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그’와 키케로
2. ‘그’와 술라
3. ‘그’와 옥타비아누스
2. ‘그’와 술라
3. ‘그’와 옥타비아누스
본문내용
과연 단지 ‘시대의 산물’일 뿐일까? 그렇다면 ‘그’의 존재가 오늘날에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말인가? ‘그’는 분명 시대를 타고 났다. 하지만 나는 ‘그’가 단지 ‘시대의 산물’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무엇보다 ‘그’는 독재자가 아니다. 대중들에게 사랑받았고, 정적들을 함부로 해치지 않았으며, 자신이 아닌, 조국의 이익을 위해 한 평생을 바쳤다. ‘그’는 어느 시대에건 유능한 지도자가 되었을 것이며, 어느 시대이든 창조적인 ‘그’를 필요로 할 것이다. 민주 정치의 원류인 아테네도 실은 페리클레스 같은 이들의 일인 체제였던 것처럼, 결국 하늘에 태양은 하나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위대한 ‘그’,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그’는 어느 시대에든, 어느 곳에서든 빛을 발하는 영원히 타오르는 태양이 아닐까?
추천자료
`로마제국 쇠망사`를 읽고
나의친구 마키아벨리와 군주론을 읽고
거꾸로 읽는 세계사를 읽고
거인들의 발자국 - 리더쉽, 독후감
문화사회학측면에서 공간문화의 이해-광장과 시장을 중심으로
물의 아이들(창스킹즐리)
비잔틴 제국의 역사적 의의
거꾸로 읽는 세계사 독후감
베네치아에 대한 모든것
로마네스크건축의 의의, 로마네스크건축의 특징, 로마네스크건축의 배경, 로마네스크건축의 ...
올리버 크롬웰(Oliver Cromwell) - 청교도 혁명을 통해 바라본 그의 생애
르네상스의 여인들
(경원) 로마에 대한 나라와 제 1차 포에니 전쟁의 개요
동서문명의 교류 독서서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