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 서 언
II . 제 1 차 대각성운동
A. 전개 상황
B. 조나단 에드워즈
III . 제 2 차 대각성운동
A. 전개 상황
B. 찰스 피니
IV . 결 언
A. 요약
B. 제언
참 고 문 헌
II . 제 1 차 대각성운동
A. 전개 상황
B. 조나단 에드워즈
III . 제 2 차 대각성운동
A. 전개 상황
B. 찰스 피니
IV . 결 언
A. 요약
B. 제언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타락했을 때 일어난 운동들이다. 지금 한국교회는 1970, 80년대의 부흥으로 지속되었던 영적 뜨거움이 90년대 이후부터 나타나는 정체현상과 2000년 이후 서서히 퇴보하는 경향으로 흐르고 있다. 18세기의 뉴잉글랜드의 상황과 같이 지금 한국교회에는 물질만능주의, 기복주의 신앙, 개인주의와 분파주의, 무속신앙 등이 가득 차 있다. 이러한 때에 한국교회는 미국의 대각성운동으로부터 귀한 교훈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 한 번의 한국교회의 부흥은, 분별력을 가지고 시대를 바로 알고 말씀에 바로선 열정을 가진 주님의 제자들의 깊은 노력에 의해 다시금 꽃피울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단행본
윌리엄 C. 플래처, 박경수 역.1994. 기독교 신학사.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롤란드 H. 베인턴, 이길상 역. 1997. 교의 역사.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이형기.1994. 계교회사. 서울: 한국장로교
James Smylie, 김인수 역.1998. 간추린 미국 장로교회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William C. Placher. 1983. A History of Christian Theology: an introduction.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논문
장용국.
1999. 1차 대각성운동과 2차 대각성운동의 부흥에 대한 비교 연구. 총신대학교 이주형.
2004. 18, 19세기 미국 대각성운동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이종진.
1987. 찰스 피니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김신웅.
1997. 조나단 에드워즈가 미국 대각성 부흥운동에 끼친 영향. 총신대학교
참 고 문 헌
단행본
윌리엄 C. 플래처, 박경수 역.1994. 기독교 신학사.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롤란드 H. 베인턴, 이길상 역. 1997. 교의 역사.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이형기.1994. 계교회사. 서울: 한국장로교
James Smylie, 김인수 역.1998. 간추린 미국 장로교회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William C. Placher. 1983. A History of Christian Theology: an introduction.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논문
장용국.
1999. 1차 대각성운동과 2차 대각성운동의 부흥에 대한 비교 연구. 총신대학교 이주형.
2004. 18, 19세기 미국 대각성운동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이종진.
1987. 찰스 피니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김신웅.
1997. 조나단 에드워즈가 미국 대각성 부흥운동에 끼친 영향. 총신대학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