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구개음화][국어][구개음화][t구개음화][k구개음화][h구개음화]국어 구개음화의 정의, 국어 구개음화의 규칙, 국어 구개음화의 전파, 국어 t구개음화, 국어 k구개음화, 국어 h구개음화 분석(국어 구개음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 구개음화][국어][구개음화][t구개음화][k구개음화][h구개음화]국어 구개음화의 정의, 국어 구개음화의 규칙, 국어 구개음화의 전파, 국어 t구개음화, 국어 k구개음화, 국어 h구개음화 분석(국어 구개음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국어 구개음화의 정의

Ⅱ. 국어 구개음화의 규칙

Ⅲ. 국어 구개음화의 전파

Ⅳ. 국어 t구개음화

Ⅴ. 국어 k구개음화

Ⅵ. 국어 h구개음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ω(kim)
ㅅ. V[k\'i-ta] ‘끼다’ --> ω(c\'ida), ω(k\'ida)
ㅇ. V[V[kalikhi]ta]‘가리키다’--> ω(karichida), ω(karikhida)
(2)
ㄱ.N[N[kuk] N[ilm] ‘국이름’ -->ω(kuk) ω(irm),--> φ(kugirm),*φ(kujirm)
ㄴ. N[N[kuk] i] ‘국이’ --> ω(kugi), *ω(kuji)
ㄷ. V[V[V[mk]i]ta]‘먹이다’ --> ω(mgida), *ω(mjida)
(1)에서 k구개음화는 (1ㅇ)을 제외하고 주로 첫음절에 일어난다. 그것은 동화주인 i가 주로 첫음절에 있기 때문이다. k구개음화는 수의적으로 단일어 내에서만 일어나므로, t구개음화와 달리 k구개음화는 엄밀순환규칙(Strict Cycle Condition)을 지키지 않는다. (2ㄱ)에서 보듯이 k구개음화는 운율어 경계에서 일어나지 않고, (2ㄴ)에서처럼 형태소경계에서도 일어나지 않는다. 공식적으로 수의적 k구개음화 규칙은 (3)와 같다.
(3) 수의적 k구개음화(순우리말에만)
k, k\', kh --> c, c\', ch / ω(...__i/y....)ω
k구개음화가 규칙적으로 일어나는 화자에게는 (1)에 나타난 자음의 기저형은 k, k\', kh이 아니라, c, c\', ch이다. 이런 정보는 기저표시에 (4)에서 보듯이 형태소구조규칙(morpheme structure condition)으로 표시된다.
(4) 경상방언의 형태소구조규칙
* R R

P P
\\
PP cor TH

dor pal high
(4)의 형태소구조규칙은 연구개음 k, k\', kk는 경상방언에서 설정모음 i와 함께 일어나지 못한다는 것을 뜻한다.
Ⅵ. 국어 h구개음화
‘혀’의 방언형의 분포를 보여주는 참고하면, 평안도를 제외한 거의 전 지역에서 h-구개음화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은 아직 구개음화를 겪지 않은 평안도이다. 는 구개음화를 겪은 지역이다. 2-1은 ‘혀>셔>서’의 변화를 겪은 방언형이 분포하는 지역이고, 2-2는 ‘혜>셰>세’의 변화를 겪은 방언형이 분포하는 지역이다. 이 방언형은 ‘혀>혜>셰>세’의 변화이거나 ‘혀+이>혜>셰>세’의 변화일 것인데, 후자일 개연성이 높다. 즉, 한반도의 동부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명사 말에 덧붙는 ‘이’가 ‘혀’에 결합되어 형성된 것일 가능성이 크다. 2-2지역 안에는 아직도 변화의 중간 단계형인 ‘셰’가 여기저기에 산발적으로 분포한다(□ 지역). 그리고 동해안의 이곳저곳에 ‘혜>헤’의 변화를 겪은 방언형이 분포한다. 이는 동화주인 /y/의 탈락이 구개음화 규칙보다 선행하였기 때문에 생긴 결과이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는 ‘ㅕ>ㅔ’ 규칙과 y탈락 규칙이 h-구개음화 규칙에 선행하였다고 할 수 있다. 한편, 2-2지역 안의 빗금친 곳은 [so](혹은 [s’o], [swe])가 분포하는 지역인데, 이 방언형이 겪은 통시적 변화는 아직 밝히 말하기 어렵다.
여기서 유의할 것은 ‘서캐(<혀(개))’의 방언형 ‘서캐’, ‘써개’, ‘
  • 가격5,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11.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84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