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한용운의 사상
1. 한용운의 불교사상 - 현대시에 나타난 불교 사상
2. 한용운의 민족사상 - 실천가로서의 만해와 현대시에 나타난 민족 사상
Ⅲ. 한용운의 시의 특징
1. 한용운 시의 산문성
2. 한용운시의 여성편향성
IV. 결론
Ⅱ. 한용운의 사상
1. 한용운의 불교사상 - 현대시에 나타난 불교 사상
2. 한용운의 민족사상 - 실천가로서의 만해와 현대시에 나타난 민족 사상
Ⅲ. 한용운의 시의 특징
1. 한용운 시의 산문성
2. 한용운시의 여성편향성
IV. 결론
본문내용
서 새 희망의 정수박이에 들어부었읍니다.
우리가 만날 때에 떠날 것을 염려하는 것과 같이 떠날 때에 다시 만날 것을 믿습니다.
아아,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읍니다.
제 곡조를 못 이기는 사라의 노래는 님의 침묵을 휩싸고 돕니다.
- 「님의 침묵」 전문
이 시에서 주목할 것은 시가 산문적 형태로 기술되고 있다는 점이다. 현대시사에서 자유시라고 할 때 우리가 일단 행과 연의 구분을 떠올린다면 이 시는 일반적인 의미에서 자유시와는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다. 자유시의 통상적인 분절 방법에 따라 두 연만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님은 갔읍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읍니다.
푸른 산빛을 깨치고
단풍나무 숲을 향하야 난
적은 길을 걸어서,
참어 떨치고 갔습니다.
한용운은 왜 이와 같은 서술 방식을 택하지 않았을까. 첫째는 이 시가 쓰여진 1920년대에 우리의 자유시가 아직 확정적 형태를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주요한의 「불놀이」가 이와 유사한 산문적 형태임을 상기하면 이러한 사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초기에 한용운이 구사하던 한문 문체에서 자유시로의 이행 과정에서 쓰여진 과도기적 문체가 위와 같은 산문적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이 시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시적 감정의 복합성이 시행의 산문성을 요구한다는 점이다. 이 시의 7,8,9행을 읽어보면 알 수 있듯이 이 시는 불교 사상에 근거한 논리를 갖고 있다. 님은 갔지만, 님을 보내지 않았다는 논리가 전개되고 있으므로 서정적 자유시가 갖고 있는 비약과 생략에 과감할 수 없다는 것이다. 강한 절망에서 새로운 희망으로의 변화가 한용운으로 하여금 산문적 서술형의 시를 쓰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최동호,「사랑과 혁명의 아우라 한용운」,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1.1, 52~53p
2. 한용운시의 여성편향성
이번에 한용운의 시에 관해 알아볼 특성은 바로 여성편향성이다. 여성편향성이란 문학작품 가운데 내용 강조나 재료 면에서 여성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분위기나 톤을 여성화하여 밀도 있게 고조시키거나, 작중인물을 여성으로 설정하여 특별한 효과를 거두는 성향 김점태「님 지향성과 여성편향성- 만해 한용운의 님의 침묵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53p
으로, 한국 민요의 보편적 정서이기도 하다. 여성편향성을 위와 같은 정의에 동의하는 맥락에서 한용운의 시의 여성편향성을 재료를 통해 이미지면에서 살펴보고, 다음으로 톤을 통해서 또 여성주체와 태도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먼저 한용운의 시를 보면 많은 시에서 여성을 떠올리게 하는 재료들이 많이 등장한다. 『님의침묵』에 등장하는 시의 여성적 시어를 정리한 것을 인용하자면 다음과 같다. 신달자, 소월과 만해 시의 여성지향 연구, 박사, 1992, 93p
항목
시어
보석류
진주, 옥, 보석, 수정, 보물
치장물류
거울, 경대, 거문고, 반지, 노리개
의목류
옷. 치마, 수건
침구류
베개
여성의 호칭
처녀, 여자, 여왕, 여성
여성의 인체
입설, 허리, 손가락
여성의 행위
바느질하기, 수놓기, 술
우리가 만날 때에 떠날 것을 염려하는 것과 같이 떠날 때에 다시 만날 것을 믿습니다.
아아,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읍니다.
제 곡조를 못 이기는 사라의 노래는 님의 침묵을 휩싸고 돕니다.
- 「님의 침묵」 전문
이 시에서 주목할 것은 시가 산문적 형태로 기술되고 있다는 점이다. 현대시사에서 자유시라고 할 때 우리가 일단 행과 연의 구분을 떠올린다면 이 시는 일반적인 의미에서 자유시와는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다. 자유시의 통상적인 분절 방법에 따라 두 연만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님은 갔읍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읍니다.
푸른 산빛을 깨치고
단풍나무 숲을 향하야 난
적은 길을 걸어서,
참어 떨치고 갔습니다.
한용운은 왜 이와 같은 서술 방식을 택하지 않았을까. 첫째는 이 시가 쓰여진 1920년대에 우리의 자유시가 아직 확정적 형태를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주요한의 「불놀이」가 이와 유사한 산문적 형태임을 상기하면 이러한 사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초기에 한용운이 구사하던 한문 문체에서 자유시로의 이행 과정에서 쓰여진 과도기적 문체가 위와 같은 산문적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이 시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시적 감정의 복합성이 시행의 산문성을 요구한다는 점이다. 이 시의 7,8,9행을 읽어보면 알 수 있듯이 이 시는 불교 사상에 근거한 논리를 갖고 있다. 님은 갔지만, 님을 보내지 않았다는 논리가 전개되고 있으므로 서정적 자유시가 갖고 있는 비약과 생략에 과감할 수 없다는 것이다. 강한 절망에서 새로운 희망으로의 변화가 한용운으로 하여금 산문적 서술형의 시를 쓰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최동호,「사랑과 혁명의 아우라 한용운」,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1.1, 52~53p
2. 한용운시의 여성편향성
이번에 한용운의 시에 관해 알아볼 특성은 바로 여성편향성이다. 여성편향성이란 문학작품 가운데 내용 강조나 재료 면에서 여성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분위기나 톤을 여성화하여 밀도 있게 고조시키거나, 작중인물을 여성으로 설정하여 특별한 효과를 거두는 성향 김점태「님 지향성과 여성편향성- 만해 한용운의 님의 침묵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53p
으로, 한국 민요의 보편적 정서이기도 하다. 여성편향성을 위와 같은 정의에 동의하는 맥락에서 한용운의 시의 여성편향성을 재료를 통해 이미지면에서 살펴보고, 다음으로 톤을 통해서 또 여성주체와 태도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먼저 한용운의 시를 보면 많은 시에서 여성을 떠올리게 하는 재료들이 많이 등장한다. 『님의침묵』에 등장하는 시의 여성적 시어를 정리한 것을 인용하자면 다음과 같다. 신달자, 소월과 만해 시의 여성지향 연구, 박사, 1992, 93p
항목
시어
보석류
진주, 옥, 보석, 수정, 보물
치장물류
거울, 경대, 거문고, 반지, 노리개
의목류
옷. 치마, 수건
침구류
베개
여성의 호칭
처녀, 여자, 여왕, 여성
여성의 인체
입설, 허리, 손가락
여성의 행위
바느질하기, 수놓기, 술
추천자료
현대 문학사 윤동주 연구
조지훈의 생애와 업적
김영랑에 대해서
근대시가에 대한 레포트
북한 문예이론의 핵심인 주체문예이론의 원칙과 창작방법론
[독후감] 등신불 - 소설에서 못할 이야기는 없다, 액자소설로서의 등신불, 소설 속의 성스러움
1920년대 시 - 현대시의 형성기
[과외]중학 국어 3-2학기 중간 예상문제 10
[시인 서정주][미당 서정주][미당 서정주 서정시][미당 서정주 시][미당][서정주][서정주 시]...
조지훈 시 연구
[빙허 현진건]빙허 현진건의 일생, 빙허 현진건의 신화적 상상력, 빙허 현진건의 무영탑, 빙...
루쉰 광인일기 서평
[불교, 터미널케어, 불법, 보살 및 아미타불, 민간신앙]불교와 터미널케어, 불교와 불법, 불...
호국불교에 대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