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 웰빙의 정확한 이해
웰빙의 정의
웰빙족
웰빙산업의 출발점
웰빙비즈니스의 한계
2장 - 웰빙의 마케팅적 가치
웰빙트렌드 이해
웰빙소비의 환경 인식
웰빙상품의 소비자 가치
웰빙마케팅의 실체
3장 - 웰빙마케팅의 전략적 사고
웰빙상품의 컨셉트 이해
웰빙상품의 시장포지셔닝
웰빙마케팅은 기업의 핵심 비즈니스에 집중
웰빙마케팅은 마더쉽마케팅
4장 - 공적인 웰빙마케팅 플래닝
웰빙마케팅의 시장기회 찾기
웰빙마케팅의 STP전략의 핵심
웰빙마케팅의 지속적인 경쟁우위점
웰빙 IMC전략
웰빙의 정의
웰빙족
웰빙산업의 출발점
웰빙비즈니스의 한계
2장 - 웰빙의 마케팅적 가치
웰빙트렌드 이해
웰빙소비의 환경 인식
웰빙상품의 소비자 가치
웰빙마케팅의 실체
3장 - 웰빙마케팅의 전략적 사고
웰빙상품의 컨셉트 이해
웰빙상품의 시장포지셔닝
웰빙마케팅은 기업의 핵심 비즈니스에 집중
웰빙마케팅은 마더쉽마케팅
4장 - 공적인 웰빙마케팅 플래닝
웰빙마케팅의 시장기회 찾기
웰빙마케팅의 STP전략의 핵심
웰빙마케팅의 지속적인 경쟁우위점
웰빙 IMC전략
본문내용
음식은 일반 식당과 같은 가격으로 하여 관광객들이 싸들고 오지 않아도 되게 하였으며 입장료를 포함한 도선료와 숙박료, 시설 이용료, 그리고 기념품과 재활용 용품을 판매하여 수익을 올려나갔다. 이러한 노력으로 외부자본을 유치하지 않고 정부 지원 역시 받지 않으면서 자력으로 흑자를 내게 되었다.
③ 유통전략 (당일에 즐길 수 있는 웰빙 섬나라)
남이섬은 사람들에게 맑은 공기와 아름다운 풍경을 선사한다. 섬의 곳곳은 걷거나 자전거로 여유롭게 즐길 수 있다. 걷다가 다리가 아프면 곳곳에 마련된 전시장과 예술 공간에서 감성을 충전 할 수 있다.
④ 촉진전략 (드라마 촬영지로 홍보의 효과를 톡톡히 보다)
적자에 허덕이던 남이섬은 광고 판촉을 할 만한 여력이 없었다. 그러던 중 기회가 찾아왔고 남이섬에서 드라마<겨울연가>의 촬영이 이루어 졌다. 드라마의 폭발적인 인기로 남이섬은 유명해 지게 되었고,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일본 등지에서도 관광객이 몰려 들기 시작했다. 이렇게 몰려들기 시작한 외국인 관광객들을 위해 직원들의 서비스 교육을 실시해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였다.
2000년 입장객 32만 명이던 남이섬이 현재는 입장객 수가 3.5배 이상 증가하였다. 매출액은 20억 원에서 80억 원으로 증가 하였으며, 2억 이상 적자가 나던 회사가 흑자로 돌아서게 되었다. 같은 공간을 불과 4년 만에 3.5배의 관광객이 찾는데도 과거처럼 술 먹고 떠드는 사람을 찾아볼 수 없는 것은 고객의 구조가 바뀌었기 때문이다.
IV. 떠오르는 시장을 선점하는 웰빙마케팅 발상법
1. 웰빙 시장은 바로 옆에 있다.
(1) 창의적인 마케터가 기업을 살린다.
엘지건설의 자이는 2004년도에 가장 많은 분양실적을 올렸다. 이처럼 성장하는 기업 특징은 시대를 읽고 새로운 상품을 기획하고 마케팅하는 창의적인 마케터가 있다는것이다. 창의적인 마케터는 벤처기업의 CEO일수도 있고 대기업의 경우는 브랜드매니저,프로덕트매니저, 또는 마케팅 매니저일수도 있다.
(2) 시장은 언제나 가까이에 있다.
발상을 바꾸면 새로운 시장과 고객은 바로 옆에 있다라는 새로운 컨셉으로 미개척시장을 개척한 예로 베스킨라빈스를 들수 있다. 아이스크림은 오래된 상품으로서 이미 대량 생산되어 선발자들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을 때 미국의 베스킨씨와 라빈슨씨는 아이스크림제조업체들이 지배하던 시장에서 획일화 된 제품을 사먹는 것이 아니라 입맛에 맞는 다양한 종류의 아이스크림가게를 열었다. 그러나 대형제조업체들과의 경쟁이 되지 않는 작은 가게에 불과했다. 두 사람은 보다 강력한 이미지를 부각하기 위해 아이스크림의 종류를 31가지로 늘리고 \"BR31\"이라는 브랜드로 마케팅에 들어가 상점에서 매일매일 골라먹는 재미있고 새로운 컨셉으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였다.
(3) 고객니즈를 마케팅 아이디어로 개발하라.
고객의 감추어진 니즈를 읽어내고 이를 만족시킬수 있는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개발하는 것이 마케터의 몫이다. 보이지 않는 고객의 니즈를 읽어내는 데 도움이 될만한 모델이 가노모델이고 , 컨셉이 일관되게 유지되면서 실행전략을 개발하는데에 도움이 되는 모델은 전략맵이다. 그리고 고객의 니즈를 は아내서 마케팅 아이디어로 개발해가는 과정은 니즈 투 아이디어프로세스라고 한다. 이 세가지 모델은 각각 따로따로 작용시키기보다 순환적으로 작용시켜 계속될 때 뛰어난 상품과 서비스를 만들어 낼 수 있다.
2. 고객마음을 캐내는 기술-마인드 마이닝
(1) 고객의 마음을 캐는 광부가 되라.
마케터들은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현장 확인을 통해 금이 어디에 있는지 알아내야 한다. 우선 시장에서 금의 흔적을 찾아내고 고객의 마음속에 자리 잡은 금의 냄새를 맡아내 그것을 아이디어로 정제하고 정제된 아이디어는 다시 한번 컨셉으로 재창조하여 상품과 서비스 개발이라는 용광로에서 수많은 실험이 이루어져 시제품이 만들어지게 된다.
(2) 보이지 않는 니즈를 읽어내라.
웰빙마케팅은 같은 연령대라 하더라도 남녀에 따라 다르고, 주거지역에 따라 달라 목표고객을 정확히 하지 않으면 니즈를 맞추기가 힘들다.
① 모든 고객을 다 잡으려 하지 말라.
시장을 좁혀서 목표고객을 분명히 하고, 니즈를 정확히 읽어낸 뒤 그 시장에 적합한 가치를 만듦.
② 과거의 자료를 너무 신봉하지 말라.
시장변화가 심할 때에는 과거의 패턴이 반복되지 않고 전혀 새로운현상이 발생.
③ 큰 시장만을 기대하지 말라.
대량생산, 대량판매 보다 작은 시장들을 하나하나 공략하면 큰 시장이 됨.
(3) 가치가 보이게 하라.
① 웰빙 가치를 느끼게 하라.
웰빙 고객들이 매스티지상품을 선호하는 것은 적절한 비용을 지불하고 나서 비용 이상의 소유가치나 비용가치가 있다고 끼면 불만족하지 않는다.
② 품질을 좋게 하라.
스타벅스커피전문점을 방문하는 고객들은 가격이 저렴해서 그곳에 가는 것이 아니다. 입맛에 맞는 질 좋은 커피와 서비스 점포분위기의 품질이 다른 커피숍 보다 좋기 때문이다.
③ 싸구려로 보이지 않게 하라.
현대인들은 자기가 쓰고 있는 물건이 자신의 이미지를 대변하고 있다고 생각 한다. 쌀이나 농산물도 브랜드를 만들어 싸구려라는 이미지에서 벗어나야 한다.
(4) 오감을 자극하라.
① 아날로그와 디지털 판촉을 믹스하라.
오피스레이디나 신세대 직장인들은 인터넷 쇼핑을 선호 하며, 인터넷 고객이 오프라인 매장으로도 온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판촉을 병행하라.
② 오감을 잡아라.
웰빙 고객들은 감성과 느낌을 중시하며, 오감을 사로잡을 감성 마케팅을 전개 해야 한다. 남이섬은 방문객들이 자연주의를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으로 느낄 수 있도록 변모시켰다.
③ 제품의 기능 중심으로 선전하지 말라.
제품의 기능보다는 그것이 어떤 효용을 주고 가치가 있는지를 강조하라.
④ 기존의 유통방식만을 고집하지 말라.
지금은 할인점, 홈쇼핑, 인터넷 등의 다양한 유통방식을 이용하라.
(5) 제품의 생명이 있게 하라.
서울 강남에 총각네 야채가게는 남들과 똑같이 가락시장에서 과일을 구매해서 판매하지만 이 집의 과일은 다르다고 한다. 총각네 야채가게는 강남의 40대 주부들의 웰빙취향에 맞는 과일의 품질을 선별해서 구매해 오고 파는 방법도 웰빙고객들의 입맛에
③ 유통전략 (당일에 즐길 수 있는 웰빙 섬나라)
남이섬은 사람들에게 맑은 공기와 아름다운 풍경을 선사한다. 섬의 곳곳은 걷거나 자전거로 여유롭게 즐길 수 있다. 걷다가 다리가 아프면 곳곳에 마련된 전시장과 예술 공간에서 감성을 충전 할 수 있다.
④ 촉진전략 (드라마 촬영지로 홍보의 효과를 톡톡히 보다)
적자에 허덕이던 남이섬은 광고 판촉을 할 만한 여력이 없었다. 그러던 중 기회가 찾아왔고 남이섬에서 드라마<겨울연가>의 촬영이 이루어 졌다. 드라마의 폭발적인 인기로 남이섬은 유명해 지게 되었고,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일본 등지에서도 관광객이 몰려 들기 시작했다. 이렇게 몰려들기 시작한 외국인 관광객들을 위해 직원들의 서비스 교육을 실시해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였다.
2000년 입장객 32만 명이던 남이섬이 현재는 입장객 수가 3.5배 이상 증가하였다. 매출액은 20억 원에서 80억 원으로 증가 하였으며, 2억 이상 적자가 나던 회사가 흑자로 돌아서게 되었다. 같은 공간을 불과 4년 만에 3.5배의 관광객이 찾는데도 과거처럼 술 먹고 떠드는 사람을 찾아볼 수 없는 것은 고객의 구조가 바뀌었기 때문이다.
IV. 떠오르는 시장을 선점하는 웰빙마케팅 발상법
1. 웰빙 시장은 바로 옆에 있다.
(1) 창의적인 마케터가 기업을 살린다.
엘지건설의 자이는 2004년도에 가장 많은 분양실적을 올렸다. 이처럼 성장하는 기업 특징은 시대를 읽고 새로운 상품을 기획하고 마케팅하는 창의적인 마케터가 있다는것이다. 창의적인 마케터는 벤처기업의 CEO일수도 있고 대기업의 경우는 브랜드매니저,프로덕트매니저, 또는 마케팅 매니저일수도 있다.
(2) 시장은 언제나 가까이에 있다.
발상을 바꾸면 새로운 시장과 고객은 바로 옆에 있다라는 새로운 컨셉으로 미개척시장을 개척한 예로 베스킨라빈스를 들수 있다. 아이스크림은 오래된 상품으로서 이미 대량 생산되어 선발자들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을 때 미국의 베스킨씨와 라빈슨씨는 아이스크림제조업체들이 지배하던 시장에서 획일화 된 제품을 사먹는 것이 아니라 입맛에 맞는 다양한 종류의 아이스크림가게를 열었다. 그러나 대형제조업체들과의 경쟁이 되지 않는 작은 가게에 불과했다. 두 사람은 보다 강력한 이미지를 부각하기 위해 아이스크림의 종류를 31가지로 늘리고 \"BR31\"이라는 브랜드로 마케팅에 들어가 상점에서 매일매일 골라먹는 재미있고 새로운 컨셉으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였다.
(3) 고객니즈를 마케팅 아이디어로 개발하라.
고객의 감추어진 니즈를 읽어내고 이를 만족시킬수 있는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개발하는 것이 마케터의 몫이다. 보이지 않는 고객의 니즈를 읽어내는 데 도움이 될만한 모델이 가노모델이고 , 컨셉이 일관되게 유지되면서 실행전략을 개발하는데에 도움이 되는 모델은 전략맵이다. 그리고 고객의 니즈를 は아내서 마케팅 아이디어로 개발해가는 과정은 니즈 투 아이디어프로세스라고 한다. 이 세가지 모델은 각각 따로따로 작용시키기보다 순환적으로 작용시켜 계속될 때 뛰어난 상품과 서비스를 만들어 낼 수 있다.
2. 고객마음을 캐내는 기술-마인드 마이닝
(1) 고객의 마음을 캐는 광부가 되라.
마케터들은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현장 확인을 통해 금이 어디에 있는지 알아내야 한다. 우선 시장에서 금의 흔적을 찾아내고 고객의 마음속에 자리 잡은 금의 냄새를 맡아내 그것을 아이디어로 정제하고 정제된 아이디어는 다시 한번 컨셉으로 재창조하여 상품과 서비스 개발이라는 용광로에서 수많은 실험이 이루어져 시제품이 만들어지게 된다.
(2) 보이지 않는 니즈를 읽어내라.
웰빙마케팅은 같은 연령대라 하더라도 남녀에 따라 다르고, 주거지역에 따라 달라 목표고객을 정확히 하지 않으면 니즈를 맞추기가 힘들다.
① 모든 고객을 다 잡으려 하지 말라.
시장을 좁혀서 목표고객을 분명히 하고, 니즈를 정확히 읽어낸 뒤 그 시장에 적합한 가치를 만듦.
② 과거의 자료를 너무 신봉하지 말라.
시장변화가 심할 때에는 과거의 패턴이 반복되지 않고 전혀 새로운현상이 발생.
③ 큰 시장만을 기대하지 말라.
대량생산, 대량판매 보다 작은 시장들을 하나하나 공략하면 큰 시장이 됨.
(3) 가치가 보이게 하라.
① 웰빙 가치를 느끼게 하라.
웰빙 고객들이 매스티지상품을 선호하는 것은 적절한 비용을 지불하고 나서 비용 이상의 소유가치나 비용가치가 있다고 끼면 불만족하지 않는다.
② 품질을 좋게 하라.
스타벅스커피전문점을 방문하는 고객들은 가격이 저렴해서 그곳에 가는 것이 아니다. 입맛에 맞는 질 좋은 커피와 서비스 점포분위기의 품질이 다른 커피숍 보다 좋기 때문이다.
③ 싸구려로 보이지 않게 하라.
현대인들은 자기가 쓰고 있는 물건이 자신의 이미지를 대변하고 있다고 생각 한다. 쌀이나 농산물도 브랜드를 만들어 싸구려라는 이미지에서 벗어나야 한다.
(4) 오감을 자극하라.
① 아날로그와 디지털 판촉을 믹스하라.
오피스레이디나 신세대 직장인들은 인터넷 쇼핑을 선호 하며, 인터넷 고객이 오프라인 매장으로도 온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판촉을 병행하라.
② 오감을 잡아라.
웰빙 고객들은 감성과 느낌을 중시하며, 오감을 사로잡을 감성 마케팅을 전개 해야 한다. 남이섬은 방문객들이 자연주의를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으로 느낄 수 있도록 변모시켰다.
③ 제품의 기능 중심으로 선전하지 말라.
제품의 기능보다는 그것이 어떤 효용을 주고 가치가 있는지를 강조하라.
④ 기존의 유통방식만을 고집하지 말라.
지금은 할인점, 홈쇼핑, 인터넷 등의 다양한 유통방식을 이용하라.
(5) 제품의 생명이 있게 하라.
서울 강남에 총각네 야채가게는 남들과 똑같이 가락시장에서 과일을 구매해서 판매하지만 이 집의 과일은 다르다고 한다. 총각네 야채가게는 강남의 40대 주부들의 웰빙취향에 맞는 과일의 품질을 선별해서 구매해 오고 파는 방법도 웰빙고객들의 입맛에
추천자료
레드망고 - 마케팅분석
비타500의 성공 마케팅 전략분석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의 성공 마케팅 전략 및 차별화전략
참이슬의 소비자 겨냥 마케팅
고객욕구파악으로 인한 마케팅 성공과 실패사례
[사회과학] 패션 소비트렌드의 분석과 마케팅에의 활용
두유제품 판매량을 늘이기위한 마케팅기획서
맥도날드의 국내시장 마케팅전략과 개선방안
미스터 피자의 중국시장 마케팅 전략
경주 양동마을의 관광 마케팅
Food - SEA 마케팅 전략
외식업의 메뉴상품 마케팅 전략
한솥도시락 미국시장진출 글로벌마케팅전략분석과 한솥도시락 4P,SWOT,STP,전략분석및 한솥도...
국순당 프랑스진출 마케팅전략(SWOT,STP,4P) 분석과 국순당 유럽시장 확장계획분석및 나의의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