
⑤ 신화 비평
· 현대의 신화 비평은 문학을 하나의 신화 체계에 따라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 문학이 인류의 기본 신화를 이야기하는 역할을 맡은 것으로 믿는다.
· 신화 비평(원형 비평)은 문학 작품과 신화의 불가분의 관계를 상정한 후, 문학 작품 속에서 신화적 요소의 원형을 발견하며, 그 원형이 어떠한 변모의 과정을 거쳐 작품화되었나를 연구하게 된다.
· 프레이저의 ■■황금가지■■는 오늘날 신화 비평이 있게 하는 데 큰 공헌을 하였다.
· 프라이(N. Frye) ■■비평의 해부■■
- 문학 장르의 원형 : 봄의 미토스 - 희곡 / 여름의 미토스 - 로만스 / 가을의 미토스 - 비극 / 겨울의 미토스 - 아이러니와 풍자
- 신화 비평의 특징
① 문학의 근거를 신화라고 믿고 직접 체험한 이야기는 배제한다는 것이다.
② 신화 비평은 어떤 이념이나 역사관에 의거한 작품 평가를 반대한다.
③ 신화 비평은 그 목표를 문학의 형태를 논한(장르론)에 두고 있다.
한계(비판)
- 원형이나 단일 신화(기본 신화)를 추구하다 보면 일정한 동일성이나 예상성에 빠질 수가 있다.
- 분석적이고 묘사적인 작품 연구는 가능하나, 가치평가적인 문학 연구와는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 문학 작품을 가장 시원적으로 돌리려는 시도에서, 문학을 때로는 원시적 표현의 한 양식으로 환원해 버리고 예술가를 어린이나 원시인과 동일한 것으로 그려 놓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