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변천사(구개음화)의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어 변천사(구개음화)의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구개음화
○ ㅈ - 구개음화 현상

○ ㄷ - 구개음화 현상

○ ㄴ-구개음화 현상과 탈락

본문내용

◎ 구개음화
국어에서의 구개음화는 일반적으로 /t, th/가 I나 j 앞에서 /c, ch/로 바뀌는 t-구개음화 현상을 말한다. 형태소 내부에서의 t-구개음화는 ‘디 -> 지-(落), 티 ->치-(打)’ 등의 예처럼 통시적 음운현상이다. 공시적으로는 어간말음 /t, th/ 다음에 I 나 j로 시작되는 굴절접사가 결합될 때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동화, 『최근 이론 중심의 국어 음운론』, 문창사, 1998, p.113
세계의 매우 많은 언어에서 나타나는 구개음화가 국어에서는 중기국어 시대에서부터 서서히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15세기에도 극히 드물지만 구개음화한 예를 문헌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박병채, 『국어 발달사』, 세영사, 1989, p.148.
(1) 츠기 너겨 모지마라
  • 가격1,2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9.14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26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