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신화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금오신화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생애
2.사상
1)유교사상
2)불교사상
3)도교사상

Ⅱ. 본론
1.금오신화의 창작연원과 그 배경
2.금오신화 구조 분석
1)만복사저포기(만복사 저포기)
2)이생규장전(이생규장전)
3)취유부벽정기(취유부벽정기)
4)남염부주지(남염부주지)
5)용궁부연록(용궁부연록)

Ⅲ. 결론

본문내용

고 윤필연을 마친 뒤 용궁의 모든 건물과 의기를 구경하고 돌아오니 一場春夢이었다.
) 金鰲新話 外, (한국고전문학대계 9, 명문당 1994).
이에 韓生이 가산을 정리하여 명산에 몸을 숨겨 현실의 명리를 떠났다는 이야기로 전개되는 이 작품은 金時習 자신의 자서전적인 내용이다. 특히 韓生은 金時習 자신을, 용왕은 세종을, 용녀는 문종과 단종을 그려낸 것으로 세종의 총애를 받았던 과거를 기억하면서 현재 방랑생활에서 인생행로의 종착점을 모색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 이재호, "金鰲新話攷", 부산대 논문집 제14집(1972),
따라서 이 작품의 주 思想은 龍宮思想이 전체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儒敎的 王道主義에 입각한 이상적인 군왕의 공덕을 말함이라 하겠다. 그 예로 韓生이 용왕에게 바친 상량문의 첫 부분을 인용해보면 다음과 같다.
"竊以堪輿之內 神龍最靈 人物之間 配匹至重 旣有潤物之功 可無愆福之基……"
"생각하건데, 천지란에는 용왕님이 가장 신령스럽고, 인물의 사이에는 배필이 지극히 중요한데, 용왕님께서는 이미 만물을 윤택하신 공로가 있으시니 어찌 복 받을 터전이 없으리……"
결국 「龍宮赴宴錄」은 金時習이 주인공 韓生을 통하여 그의 詩才를 자랑하여 스스로 왕에게 인정 받고 싶은 것을 그린 것으로 이는 金時習의 무의식 속에서의 자부심이 드러난 결과라고 본다.
Ⅲ. 결론
지금까지 『金鰲新話』에 나타난 각 작품의 思想을 바탕으로 金時習의 思想을 살펴보았다.
『金鰲新話』의 작가이자 풍운의 時代人인 金時習은 현실 속에서 이상을 추구하다가, 타의로 은둔하게 되었고, 또한 有爲之世가 왔다고 생각하여 세상에 나갔다가 좌절만 하여, 이후엔 초월적 공간에서 超世의 道를 닦으며 은일하였던 것이다. 그의 문학세계도 이러한 生涯와 더불어 변모하여 갔으니, 그가 이상을 품고 수학하던 때에는 官人文學에 열중하였고, 處士가 되었을 때는 자연 處事문학 쪽으로 기울게 된다. 그러나 金時習은 이 두 세계의 어디에도 안주할 수 없었으니 이들 세계가 그를 용납하지 않았고 그도 이들을 거부하였다. 이에 그는 方外人이 되었고, 결국은 方外人文學이란 새로운 문학의 장을 열게 된다. 결국 金時習은 官人文學에서 處事文學으로 나아갔고, 끝내는 方外人文學을 개척하게 된 것이다.
작품 『金鰲新話』는 이런 金時習의 方外人的 기질이 잘 드러나 있다. 이제 논의된 성과들을 정리하면 그 두드러진 특징이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즉 金時習의 『金鰲新話』에 나타난 思想的 특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萬福寺樗蒲記」에서는 비현실적인 人鬼交歡說話를 결구함에 있어서, 佛敎的인 입장에서 발단하고 결미해 놓았다는 것은 金時習이 지니고 있었던 佛敎 思想의 반영이라 할 수 있다.
둘째, 「李生窺牆傳」에서는 남녀 주인공들의 自由戀愛思想을 바탕으로 전반부에서는 儒敎 思想에 초점을, 후반부에서는 佛敎的 思想에 맞추어 처리했다는 것은 역시 金時習의 儒佛混合思想의 반영이라 할 수 있다.
셋째, 「醉遊浮碧亭記」에서는 천산, 선녀, 선경등 의 神仙 思想을 바탕으로 한 작품이다. 이것은 金時習의 道敎 思想의 한 반영이라 하겠다.
넷째, 「南炎浮州志」는 몽중에 가상적 왕국인 염라국을 구경하는 것을 통하여 염왕과 朴生의 입을 빌어 金時習의 儒敎思想, 佛敎思想, 道敎思想, 鬼神思想등이 모두 반영된 작품으로 金時習의 思想을 가장 잘 나타낸 작품으로 꼽힌다.
다섯째, 「龍宮赴宴錄」은 몽중에 가상적인 용궁에 갔다온 이야기로 金時習 자신의 자서전적인 내용에 큰 의의가 있겠다.
다음으로 『金鰲新話』의 다섯 작품에 나타난 思想은 전술한 바와 같이 金時習 자신의 思想을 그대로 반영한 결과물임을 알 수 있었다. 즉 金時習의 작품 『金鰲新話』에 흐르고 있는 思想은 儒·佛·道의 복합적인 것이다. 金時習은 그의 생활의 변모에 따라서 그의 思想도 굴절되어 儒敎에서 출발한 근본 思想이 佛敎를 거쳐서 道敎에 이르기까지 환경과 상관 관계를 이루면서 변모 발전시켜 왔음을 알 수 있다. 『金鰲新話』가 어떤 작품(전등신화)을 모방한 것이라기 보다는 金時習 자신의 生涯의 반영이라고 볼 때 더욱 분명해 진다. 즉 金時習의 思想的인 배경은 儒敎 사회의 규범 속에서 佛敎的인 은신을 해가면서 道仙的인 생활을 한 그의 생활이 곧 『金鰲新話』라는 작품 속에 투영되어 思想으로 표출되었던 것이다.
작품 분석의 결과와 그의 삶을 결부시켜 볼 때 金時習의 思想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① 金時習은 儒敎的 思想을 그 근본으로 삼고 있다.
② 金時習은 儒佛調和思想을 지니고 있다.
③ 金時習은 道敎 思想인 神仙 思想에도 관심이 있다.
④ 金時習은 自由人的 理想主義者다
⑤ 金時習은 不義의 현실에 대한 강한 저항 의식의 소유자이다.
결국 金時習의 思想을 위와 같이 정리해 보았으나, 그에 대한 명확한 思想 규명에는 미흡한 감이 없지 않다. 왜냐하면, 그의 삶의 과정만큼이나 그의 문학세계 역시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方外人 文學으로 그의 思想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金鰲新話』라는 단편 소설에 表出된 思想만을 다루었을 뿐이지 그의 방대한 詩에 관한 연구는 제외시켰기에, 이에 따른 연구가 뒷받침 될 때 비로소 그의 思想 硏究는 좀 더 분명해 질 것이다. 앞으로 이에 대한 본격적 논의는 물론 金時習 文學 世界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참고문헌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每月堂- 그 文學과 思想』:蘇在英.「金鰲新話의 문학적 가 치」.강원대학교 출판부. 1989.
·薛重煥. 『金鰲新話硏究』.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1983.
·박희병.『韓國傳記小說의 美學』. 돌베개.1997.
·황패강 외.『한국문학작가론 2』.집문당.2000.
·정병욱. 「김시습연구」. 『한국고전이 재인식』.홍성사. 1979.
·蘇仁鎬.『韓國傳奇文學硏究』.國學資料院. 1998.
·이재호. 「金鰲新話攷」. 부산대 논문집 제14집.1972.
·김두경. 「金時習과 作品 金鰲新話에 나타난 思想 硏究」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76.
·이하경. 「金鰲新話 硏究」.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76.
·박경미. 「金鰲新話 硏究」. 연세대 대학원 석사논문. 1990.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5.02.24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64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