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세시풍속이란
2. 사회적 시간의 두가지 속성
3. 역법
4. 24절기
5. 세시풍속의 기능
6. 세시풍속의 변화
2. 사회적 시간의 두가지 속성
3. 역법
4. 24절기
5. 세시풍속의 기능
6. 세시풍속의 변화
본문내용
세시풍속(歲時風俗)
1.세시풍속이란
해마다 일정한 시기가 오면 관습적으로 되풀이하여 행하는 특수한 生活行爲, 즉 週期傳承의 儀禮的 行爲를 특히 가리킨다. 요즈음은 흔히 연중행사라고 부르지만 고래로 歲時, 歲事, 또는 月令, 時令이라고 부른다.(時季性 강조) 이들은 모두 평상시의 일상생활과 구별하여 매년 일정한 시기에 행해지는 특별한 생활 행위를 지칭하는 용어
명절 행사는 농작의 개시, 파종, 제초, 수확, 저장 등 생산활동의 계절적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 대부분이다.
세시풍속의 가장 기본적인 특질은 천체의 운행에 따른 일시와 나달의 기준을 밝힌 역법과 이를 바탕으로 되풀이되는 주기성을 토대로 한다.
기대되는 연구 : 세시를 인식하는 역법의 체계와 주기성의 원리가 어떻게 수용되고 거기에 상응하는 제 문화들이 어떻게 창출되었는가 하는 것이 유기적으로 해명하는데 까지 나아가야 한다.
세시풍속은 그 향유주체인 공동체의 계층, 지역, 직업 등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그 변화양상도 다르게 나타남.
Cyclical Festival, Seasonal Festival, Calendar Customs
주기성 : 1일주기, 3일주기, 한 장(5일주기), 한칠(7일주기), 삭망주기, 12달. 60갑자
현재는 일주일 주기로 고정
한국인의 수와 주기율
1: 하루 한해
3: 삼일치성, 사무세판, 삼일기도, 삼짇날
5: 장날
7:행운의 수자 삼칠일
삭망 15일 :
삼칠 21일
1년
60년
세시풍속일은 節日, 즉 명절로서 년간 생활과정에 리듬을 두어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데 박차를 가하는 말하자면 생활의 액센트와 같은 역할을 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명절일 : 정월 설날, 입춘, 대보름. 이월 초하루, 삼월 삼짓날, 한식, 사월초파일, 오월단오, 유월유두, 삼복, 칠월칠석, 팔월추석, 구월중구, 시월상달, 동지, 섣달 납형, 제석 등
달력의 기점 : 정초, 입춘
중일 : 3월 3일, 5월 5일, 7월 7일, 9월 9일
干支와 음양사상 : 상자일, 상해일 등
불교문화 : 사월초파일
기독교문화 : 크리스마스
시절음식 + 시절옷(설빔, 추석빔, 단오빔) + 시절놀이(명절놀이)
2. 사회적 시간의 두가지 속성
① 직선적 차원 : A→B→C→D로 이어지는 직선적 차원(통과의례)
② 주기적 차원 : 1년의 하루하루, 4계절, 한달, 한 장(5일), 하루, 같이 시간의 연속이 한정·무한정의 많은 시간들로 반복하는 주기적 차원
⇒ 인간의 사회적 시간은 복합직선적 영속성을 지닌다.
흘러가기는 가는데 반복 되풀이 되면서 직선적으로 간다.
세시풍속의 배경 : 자연적 환경(기후), 농경문화적 환경, 종교적인 요인
3. 역법
지구의 자전주기 : 1일
지구를 달이 한바퀴 도는 달의 공전주기 : 1달(29.530589일) 12삭망월(354.36707일)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도는 공전주기 : 1년(365일)
1태양년 ≠1삭망월 ≠ 1일 서로의 정배수가 아님
역법의 종류 순태음력, 태음태양력, 태양력
순태음력 : 계절의 변화와 관계없이 달의 삭망주기에만 주목하여 만든 역
1삭망월 = 29.530589일
12삭망월(1태음력) = 354.36707일(평년 354일, 윤년 355일)
월상에 대한 복귀만을 생각한다면 우수하지만, 계절의 변화에 대해서 아무런 관계를 붙이지 않았으므로, 5, 6월에 눈이 내리기도하고, 1, 2월에 더위로 시달리는 일이 있음.
태음력은 33.6년에 1년의 차리가 생겨 계절이 순환함.
회회력(회교력, 이슬람역, 마호메트력)
태음태양력 : 순태음력에 29일 또는 30일의 윤달을 간간히 끼워 넣음으로써 계절의 변화에 맞추려고 힘쓴 역법.
달의 위상 변화에 맞추어 가며 태영의 운행에 맞추는 것이므로, 매우 복잡하지만 실용성이 크다.
1태양년(365일) = 12.36827삭망월(12삭망월 = 354일)
1태양년은 12삭망월보다 약 11일이 더길다. 이 나머지 일수가 쌓이면 윤달이 되어 13개월의 1년을 만들기도 한다.(윤달 : 19년 7윤법)
바빌론역, 유태력, 그리스력, 인도력, 중국력
태양력 : 태양의 황도 상의 운행주기에 기준을 둔 역, 지표상에서 관측할 때 태양이 황도상의 준분점을 떠난 뒤 동으로 이동하여 다시 춘분점에 돌아오는 주기를 취함.
4계절의 변화와 부합되는 주기
1태양년=1회기년=365.242196일(4년마다 366일(2월 29일)이 됨.)
고대이집트력, 고대 로마력, 율리우스력, 그레고리역
7일주 : 장날, 우리는 5일장, 현행력에는 7일주가 가장 널리 쓰임
기원 : 칼테아, 바빌로니아 문화시대
중앙아시아 티그리스강 유프라테스 강 상류지방 아시리아에서 기원전 7세기에 이미 7, 14, 21, 28일에 쉬었다.
유다력 : 제7일은 안식일
이집트 : 서기 원년경 날짜를 7요로 부른 관습이 있음.
바빌로니아 : 7요를 역으로 사용함.
현재의 주가 확립된 시기 : 기원전 1, 2세기 로마력에서 알 수 있음. 7일마다 안식을 취한다는 생각은 유럽의 크리스트 교회로 맹렬히 펴저 나감. 325년 니케아종
1.세시풍속이란
해마다 일정한 시기가 오면 관습적으로 되풀이하여 행하는 특수한 生活行爲, 즉 週期傳承의 儀禮的 行爲를 특히 가리킨다. 요즈음은 흔히 연중행사라고 부르지만 고래로 歲時, 歲事, 또는 月令, 時令이라고 부른다.(時季性 강조) 이들은 모두 평상시의 일상생활과 구별하여 매년 일정한 시기에 행해지는 특별한 생활 행위를 지칭하는 용어
명절 행사는 농작의 개시, 파종, 제초, 수확, 저장 등 생산활동의 계절적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 대부분이다.
세시풍속의 가장 기본적인 특질은 천체의 운행에 따른 일시와 나달의 기준을 밝힌 역법과 이를 바탕으로 되풀이되는 주기성을 토대로 한다.
기대되는 연구 : 세시를 인식하는 역법의 체계와 주기성의 원리가 어떻게 수용되고 거기에 상응하는 제 문화들이 어떻게 창출되었는가 하는 것이 유기적으로 해명하는데 까지 나아가야 한다.
세시풍속은 그 향유주체인 공동체의 계층, 지역, 직업 등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그 변화양상도 다르게 나타남.
Cyclical Festival, Seasonal Festival, Calendar Customs
주기성 : 1일주기, 3일주기, 한 장(5일주기), 한칠(7일주기), 삭망주기, 12달. 60갑자
현재는 일주일 주기로 고정
한국인의 수와 주기율
1: 하루 한해
3: 삼일치성, 사무세판, 삼일기도, 삼짇날
5: 장날
7:행운의 수자 삼칠일
삭망 15일 :
삼칠 21일
1년
60년
세시풍속일은 節日, 즉 명절로서 년간 생활과정에 리듬을 두어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데 박차를 가하는 말하자면 생활의 액센트와 같은 역할을 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명절일 : 정월 설날, 입춘, 대보름. 이월 초하루, 삼월 삼짓날, 한식, 사월초파일, 오월단오, 유월유두, 삼복, 칠월칠석, 팔월추석, 구월중구, 시월상달, 동지, 섣달 납형, 제석 등
달력의 기점 : 정초, 입춘
중일 : 3월 3일, 5월 5일, 7월 7일, 9월 9일
干支와 음양사상 : 상자일, 상해일 등
불교문화 : 사월초파일
기독교문화 : 크리스마스
시절음식 + 시절옷(설빔, 추석빔, 단오빔) + 시절놀이(명절놀이)
2. 사회적 시간의 두가지 속성
① 직선적 차원 : A→B→C→D로 이어지는 직선적 차원(통과의례)
② 주기적 차원 : 1년의 하루하루, 4계절, 한달, 한 장(5일), 하루, 같이 시간의 연속이 한정·무한정의 많은 시간들로 반복하는 주기적 차원
⇒ 인간의 사회적 시간은 복합직선적 영속성을 지닌다.
흘러가기는 가는데 반복 되풀이 되면서 직선적으로 간다.
세시풍속의 배경 : 자연적 환경(기후), 농경문화적 환경, 종교적인 요인
3. 역법
지구의 자전주기 : 1일
지구를 달이 한바퀴 도는 달의 공전주기 : 1달(29.530589일) 12삭망월(354.36707일)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도는 공전주기 : 1년(365일)
1태양년 ≠1삭망월 ≠ 1일 서로의 정배수가 아님
역법의 종류 순태음력, 태음태양력, 태양력
순태음력 : 계절의 변화와 관계없이 달의 삭망주기에만 주목하여 만든 역
1삭망월 = 29.530589일
12삭망월(1태음력) = 354.36707일(평년 354일, 윤년 355일)
월상에 대한 복귀만을 생각한다면 우수하지만, 계절의 변화에 대해서 아무런 관계를 붙이지 않았으므로, 5, 6월에 눈이 내리기도하고, 1, 2월에 더위로 시달리는 일이 있음.
태음력은 33.6년에 1년의 차리가 생겨 계절이 순환함.
회회력(회교력, 이슬람역, 마호메트력)
태음태양력 : 순태음력에 29일 또는 30일의 윤달을 간간히 끼워 넣음으로써 계절의 변화에 맞추려고 힘쓴 역법.
달의 위상 변화에 맞추어 가며 태영의 운행에 맞추는 것이므로, 매우 복잡하지만 실용성이 크다.
1태양년(365일) = 12.36827삭망월(12삭망월 = 354일)
1태양년은 12삭망월보다 약 11일이 더길다. 이 나머지 일수가 쌓이면 윤달이 되어 13개월의 1년을 만들기도 한다.(윤달 : 19년 7윤법)
바빌론역, 유태력, 그리스력, 인도력, 중국력
태양력 : 태양의 황도 상의 운행주기에 기준을 둔 역, 지표상에서 관측할 때 태양이 황도상의 준분점을 떠난 뒤 동으로 이동하여 다시 춘분점에 돌아오는 주기를 취함.
4계절의 변화와 부합되는 주기
1태양년=1회기년=365.242196일(4년마다 366일(2월 29일)이 됨.)
고대이집트력, 고대 로마력, 율리우스력, 그레고리역
7일주 : 장날, 우리는 5일장, 현행력에는 7일주가 가장 널리 쓰임
기원 : 칼테아, 바빌로니아 문화시대
중앙아시아 티그리스강 유프라테스 강 상류지방 아시리아에서 기원전 7세기에 이미 7, 14, 21, 28일에 쉬었다.
유다력 : 제7일은 안식일
이집트 : 서기 원년경 날짜를 7요로 부른 관습이 있음.
바빌로니아 : 7요를 역으로 사용함.
현재의 주가 확립된 시기 : 기원전 1, 2세기 로마력에서 알 수 있음. 7일마다 안식을 취한다는 생각은 유럽의 크리스트 교회로 맹렬히 펴저 나감. 325년 니케아종
추천자료
우리의 술 연구에 대하여...
의식요에 대해서
한국조리-장류에 대해서
[민속놀이][전통놀이][줄다리기][강강술래][강강수월래][관등놀이][연날리기][비석치기]민속...
[명절][명절 정월대보름][명절 한식][명절 초파일][명절 단오][명절 중양절][명절 추석][명절...
북청사자놀음과 북한연희문화
[절기][한국 절기][24절기][계절]우리나라 절기(한국 절기, 24절기)의 의의, 우리나라 절기(...
전래어린이 놀이의 분류와 활용프로그램 연구
[추석]추석(한가위, 중추절)의 의미, 유래와 의의, 추석(한가위)과 차례, 성묘, 추석(한가위)...
추석(한가위, 중추절)의 어원과 유래, 추석(한가위)과 송편, 추석(한가위)과 차례, 추석(한가...
[지역축제 방문동기][지역축제]지역축제 방문동기분석의 필요성, 지역축제 방문동기분석의 요...
전주 단오제
[고전문학콘텐츠론 기말과제] 소설『색, 샤라쿠』로 재해석된 혜원 신윤복 -역사와 허구를 바...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중요성, 가치,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유래, 방법, 한국 민속놀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