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들어가며
II. 탐구
1. 일연 탐구
2. 삼국유사 탐구
(1) 삼국유사의 체재
(2) 삼국유사의 독창성
(3) 삼국유사의 문학사적 의의
III. 나오며
II. 탐구
1. 일연 탐구
2. 삼국유사 탐구
(1) 삼국유사의 체재
(2) 삼국유사의 독창성
(3) 삼국유사의 문학사적 의의
III. 나오며
본문내용
더욱 귀중한 자료요, 그 자체가 걸출한 작품이 아닐 수 없다. 뿐만 아니라 고대의 우리 정치 사회 종교 등을 연구함에도 귀중한 고전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어떠한 이는 삼국유사를 민족의 웅대한 서사시라고 규정하였던 것이다. 이는 결코 과장된 평가가 아니다. 따라서 일연은 문학의 거장이며 일대 서사시 작가이기도 하다. 「삼국유사의 설화문학적 가치」,『삼국유사의 문예적 연구』, 장덕순
서사문학의 본류를 이루고 있는 후대의 Romance와 Novel의 원조인 서사시가 신화에 기초를 두고 있다는 사실은 세계가 공통인데, 한국에서는 일연의 불교적인 저작에 의해 한국의 신화가 보존되어 한국 서사 문학의 역사적 전개에 절대적 영향을 주었다는 사실은 이미 학자들에 의해 크게 인정되었다. 『한국중세서사문학사』, 정상균, pp.98.
최남선은 “삼국유사의 전하는 바가 궤괴할수록 신화적 신문(信文)이요 전통적 원형임을 드러내는 것” 이라고 했고, 김태준은 『삼국유사』가 “신화집인 동시에 민간설화집” 이라고 했고, 장덕순은 “설화 문학의 일대집성”, “설화 문학의 보고”라고 규정하였다.
한마디로 『삼국유사』속에 전해지는 신화는 인간 정신의 응축된 것으로 그것이 우리 민족의 신화이고 우리 민족정신의 응축이라는 측면에서, 또한 이후 서사문학사를 전개시킨 이들이 쉽게 벗어날 수 없는 정신적인 틀을 제공한 것이라는 측면에서 막중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즉 『삼국유사』에 실린 신화들은 한국의 서사 문학사의 전개라는 측면에서 볼 때 무엇보다 확연한 인성의 객관화이며 그것의 구현체로서 이후 서사문학 속의 인물(character) 창조에 원초적인 틀로 의미를 갖는다는 점을 명시해 주지 않으면 아니 될 것이다. 『한국중세서사문학사』, 정상균, pp.99.
[참고 문헌]
- 조동일,『한국문학통사1』, 지식산업사, 1994
- 황패강 외 『한국문학작가론1-고려까지의 작가』, 집문당, 2000
- 이범교 역해, 『삼국유사의 종합적 해석 上』, 민족사, 2005
- 정산균, 『한국중세서사문학사』, 아세아문화사, 1999
- 장덕순,「삼국유사의 설화문학적 가치」,『삼국유사의 문예적 연구』, 새문사, 1988
- 이기백, 「삼국유사 기이편의 고찰」,『한국고전연구』, 일조각, 2004
- 황패강, 「삼국유사의 문학사적 조명」, 『多寶』, 대한불교진흥院, 1992
- 정천구, 「三國遺事 글쓰기 방식의 특성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1996
서사문학의 본류를 이루고 있는 후대의 Romance와 Novel의 원조인 서사시가 신화에 기초를 두고 있다는 사실은 세계가 공통인데, 한국에서는 일연의 불교적인 저작에 의해 한국의 신화가 보존되어 한국 서사 문학의 역사적 전개에 절대적 영향을 주었다는 사실은 이미 학자들에 의해 크게 인정되었다. 『한국중세서사문학사』, 정상균, pp.98.
최남선은 “삼국유사의 전하는 바가 궤괴할수록 신화적 신문(信文)이요 전통적 원형임을 드러내는 것” 이라고 했고, 김태준은 『삼국유사』가 “신화집인 동시에 민간설화집” 이라고 했고, 장덕순은 “설화 문학의 일대집성”, “설화 문학의 보고”라고 규정하였다.
한마디로 『삼국유사』속에 전해지는 신화는 인간 정신의 응축된 것으로 그것이 우리 민족의 신화이고 우리 민족정신의 응축이라는 측면에서, 또한 이후 서사문학사를 전개시킨 이들이 쉽게 벗어날 수 없는 정신적인 틀을 제공한 것이라는 측면에서 막중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즉 『삼국유사』에 실린 신화들은 한국의 서사 문학사의 전개라는 측면에서 볼 때 무엇보다 확연한 인성의 객관화이며 그것의 구현체로서 이후 서사문학 속의 인물(character) 창조에 원초적인 틀로 의미를 갖는다는 점을 명시해 주지 않으면 아니 될 것이다. 『한국중세서사문학사』, 정상균, pp.99.
[참고 문헌]
- 조동일,『한국문학통사1』, 지식산업사, 1994
- 황패강 외 『한국문학작가론1-고려까지의 작가』, 집문당, 2000
- 이범교 역해, 『삼국유사의 종합적 해석 上』, 민족사, 2005
- 정산균, 『한국중세서사문학사』, 아세아문화사, 1999
- 장덕순,「삼국유사의 설화문학적 가치」,『삼국유사의 문예적 연구』, 새문사, 1988
- 이기백, 「삼국유사 기이편의 고찰」,『한국고전연구』, 일조각, 2004
- 황패강, 「삼국유사의 문학사적 조명」, 『多寶』, 대한불교진흥院, 1992
- 정천구, 「三國遺事 글쓰기 방식의 특성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1996
추천자료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비교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통해 알아본 화랑
고려후기의 역사인식 연구 - 삼국유사와 제왕운기
[현대문학사] 신경향파 문학
[북한문학]주체문예시대 북한문학의 특징에 대하여
프로문학과 식민지 근대의 관계 1
[구비문학개론]구비문학작품에 대한 현장조사 보고서 - 거타지 설화(심청전의 근원설화)
[국문학연습]북한의 각 시대를 대표하는 세 가지 문학사의 특징, 북한문학사에서 계모형 장화...
[현대문학강독]이인직의 혈의루, 은세계 중 1편을 골라 읽고 작품의 줄거리와 문학사적 의미...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비교
(삼국유사)와 (균여전)의 기록으로 살펴 본 향가 혹은 사뇌가의 성격
문학교육을 통한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순수참여논쟁-문학논쟁,탈이데올로기,현대의순수참여논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