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및 문제제기
Ⅱ. 천리마작업반운동의 전개
Ⅲ. 사상학습 강화의 배경
Ⅳ. 주체사상의 내면화 기제: 모범창출
Ⅴ. 결론: 끝나지 않은 사상학습
Ⅱ. 천리마작업반운동의 전개
Ⅲ. 사상학습 강화의 배경
Ⅳ. 주체사상의 내면화 기제: 모범창출
Ⅴ. 결론: 끝나지 않은 사상학습
본문내용
우고 그들의 기술기능수준을 빨리 높임으로써 생산에서 획기적인 성과를 이룩하였습니다. 이 동무가 지도하는 작업반원들은 현재 채탄광에서 한달에 5.000톤의 석탄을 캐낸 것을 지금은 1만 톤 이상의 수준으로 목표로 투쟁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작업반에서 작업기준량의 부단한 생산을 선도하고생산도 학습도 유격대식으로와 같은 유격대 정신에 바탕한 끊임없는 혁명전통을 강조하면서 현장에서 뒤떨어지는 노동자들을 개별적으로 지도하고 동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김일성의 다음의 연설을 보자.
평양제사공장 천리마작업반장 김확실 동무는 자기의 작업을 천리마작업반으로 만들어놓은 다음 자진하여 일도 몇 곱절 힘들고 훨씬 적은 가장 뒤떨어진 작업반으로 옮겨가서 이 작업반도 천리마작업반으로 추켜세웠습니다. 그는 로동규율도 잘 지키지 않으며 작업에도 성실히 참가하지 않던 뒤떨어진 동무들을 참을성 있게 교양하고 모든 성의와 힘을 다하여 전체 집단을 단결되고 각성된 집단으로 만들었으며 지난날에는 생산계획을 70%밖에 수행하지 못하던 것을 오늘은 100%로 넘쳐 수행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앞의 책, p. 102.
이처럼 모범 노동자들이 일반 노동자들을 교육하고 지도한다는 것은 사상적 측면이나 노동과정의 규율뿐만 아니라 사적인 영역까지도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의미하였다.
Ⅴ. 결론: 끝나지 않은 정치사상학습
북한에서 천리마 작업반운동은 사회주의 경쟁운동이라는 동원의 과정과 연동되면서 노동자들의 노동과 일상으로 되었고 사상학습이라는 교육과 동원을 통해 노동자들을 주체형인간이기보다는 수동적 존재로 되게 했다. 이는 모범창출을 위한 노동자들의 모습에서 선명히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북한 지도부가 천리마 작업반운동에서당과 혁명을 위한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바쳐 투쟁하는 공산주의적 신인간이 되도록 요구하는 천리마 기수들의 힘과 지혜란 결국 당의 명령에 절대 복종하는 대전하에 당의 방침을 실천하기 위한, 당에서 내놓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힘과 지혜에 불과한 것이었다. 동시에 이러한 사상학습 통한 당의 요구는 현재를 살아가는 북한의 노동자들에게 이제는 빛바랜 생산력 발전이 아닌 지배권력 유지의 동력으로 주체사상이 지속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는 하나의 면이기도 하다.
□ 참고문헌
『근로자』
『조선중앙연감』
김일성,「천리마기수들은 우리 시대의 영웅이며 당의 붉은 전사이다: 전국천리마작업반운 동선구자 대회에서 한 연설(1960년 8월 22일)」,『천리마운동과 사회주의건설의 대고조에 대하여』(조선로동당출판사, 1970).
류길재,「천리마 운동과사회주의 경제건설: 스타하노프 운동 및 대약진 운동과의 비교를 중 심으로」『 북한사회주의건설의 정치경제』(서울: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3).
박성수안상진 외, 『천리마 작업반 (4)』(평양: 직업동맹출판사, 1963).
박형중,『북한적 현상의 연구』(서울: 연구사, 1994).
직업동맹출판사 편, 『천리마기수독본』(평양: 직업동맹출판사, 1963).
김연철,『북한의 산업화와 경제정책』(서울: 역사비평사, 2001).
------,「북한경제 이것이 알고 싶다: 속도전」『통일한국』통권 제133호. 평화문제연구소, 1995.
양문수,『북한 경제의 구조』(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정우곤,「북한 사회주의건설과 수령제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1948-1972」(경의대학교 대 학원 정치학과 박사학위논문, 1997).
이태섭, 『김일성 리더쉽 연구』(서울L 들녘, 2002).
차문석,『반노동의 유토피아』(서울: 박종철풀판사, 2001).
------,「사회주의국가의 노동정책: 소련중국북한의 생산성의 정치」(성균관대학교 정 치외교학과 박사학위논문, 1999).
이들은 작업반에서 작업기준량의 부단한 생산을 선도하고생산도 학습도 유격대식으로와 같은 유격대 정신에 바탕한 끊임없는 혁명전통을 강조하면서 현장에서 뒤떨어지는 노동자들을 개별적으로 지도하고 동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김일성의 다음의 연설을 보자.
평양제사공장 천리마작업반장 김확실 동무는 자기의 작업을 천리마작업반으로 만들어놓은 다음 자진하여 일도 몇 곱절 힘들고 훨씬 적은 가장 뒤떨어진 작업반으로 옮겨가서 이 작업반도 천리마작업반으로 추켜세웠습니다. 그는 로동규율도 잘 지키지 않으며 작업에도 성실히 참가하지 않던 뒤떨어진 동무들을 참을성 있게 교양하고 모든 성의와 힘을 다하여 전체 집단을 단결되고 각성된 집단으로 만들었으며 지난날에는 생산계획을 70%밖에 수행하지 못하던 것을 오늘은 100%로 넘쳐 수행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앞의 책, p. 102.
이처럼 모범 노동자들이 일반 노동자들을 교육하고 지도한다는 것은 사상적 측면이나 노동과정의 규율뿐만 아니라 사적인 영역까지도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의미하였다.
Ⅴ. 결론: 끝나지 않은 정치사상학습
북한에서 천리마 작업반운동은 사회주의 경쟁운동이라는 동원의 과정과 연동되면서 노동자들의 노동과 일상으로 되었고 사상학습이라는 교육과 동원을 통해 노동자들을 주체형인간이기보다는 수동적 존재로 되게 했다. 이는 모범창출을 위한 노동자들의 모습에서 선명히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북한 지도부가 천리마 작업반운동에서당과 혁명을 위한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바쳐 투쟁하는 공산주의적 신인간이 되도록 요구하는 천리마 기수들의 힘과 지혜란 결국 당의 명령에 절대 복종하는 대전하에 당의 방침을 실천하기 위한, 당에서 내놓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힘과 지혜에 불과한 것이었다. 동시에 이러한 사상학습 통한 당의 요구는 현재를 살아가는 북한의 노동자들에게 이제는 빛바랜 생산력 발전이 아닌 지배권력 유지의 동력으로 주체사상이 지속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는 하나의 면이기도 하다.
□ 참고문헌
『근로자』
『조선중앙연감』
김일성,「천리마기수들은 우리 시대의 영웅이며 당의 붉은 전사이다: 전국천리마작업반운 동선구자 대회에서 한 연설(1960년 8월 22일)」,『천리마운동과 사회주의건설의 대고조에 대하여』(조선로동당출판사, 1970).
류길재,「천리마 운동과사회주의 경제건설: 스타하노프 운동 및 대약진 운동과의 비교를 중 심으로」『 북한사회주의건설의 정치경제』(서울: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3).
박성수안상진 외, 『천리마 작업반 (4)』(평양: 직업동맹출판사, 1963).
박형중,『북한적 현상의 연구』(서울: 연구사, 1994).
직업동맹출판사 편, 『천리마기수독본』(평양: 직업동맹출판사, 1963).
김연철,『북한의 산업화와 경제정책』(서울: 역사비평사, 2001).
------,「북한경제 이것이 알고 싶다: 속도전」『통일한국』통권 제133호. 평화문제연구소, 1995.
양문수,『북한 경제의 구조』(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정우곤,「북한 사회주의건설과 수령제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1948-1972」(경의대학교 대 학원 정치학과 박사학위논문, 1997).
이태섭, 『김일성 리더쉽 연구』(서울L 들녘, 2002).
차문석,『반노동의 유토피아』(서울: 박종철풀판사, 2001).
------,「사회주의국가의 노동정책: 소련중국북한의 생산성의 정치」(성균관대학교 정 치외교학과 박사학위논문, 1999).
추천자료
3·1운동에 나타난 민중
건강과 운동처방
엘렌케이 사상
한말 애국 계몽운동에 대한 소고
일제하 YMCA의 농촌운동의 전개과정과 민족적 항일성
실학주의 교육철학과 사상가들
[몬테소리교육][몬테소리교육이론][몬테소리교육프로그램][몬테소리교육방법]몬테소리교육이...
[북한주체사상]북한 주체사상의 개념, 북한 주체사상의 형성배경, 북한 주체사상의 원칙, 북...
학습장애의 원인과 종류 특성 및 치료와 지도사례
[교육사상][교육철학][소피스트][소크라테스][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소피스트 교육사상(교...
영유아 보육사상가 중 본인의 사상과 일치하거나 보육 현장에 적용하고 싶은 사상가 1명을 선...
[기초기능][교육 기초기능][독서 기초기능][음악 기초기능][기계운동 기초기능][언어][형법]...
한국의 무정부주의 운동
[한국민족운동사] 물산장려운동(物産奬勵運動) - 금주단연운동, 물산장려운동의 시대적 배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