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음운체계
1) 자음체계
2) 모음체계
2. 음절 구조
3. 음운규칙
1) 회피
2) 동화
3) 탈락
4) 반모음화 현상
5) 구개음화
6) 경음화
7) 음운 현상으로 잘못 알려진 것들
4. 남북한 음운의 차이
1) 남북한의 언어 차이
2) 발음의 차이
3) 단어의 차이
4) 문장의 차이
5) 맞춤법의 차이
6) 한글맞춤법과 맞춤법
7) 외래어 표기법
8) 로마자 표기법
여기서 잠깐
1) 자음체계
2) 모음체계
2. 음절 구조
3. 음운규칙
1) 회피
2) 동화
3) 탈락
4) 반모음화 현상
5) 구개음화
6) 경음화
7) 음운 현상으로 잘못 알려진 것들
4. 남북한 음운의 차이
1) 남북한의 언어 차이
2) 발음의 차이
3) 단어의 차이
4) 문장의 차이
5) 맞춤법의 차이
6) 한글맞춤법과 맞춤법
7) 외래어 표기법
8) 로마자 표기법
여기서 잠깐
본문내용
성음 사이에 오게 되면 유성음화한다. ex) 바보 ( pabo ), 감기 ( kamgi )
- 이 유성음은 음소가 아니고 변이음에 불과. 때문에 한국인들은 ‘바보’의 ‘ㅂ’을 똑같은 소리라고 인식. 이런 유성음화 현상은 아마도 고대한국어 시절부터 있었으리라 믿어짐.
④ 방언에 따라 파찰음 ‘ㅈ’을 경구개음이 아니라 치경음[ ]로 소리 내는 일이 있음
⑤ 마찰음 ‘ㅅ’에는 유기음이 없음
; 한국어의 마찰음 평음 ‘ㅅ’은 어떤 환경에서도 유성음화하지 않음.
Because... \'ㅅ‘을 평음으로 보고 있지만, 실제로는 파열음 파찰음의 유기음과 그 성질 이 비슷하기 때문.
⑥‘ㅎ\'은 어두에서만 나타나고 ’ㄹ‘과 ’ㅇ‘은 어중과 음절 말에서만 실현된다는 점에서 ‘ㅎ\' 과 ’ㄹ,ㅇ‘은 상보적 분포를 이룬다.
⑦ 비음 ‘ㅁ, ㄴ, ㅇ’과 유음 ‘ㄹ’, 반모음 w, j 는 항상 유성음이고, 속삭임 소리와 같은 특 별한 경우가 아니면 이 자음들은 무성음화하지 않는다.
⑧ 유음 ‘ㄹ’은 모음 뒤에서만 나타나는 음으로 모음사이에서는 설탄음[ ]로, 음절 말 위치에서는 설측음[ l ]로 실현된다. [ l ]뒤에 오는 ‘ㄹ’은 [ l ]에 완전 동화되어버린다.
ex) 사람 [ ] / 별, 살며시 [ l ] / 물론, 울렁울렁 [ l ]
⑨ 절음화 현상
현대 한국어의 모든 방언에서 모든 파열음과 파찰음, 그리고 마찰음은 음절 말 위치에 오면 절음화하여 제대로 소리 나지 않게 됨.
ㄱ, ㅋ, ㄲ; , ㄷ, ㅌ;, ㅂ, ㅍ;, ㅈ, ㅊ;, ㅅ, ㅆ / 쉼, 다른 자음 앞
→ [ k ], [ t ], [ p ], [ t ], [ t ] 발음됨.
이 절음화 현상 때문에 한국어 자음의 다양한 음운 변화가 일어나게 됨.
2) 모음체계
혀의 앞뒤
혀의 높이
전설모음
후설모음
(비원순)
(원순)
(비원순)
(원순)
고 모 음
ㅣi
ㅟ y
ㅡ
ㅜ u
중 모 음
ㅔ e
ㅚ 0
ㅓ
ㅗ o
저 모 음
ㅐ
ㅏ
한국어의 모음 수는 방언에 따라 달라진다.
- 경상도 방언 ; / ㅣ, ㅜ, ㅔ, ㅓ, ㅗ, ㅏ / 6개
- 제주도 방언 ; 비원순 모음/ㅏ/와 대립되는 원순 모음 / / [ ]가 더 있음.
- /ㅔ/와 /ㅐ/도 모든 방언의 젊은 층에서 거의 구별되지 않음.
◎ 반모음 w와 가 단모음과 결합 → 이중모음 이룸.
wa(ㅘ), we(ㅙ), w(ㅝ), we(ㅞ);
ja(ㅑ), j(ㅒ), j(ㅕ), je(ㅖ), jo(ㅛ), ju(ㅠ);
j(ㅢ)
w (ㅙ)와 we(ㅞ), j(ㅒ)ㅘ je(ㅖ)
; 문자 상으로만 구분, 실제발음은 [we]; [je]로 실현됨.
‘ㅒ, ㅖ’ ; 자음 뒤에서 [ , e]로만 실현됨
┖→ 형태 음소절 표기용으로만 존재.
j (ㅢ)
; 현대 한국어 유일한 하향(下向) 이중 모음.
대부분의 방언에서 [ i ]로 발음. 관형적 조사로 쓰일 경우에는 전부 [e]로 소리 냄.
◎ 한국어의 초분절 음소
; 모음의 길이, 모음의 높이
1. 가:가 가가가? - 그 아이가 가(佳)씨냐?
2. 가가가 가:가? - 가씨가 그 아이냐?
3. 가가가 가가 - 가씨가 가서.
4. 가:? 가:가 가:가? - 그 아이? 그 아이가 그 아이냐?
5. 가가 가: 가가 - 가씨 그 아이가 가서.
6. 가: 가:가 가가 - 그 아이, 그 아이가 가서.
7. 가:가 가: 가가 - 그 아이가 가져 가서
8. 가가가 가: 가 - 가씨가 가져 가라
2. 음절 구조
(1) 모음만의 음절 : 아이, 오이, 위에
(2) ‘반모음 + 모음’의 음절 : 야유, 와야, 왜요
(3) ‘자음 + 모음’의 음절 : 가구, 처네, 꾀보
(4) ‘자음 + 반모음 + 모음’의 음절 : 겨놔, 교과, 꽤
(5) ‘모음 + 자음’의 음절 : 악인, 억압, 은인
(6) ‘반모음 + 모음 + 자음’의 음절 : 원양, 웽웽, 육욕
(7) ‘자음 + 모음 + 자음’의 음절 : 남국, 쌀독, 풀썩
(8) ‘자음 + 반모음 + 모음 + 자음’의 음절 : 권력, 병균, 쾅
(9) ‘모음 + 반모음’의 음절 : 의
(10) ‘모음 + 반모음 + 자음’의 음절 : 읫
(11) ‘자음 + 모음 + 반모음’의 음절 : (각)의, (전문)의
3. 음운규칙
1) 회피
(1) 어두자음회피
어떤 특수한 자음은 낱말의 첫소리 위치 (음운론적으로 말하면 쉼(休止)뒤의 위치)에 올 수 없다.
‘ㅇ[]’, ‘ㄹ’, ‘ㄴ+ j\'[]은 음절 첫소리에 올 수 없다.
‘ㄹ’ → 나열(羅列) ← 기라(綺羅), 노인(老人) ← 초로(初老)
But! - 외래어의 첫소리 r이나 l은 발음됨.
ex) 라디오, 랭킹, 렌즈, 로맨스...... 등.
구개음화와 ‘ㄴ’ → 여성(女性) ← 수녀(修女)
- 외래어 ‘뉴스, 니코틴, 닉네임’등 발음됨.
* 북한, 중국 연변은 ‘ㄹ,ㄴ’을 첫소리에서 발음하는 것을 인정.
(2) 음절 말 자음 회피
① 음절 말 위치 [v_# 또는 v_c 위치]에서 ‘ㅎ[h]’음은 나타나지 않음.
ex) 닿소리, 넣고, 않다, 앓지 .......... ‘형태 음소절 표기’
↓
다쏘리, 너코, 안타, 알치 로 발음됨.
② 음절 말 위치에서,
ㅂ, ㅍ, ㅃ → [ p ]
ㄷ, ㅌ, ㄸ ; ㅅ, ㅆ ; ㅈ, ㅊ, ㅉ ; ㅎ → [ t ]
ㄹ[ ]
로 발음됨.
2) 동화
: 어떤 음이 가까이 있는 음의 영향을 받아 그 음과 같거나 비슷한 음으로 바뀌는 현상.
① 비음화
: 절음화한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이 비음(‘ㄴ,ㅁ’) 앞에서 비음으로 바뀌는 동화현상.
ex) 입내[임내], 밥맛[밤맏], 앞니[암니], 옆막이[염마기];
듣는[든는], 붙네[분네]
잇몸[인몸], 봤니?[봔니]
괴좆나무[괴존나무], 젖먹이[전머기], 꽃나무[꼰나무]
닿는[단는]
막내[망내], 먹물[멍물], 부엌문[부엉문]
② ‘ㄹ’로 시작하는 한자어 앞에서의 비음화
ex) 법령[범녕], 격리[경니]
┖→[법녕]→[범녕] ┖→[격니]→[경니]
③ 유음화1 : ㄹ→ㄴ
‘ㄹ’앞 뒤의 ‘ㄴ’이 ‘ㄹ’에 완전 동화하는 현상.
ex) 권리[궐리], 혼란[홀란]
칼날[칼랄], 훑는[훌른]
유음화2 : ㄴ→ㄹ (한자어 연결에 많음)
ex) 임진란[임진난], 통신란[통신난], 생산량[생산냥], 공권력[공
- 이 유성음은 음소가 아니고 변이음에 불과. 때문에 한국인들은 ‘바보’의 ‘ㅂ’을 똑같은 소리라고 인식. 이런 유성음화 현상은 아마도 고대한국어 시절부터 있었으리라 믿어짐.
④ 방언에 따라 파찰음 ‘ㅈ’을 경구개음이 아니라 치경음[ ]로 소리 내는 일이 있음
⑤ 마찰음 ‘ㅅ’에는 유기음이 없음
; 한국어의 마찰음 평음 ‘ㅅ’은 어떤 환경에서도 유성음화하지 않음.
Because... \'ㅅ‘을 평음으로 보고 있지만, 실제로는 파열음 파찰음의 유기음과 그 성질 이 비슷하기 때문.
⑥‘ㅎ\'은 어두에서만 나타나고 ’ㄹ‘과 ’ㅇ‘은 어중과 음절 말에서만 실현된다는 점에서 ‘ㅎ\' 과 ’ㄹ,ㅇ‘은 상보적 분포를 이룬다.
⑦ 비음 ‘ㅁ, ㄴ, ㅇ’과 유음 ‘ㄹ’, 반모음 w, j 는 항상 유성음이고, 속삭임 소리와 같은 특 별한 경우가 아니면 이 자음들은 무성음화하지 않는다.
⑧ 유음 ‘ㄹ’은 모음 뒤에서만 나타나는 음으로 모음사이에서는 설탄음[ ]로, 음절 말 위치에서는 설측음[ l ]로 실현된다. [ l ]뒤에 오는 ‘ㄹ’은 [ l ]에 완전 동화되어버린다.
ex) 사람 [ ] / 별, 살며시 [ l ] / 물론, 울렁울렁 [ l ]
⑨ 절음화 현상
현대 한국어의 모든 방언에서 모든 파열음과 파찰음, 그리고 마찰음은 음절 말 위치에 오면 절음화하여 제대로 소리 나지 않게 됨.
ㄱ, ㅋ, ㄲ; , ㄷ, ㅌ;, ㅂ, ㅍ;, ㅈ, ㅊ;, ㅅ, ㅆ / 쉼, 다른 자음 앞
→ [ k ], [ t ], [ p ], [ t ], [ t ] 발음됨.
이 절음화 현상 때문에 한국어 자음의 다양한 음운 변화가 일어나게 됨.
2) 모음체계
혀의 앞뒤
혀의 높이
전설모음
후설모음
(비원순)
(원순)
(비원순)
(원순)
고 모 음
ㅣi
ㅟ y
ㅡ
ㅜ u
중 모 음
ㅔ e
ㅚ 0
ㅓ
ㅗ o
저 모 음
ㅐ
ㅏ
한국어의 모음 수는 방언에 따라 달라진다.
- 경상도 방언 ; / ㅣ, ㅜ, ㅔ, ㅓ, ㅗ, ㅏ / 6개
- 제주도 방언 ; 비원순 모음/ㅏ/와 대립되는 원순 모음 / / [ ]가 더 있음.
- /ㅔ/와 /ㅐ/도 모든 방언의 젊은 층에서 거의 구별되지 않음.
◎ 반모음 w와 가 단모음과 결합 → 이중모음 이룸.
wa(ㅘ), we(ㅙ), w(ㅝ), we(ㅞ);
ja(ㅑ), j(ㅒ), j(ㅕ), je(ㅖ), jo(ㅛ), ju(ㅠ);
j(ㅢ)
w (ㅙ)와 we(ㅞ), j(ㅒ)ㅘ je(ㅖ)
; 문자 상으로만 구분, 실제발음은 [we]; [je]로 실현됨.
‘ㅒ, ㅖ’ ; 자음 뒤에서 [ , e]로만 실현됨
┖→ 형태 음소절 표기용으로만 존재.
j (ㅢ)
; 현대 한국어 유일한 하향(下向) 이중 모음.
대부분의 방언에서 [ i ]로 발음. 관형적 조사로 쓰일 경우에는 전부 [e]로 소리 냄.
◎ 한국어의 초분절 음소
; 모음의 길이, 모음의 높이
1. 가:가 가가가? - 그 아이가 가(佳)씨냐?
2. 가가가 가:가? - 가씨가 그 아이냐?
3. 가가가 가가 - 가씨가 가서.
4. 가:? 가:가 가:가? - 그 아이? 그 아이가 그 아이냐?
5. 가가 가: 가가 - 가씨 그 아이가 가서.
6. 가: 가:가 가가 - 그 아이, 그 아이가 가서.
7. 가:가 가: 가가 - 그 아이가 가져 가서
8. 가가가 가: 가 - 가씨가 가져 가라
2. 음절 구조
(1) 모음만의 음절 : 아이, 오이, 위에
(2) ‘반모음 + 모음’의 음절 : 야유, 와야, 왜요
(3) ‘자음 + 모음’의 음절 : 가구, 처네, 꾀보
(4) ‘자음 + 반모음 + 모음’의 음절 : 겨놔, 교과, 꽤
(5) ‘모음 + 자음’의 음절 : 악인, 억압, 은인
(6) ‘반모음 + 모음 + 자음’의 음절 : 원양, 웽웽, 육욕
(7) ‘자음 + 모음 + 자음’의 음절 : 남국, 쌀독, 풀썩
(8) ‘자음 + 반모음 + 모음 + 자음’의 음절 : 권력, 병균, 쾅
(9) ‘모음 + 반모음’의 음절 : 의
(10) ‘모음 + 반모음 + 자음’의 음절 : 읫
(11) ‘자음 + 모음 + 반모음’의 음절 : (각)의, (전문)의
3. 음운규칙
1) 회피
(1) 어두자음회피
어떤 특수한 자음은 낱말의 첫소리 위치 (음운론적으로 말하면 쉼(休止)뒤의 위치)에 올 수 없다.
‘ㅇ[]’, ‘ㄹ’, ‘ㄴ+ j\'[]은 음절 첫소리에 올 수 없다.
‘ㄹ’ → 나열(羅列) ← 기라(綺羅), 노인(老人) ← 초로(初老)
But! - 외래어의 첫소리 r이나 l은 발음됨.
ex) 라디오, 랭킹, 렌즈, 로맨스...... 등.
구개음화와 ‘ㄴ’ → 여성(女性) ← 수녀(修女)
- 외래어 ‘뉴스, 니코틴, 닉네임’등 발음됨.
* 북한, 중국 연변은 ‘ㄹ,ㄴ’을 첫소리에서 발음하는 것을 인정.
(2) 음절 말 자음 회피
① 음절 말 위치 [v_# 또는 v_c 위치]에서 ‘ㅎ[h]’음은 나타나지 않음.
ex) 닿소리, 넣고, 않다, 앓지 .......... ‘형태 음소절 표기’
↓
다쏘리, 너코, 안타, 알치 로 발음됨.
② 음절 말 위치에서,
ㅂ, ㅍ, ㅃ → [ p ]
ㄷ, ㅌ, ㄸ ; ㅅ, ㅆ ; ㅈ, ㅊ, ㅉ ; ㅎ → [ t ]
ㄹ[ ]
로 발음됨.
2) 동화
: 어떤 음이 가까이 있는 음의 영향을 받아 그 음과 같거나 비슷한 음으로 바뀌는 현상.
① 비음화
: 절음화한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이 비음(‘ㄴ,ㅁ’) 앞에서 비음으로 바뀌는 동화현상.
ex) 입내[임내], 밥맛[밤맏], 앞니[암니], 옆막이[염마기];
듣는[든는], 붙네[분네]
잇몸[인몸], 봤니?[봔니]
괴좆나무[괴존나무], 젖먹이[전머기], 꽃나무[꼰나무]
닿는[단는]
막내[망내], 먹물[멍물], 부엌문[부엉문]
② ‘ㄹ’로 시작하는 한자어 앞에서의 비음화
ex) 법령[범녕], 격리[경니]
┖→[법녕]→[범녕] ┖→[격니]→[경니]
③ 유음화1 : ㄹ→ㄴ
‘ㄹ’앞 뒤의 ‘ㄴ’이 ‘ㄹ’에 완전 동화하는 현상.
ex) 권리[궐리], 혼란[홀란]
칼날[칼랄], 훑는[훌른]
유음화2 : ㄴ→ㄹ (한자어 연결에 많음)
ex) 임진란[임진난], 통신란[통신난], 생산량[생산냥], 공권력[공
키워드
추천자료
국어학의 특질
한국어 어휘의 특징과 어휘교육
남북 언어의 차이점
[학습지도안/수업지도안] 학교 문법론 - 국어의 특질
[사투리][방언][표준어][지방사투리]사투리(방언)의 사회인식과 사투리(방언)의 활용가치, 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론 듣기교육
[남북 언어정책][남북 어휘][남북 규범문법][남북 언어통일]남북한 언어정책의 비교, 남북한 ...
[남북한 표준어][남북한 언어관][남북한 언어정책][남북한 언어사용][어문정책]남북한의 표준...
[영어문법]영어(영어문법)의 발달, 영어(영어문법)의 문형론, 영어(영어문법)의 동화작용, 영...
국문학 - 언어의 계통과 그에 대한 연구 방법, 한국어와 알타이어의 관계에 대한 견해, 알타...
<수업지도안 (교수-학습 과정안)> (대학원 유학생 (외국인) 고급 / 학습교재 : 외국인을 위한...
2015년 2학기 한국어교육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한국어의 초분절 음소 종류, 특성)
(프랑스어발음연습 A형) 프랑스어 자모음의 발음 특징을 한국어의 발음과 비교하시오 - 자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