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교의 유래
2 유교의 학문적 변천
3 유교의 경전
4 유교의 윤리사상
5. 우리나라의 유교
2 유교의 학문적 변천
3 유교의 경전
4 유교의 윤리사상
5. 우리나라의 유교
본문내용
’라 한다.”고 하였는데, 이 말은 사욕과 거짓이 없는 자기 본연의 모습을 견지하는 자세에서 충의 의미를 해석하는 것이다.
진(秦), 한(漢) 이후에는 ‘충’의 의미가 개인보다는 국가나 군주를 위해 전심노력하는 충의(忠義)의 덕으로 강조되었다.
* 효(孝) --->효(孝)란 자식이 어버이를 섬기는 도리를 말한다. 주나라 때의 기록에 의하면 효는 두 가지 형태의 도리를 포함한다. 즉 하나는 살아계신 부모께 대한 효로서 봉양, 존경, 복종을 하는 행동이며, 다른 하나는 선친이나 선조 등 죽은 자에 대한 효인데, 이것은 살아있는 부모에 대한 효의 연장으로서 추효(追孝)라고도 하였다. 그리하여 여기에는 조상신 숭배행위로 포함된다. 주나라 때엔 효가 가족과 국가에 걸쳐 적용되어 윤리와 정치의 매개역할을 하였다. 공자는 주대의 효의 개념을 계승발전시켜 정치의 근본으로서 효를 강조하였고, 맹자는 효제(孝悌)의 도리를 가르치는 것을 왕도정치의 이상으로 제시하였다.
4) 성경사상(誠敬思想)
* 성(誠)사상 ---> 성은 유교 윤리학의 중요개념으로서, 성실, 진실무방(眞實無妄), 정성(精誠) 등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성’의 개념이 사람이 마땅히 갖추어야할 덕으로서 의미된 것은 ‘맹자’, ‘장자’, ‘순자’의 책에서 논하여 졌고, ‘중용’에서는 ‘성’의 개념이 천도(天道)와 인도(人道)를 관통하여 천인합일(天人合一)의 길로서 제시된다.
한국에 있어서 이이는 성설을 논하였는데, 그에 의하면 성은 인간 주체의 성실성의 확립이며, 이 ‘성’의 실현은 성의(誠意), 실심(實心), 성신(誠信), 지성(至性)의 단계가 있는데, 그 중 전체 지성으로서의 지성은 최고의 단계가 된다.
* 경(敬)사상 ---> 경이란, 마음가짐과 몸가짐을 가다듬어 모든 행위에 있어서 경건성을 지니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경’이란 몸가짐을 함양하고 마음가짐을 공부하는 함양공부(涵養工夫)의 요체가 된다. ‘경’은 ‘성’과 함께 유교의 중요개념이다. ‘성’은 선천적인 천도의 성격을 띤다면, ‘경’은 후천적인 인도(人道)의 성격을 띤다. 성경사상은 송대 성리학자들에 의해 ‘천인합일론’에서 세밀히 논해진다. ‘경’사상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된다.
5. 우리나라의 유교
(1) 삼국시대의 유교
유교가 우리나라에 전래된 연대는 문헌상 확실치 않으나 삼국시대에 당나라 유학생이 보이고 나라마다 국자학을 세운 것으로 보아 그 당시에 이미 유교가 일반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기록상 고구려는 372년(소수림왕 2년)에 태학을 설치하여 교육하였고, 백제는 285년(고이왕 52년)에 왕인이 일본에 논어와 천자문을 전하고, 고흥이 백제 서기를 찬술한 것으로 보아 동진과 교류하여 남조문화를 수입하던 근초고왕때인 것으로 추측되며, 신라에서는 제 31대 신문왕2년(682년)에 국학을 건립하였다. 그러나 당시의 유학은 경전과 사기에 통달하여 정치와 법률에 능통한 국가의 관리가 되고, 사부와 문장을 장 음영하는데 목적이 있었다고들 한다. 삼국시대의 대표적 유가로는 문묘에 배형된 설총과 최치원을 들 수 있다.
(2) 고려시대의 유교
고려 태조 왕건은 건국후 불교를 숭상하여 유학이 쇠퇴하더니 제6대 성종이 유교를 숭상하여 동 9년(990)에 대묘를 건립케 하고 11년에는 국자감을 설치하여 경학박사를 두어 이를 장려하였으나 당시 사류들의 미온책으로 발흥치 못 하였다가 제 11대 문종에 이르러 최충이 구재를 설치하고 후진을 교육하여 유교가 크게 융성하였다. 그러나 그 후 무인의 발호와 전란의 계속으로 이를 떨치지 못하였으나 제 25대 충렬왕 12년(1286)에 안향에 의해 정주학의 도입되었다. 안향의 문하에 백이정, 우탁, 권부 등이 배출되어 백이정은 정주학을 연구하고 우탁은 정주학의 역전을 연구하여 처음으로 역리학을 전포하였다.
(3) 조선조의 유교
조선왕조를 세운 태조 이성계는 개국공신 정도전에게 경국대전을 편찬하게 하여 국정의 기본을 삼고 유교를 국교로 삼아 배불숭유의 정책을 단행했다. 서울에는 성균관을 창건하고 전국의 360 주군에는 향교와 문묘를 병설케하였다. 따라서 조선조의 교육은 유교(특히 주자학)로 일관하였다.
성리학의 정통을 이은 김종직의 문하에는 김굉필과 정영창 등이 유명했으나 이들은 사화로 인해 몰락하였다. 사화가 있은 후 뜻있는 사류들은 정계진출을 단념하고 산림에 돌아가 학문에만 열중하는 풍조가 일어났다. 이에 사색과 이론을 뛰어난 서경덕과 이언적 등이 배출되었다.
서경덕은 일생을 학구와 사색으로 일관했으며 그가 주장한 기일원론은 성리학의 가장 창의적인 철학으로서 뒤에 이이의 사상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이언적이 주장한 주리학설은 뒤에 이황의 사상에 많은 자극을 주기도 하였다. 서경덕과 이언적의 뒤를 이은 이기심성의 학풍은 명종과 선조대에 이르러 전성기를 이루었으니 그 중에도 이황과 이이가 가장 뛰어나 우리나라 유학사에 대표적인 유자로서 존경을 받았다. 그리하여 영남사류는 이황을 동방의 주부자라 칭하고 기호사류들은 이이를 동방의 성인이라 칭하여 영남학파와 기호학파를 낳게 하였다.
이황은 우리나라 성리학자 가운데 누구보다 깊은 뜻을 연찬하여 정주학의 충실한 후계자가 되었으니, 성리학의 본원을 구명한 학설로는 기대승과 논변한 사칠이기의 논설이 유명하다. 이황은 사단은 이(理)의 발(發)이고 칠정은 기(氣)의 발(發)이라 하였는데 이 같은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은 당시의 성리학의 중요한 주체가 되었던 것이다.
이이는 이황과 같이 우주의 본체를 이기이원의 개념적 구성으로 보았지만, 그러나 이(理)와 기(氣)는 공간적으로 서로 이합(離合)함이 없을뿐더러 시간적으로도 서로 선후가 없으므로 이(理)란 조리(條理) 즉 당연의 법칙으로 우주의 체(體)가 되고, 기(氣)는 그 조리를 구체화하는 활동, 즉 형질로써 우주의 본체에 대한용이 된다 하였다. 그리하여 이기(理氣)는 둘이면서 하나요, 하나면서 둘이라 하여 이통기국(理通氣局) 기발이승(氣發理乘)의 학설 즉 이기일원적이원론을 주창하였다. 이와 같이 이황과 이기가 유명하여 각각 그에게 교육 받는 문인이 점차 늘어나 마침내는 학파를 이루고 있을 때 선조 7년에 동인과 서인의
진(秦), 한(漢) 이후에는 ‘충’의 의미가 개인보다는 국가나 군주를 위해 전심노력하는 충의(忠義)의 덕으로 강조되었다.
* 효(孝) --->효(孝)란 자식이 어버이를 섬기는 도리를 말한다. 주나라 때의 기록에 의하면 효는 두 가지 형태의 도리를 포함한다. 즉 하나는 살아계신 부모께 대한 효로서 봉양, 존경, 복종을 하는 행동이며, 다른 하나는 선친이나 선조 등 죽은 자에 대한 효인데, 이것은 살아있는 부모에 대한 효의 연장으로서 추효(追孝)라고도 하였다. 그리하여 여기에는 조상신 숭배행위로 포함된다. 주나라 때엔 효가 가족과 국가에 걸쳐 적용되어 윤리와 정치의 매개역할을 하였다. 공자는 주대의 효의 개념을 계승발전시켜 정치의 근본으로서 효를 강조하였고, 맹자는 효제(孝悌)의 도리를 가르치는 것을 왕도정치의 이상으로 제시하였다.
4) 성경사상(誠敬思想)
* 성(誠)사상 ---> 성은 유교 윤리학의 중요개념으로서, 성실, 진실무방(眞實無妄), 정성(精誠) 등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성’의 개념이 사람이 마땅히 갖추어야할 덕으로서 의미된 것은 ‘맹자’, ‘장자’, ‘순자’의 책에서 논하여 졌고, ‘중용’에서는 ‘성’의 개념이 천도(天道)와 인도(人道)를 관통하여 천인합일(天人合一)의 길로서 제시된다.
한국에 있어서 이이는 성설을 논하였는데, 그에 의하면 성은 인간 주체의 성실성의 확립이며, 이 ‘성’의 실현은 성의(誠意), 실심(實心), 성신(誠信), 지성(至性)의 단계가 있는데, 그 중 전체 지성으로서의 지성은 최고의 단계가 된다.
* 경(敬)사상 ---> 경이란, 마음가짐과 몸가짐을 가다듬어 모든 행위에 있어서 경건성을 지니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경’이란 몸가짐을 함양하고 마음가짐을 공부하는 함양공부(涵養工夫)의 요체가 된다. ‘경’은 ‘성’과 함께 유교의 중요개념이다. ‘성’은 선천적인 천도의 성격을 띤다면, ‘경’은 후천적인 인도(人道)의 성격을 띤다. 성경사상은 송대 성리학자들에 의해 ‘천인합일론’에서 세밀히 논해진다. ‘경’사상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된다.
5. 우리나라의 유교
(1) 삼국시대의 유교
유교가 우리나라에 전래된 연대는 문헌상 확실치 않으나 삼국시대에 당나라 유학생이 보이고 나라마다 국자학을 세운 것으로 보아 그 당시에 이미 유교가 일반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기록상 고구려는 372년(소수림왕 2년)에 태학을 설치하여 교육하였고, 백제는 285년(고이왕 52년)에 왕인이 일본에 논어와 천자문을 전하고, 고흥이 백제 서기를 찬술한 것으로 보아 동진과 교류하여 남조문화를 수입하던 근초고왕때인 것으로 추측되며, 신라에서는 제 31대 신문왕2년(682년)에 국학을 건립하였다. 그러나 당시의 유학은 경전과 사기에 통달하여 정치와 법률에 능통한 국가의 관리가 되고, 사부와 문장을 장 음영하는데 목적이 있었다고들 한다. 삼국시대의 대표적 유가로는 문묘에 배형된 설총과 최치원을 들 수 있다.
(2) 고려시대의 유교
고려 태조 왕건은 건국후 불교를 숭상하여 유학이 쇠퇴하더니 제6대 성종이 유교를 숭상하여 동 9년(990)에 대묘를 건립케 하고 11년에는 국자감을 설치하여 경학박사를 두어 이를 장려하였으나 당시 사류들의 미온책으로 발흥치 못 하였다가 제 11대 문종에 이르러 최충이 구재를 설치하고 후진을 교육하여 유교가 크게 융성하였다. 그러나 그 후 무인의 발호와 전란의 계속으로 이를 떨치지 못하였으나 제 25대 충렬왕 12년(1286)에 안향에 의해 정주학의 도입되었다. 안향의 문하에 백이정, 우탁, 권부 등이 배출되어 백이정은 정주학을 연구하고 우탁은 정주학의 역전을 연구하여 처음으로 역리학을 전포하였다.
(3) 조선조의 유교
조선왕조를 세운 태조 이성계는 개국공신 정도전에게 경국대전을 편찬하게 하여 국정의 기본을 삼고 유교를 국교로 삼아 배불숭유의 정책을 단행했다. 서울에는 성균관을 창건하고 전국의 360 주군에는 향교와 문묘를 병설케하였다. 따라서 조선조의 교육은 유교(특히 주자학)로 일관하였다.
성리학의 정통을 이은 김종직의 문하에는 김굉필과 정영창 등이 유명했으나 이들은 사화로 인해 몰락하였다. 사화가 있은 후 뜻있는 사류들은 정계진출을 단념하고 산림에 돌아가 학문에만 열중하는 풍조가 일어났다. 이에 사색과 이론을 뛰어난 서경덕과 이언적 등이 배출되었다.
서경덕은 일생을 학구와 사색으로 일관했으며 그가 주장한 기일원론은 성리학의 가장 창의적인 철학으로서 뒤에 이이의 사상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이언적이 주장한 주리학설은 뒤에 이황의 사상에 많은 자극을 주기도 하였다. 서경덕과 이언적의 뒤를 이은 이기심성의 학풍은 명종과 선조대에 이르러 전성기를 이루었으니 그 중에도 이황과 이이가 가장 뛰어나 우리나라 유학사에 대표적인 유자로서 존경을 받았다. 그리하여 영남사류는 이황을 동방의 주부자라 칭하고 기호사류들은 이이를 동방의 성인이라 칭하여 영남학파와 기호학파를 낳게 하였다.
이황은 우리나라 성리학자 가운데 누구보다 깊은 뜻을 연찬하여 정주학의 충실한 후계자가 되었으니, 성리학의 본원을 구명한 학설로는 기대승과 논변한 사칠이기의 논설이 유명하다. 이황은 사단은 이(理)의 발(發)이고 칠정은 기(氣)의 발(發)이라 하였는데 이 같은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은 당시의 성리학의 중요한 주체가 되었던 것이다.
이이는 이황과 같이 우주의 본체를 이기이원의 개념적 구성으로 보았지만, 그러나 이(理)와 기(氣)는 공간적으로 서로 이합(離合)함이 없을뿐더러 시간적으로도 서로 선후가 없으므로 이(理)란 조리(條理) 즉 당연의 법칙으로 우주의 체(體)가 되고, 기(氣)는 그 조리를 구체화하는 활동, 즉 형질로써 우주의 본체에 대한용이 된다 하였다. 그리하여 이기(理氣)는 둘이면서 하나요, 하나면서 둘이라 하여 이통기국(理通氣局) 기발이승(氣發理乘)의 학설 즉 이기일원적이원론을 주창하였다. 이와 같이 이황과 이기가 유명하여 각각 그에게 교육 받는 문인이 점차 늘어나 마침내는 학파를 이루고 있을 때 선조 7년에 동인과 서인의
추천자료
교육에 대한 유학의 긍·부정적 영향
유교의 사상
유교에 기초를 둔 입법화와 여성에게 일어나는 결과.
[유교윤리학] 주자의 대학과 윤리문제
[경영RPT] 유교원리와 리더십 (오원석)
도덕, 윤리와 사상, 시민윤리, 전통윤리 교과서 中 한국유학사상 부분 발췌 요약정리
[교육사]유교교육이념과 과거제도
유교 도가 불교 사상
한국의 가족주의, 집단주의, 권위주의, 동질성 추구, 소통의 문화, 유교와 한국의 역동성, 한...
과거 전통적 한국사회의 정치제도, 경제제도, 법제도 및 교육제도에 유교문화가 끼친 영향
일본 겐로쿠시대(元禄時代) 서민문화 - 스모, 가부키, 풍기문란, 유학의 부흥기, ...
갑오개혁의 전개 과정과 탈 유학적 성격에 대한 고찰
『한국의 종교 문화로 읽는다』 (무교, 유교) 뒷부분 중심 _ 최준식 저
동양철학(유교철학, 회교철학, 도가철학, 한국의 철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