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사회의 성격-음서제와 과거제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사회의 성격-음서제와 과거제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귀족제사회설
(1) 귀족, 귀족제 사회의 개념
  (2) 귀족제 설의 논거
1) 음서제 (蔭敍制)
2) 과거제
3) 공음전

3. 관료제설
(1) 관료, 관료제의 개념
(2) 관료제 설의 논거
1) 과거제
2)음서제의 반 귀족제적 성격

4.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백작으로서 누리는 권리를 아들이 그대로 승습하였고, 신라의 경우도 부자가 실제로 성취하는 지위는 같을 수 없을지라도 진골의 자손은 태어날 때부터 진골이 되고 5등 이상의 관등을 차지할 수 있는 특권을 그대로 계승한다. 그러나 고려의 유음자손의 경우에는 5품 이상의 관직을 배타적으로 향유할 자격을 태어날 때부터 지닌 것은 아니었던 것이다.
음서제는 ①부조가 이뤄놓은 구체적인 공덕을 기준 삼아 ②한대적으로, ③그리고 명확히 한정된 범위에 적용되는 것이다. 즉 음서는 일가문 내에서 우대자의 재생산을 기대할 수 없으며, 유음자손이 귀족제적 요소를 지니고 있다고는 하지만 구체적인 성취 지위에서 파생되어 한대적으로 적용되는 것뿐이다. 음서제는 초직 수여에만 한정되어 입사상의 혜택만 부여했고 그 이후 진급에 대해서는 보장되지 않아 개인의 노력이 더욱 필요했다.
또한 이들은 음서제에 오히려 反귀족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고 이야기한다. 음서제에는 능력주의와 경쟁의 원리가 내포되어 있었던 것이다. 음서제는 위에서도 보았듯이 귀족제와 다른 원리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에 귀족체제를 무너뜨리는 역할도 할 수 있게 된다. 가령 국왕이 가문의 배경은 보잘 것 없으나 능력이나 충성이 남다른 자를 중용하고자 하면 음서제는 기존의 명문에 속하지 않는 자로 하여금 국왕에 대한 헌신과 충성을 유발하는 강력한 유인책이 될 수 있었으며, 새로 등용된 자의 자손까지 복무시킴으로써 기존의 관료집단을 신진세력으로 대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음서제는 기존의 고관이 자신의 가문을 유지하는 데 유리한 여건을 조성할 수도 있지만, 반대로 새로운 참여자를 끊임없이 유입시킴으로써 기존의 역관계를 해체시키는 기능을 발휘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유승원, 「고려사회를 귀족사회로 보아야 할 것인가」(『역사비평』36, 1997), p. 186.
. 이런 반귀족적인 측면을 본다면, 귀족제설 지지측이 가장 대표적으로 뽑는 근거인 음서가 기존 문벌 세력의 압력 때문이 아니라 국왕 측에서 자신에게 능력과 충성을 바칠 수 있는 인물을 관료로 끌어들이기 위한 유인책의 역할을 한 것으로 해석된다.
5. 맺음말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아직 고려사회의 성격은 하나로 정해지지 않았다. 앞서 살펴본 음서제는 고급관료의 자손을 무시험으로 관직에 임명하는 제도이므로 다분히 귀족제적인 성격을 갖지만, 반대로 비주류의 계층 사람이라도 5품직에 오르면, 자손이 음직할 수 있고 문벌로 대두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또 과거제는 능력위주의 관리를 뽑는 관료제적 성격을 갖지만, 교육기회와 과거응시자격 제한, 행권과 가장의 제출 등을 살펴볼 때 고려시대의 과거는 일정한 집단의 특권이 세습되는데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귀족제적인 성격도 엿볼 수 있다고 본다. 고려는 신라란 한 사회가 망하고 들어선 새 사회이자, 훗날 조선에 의해 사라져가는 구 사회이기도 하다. 때문에 고려는 이 두 사회의 성격을 동시에 갖게 된 것 같다. 고려는 신라의 귀족제를 완전히 벗어던지지 못했다. 이는 앞서 소개한 음서와 과거, 그리고 공음전과 폐쇄적 혼인관계, 투철한 가문의식 등에서 드러난다. 하지만 신라처럼 완전히 폐쇄적이고, 혈통 중심적인 골품제사회와는 거리가 멀다. 그리고 조선시대의 음서가 한직제(오를 수 있는 관품을 제한하는 것)로 그 효능성이 사라지면서 과거만이 거의 유일한 관직으로 나가는 길이 되는 조선과도 다르다. 즉 고려는 신라에서 조선으로 넘어가는 그 중간에서 징검다리 역할을 했다고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신라란 귀족사회의 연장선 속에서, 조선이란 관료제 사회를 추구하던 사회가 고려라고 생각된다. 우리는 고려란 사회를 살펴봄에 있어, 귀족제와 관료제로 나뉘어 바라보고 있다. 그러나 고려를 한가지로 양극화시켜 바라보는 것은 옳지 못하다. 그 까닭은 서로가 자신들의 입장에서 바라보아 범할 수 있는 고려의 모습을 상대방이 드러내 주고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박용운,「고려는 귀족사회임을 다시 논함」(상하)『한국학보』93, 94, 일지사, 1998.
박창희, 「고려시대 관료제에 대한 고찰」, 1973.
유승원, 「고려사회를 귀족사회로 보아야 할 것인가」,『역사비평』36, 1997.
박용운, 「고려 가산관료제설과 귀족제설에 대한 검토」, 『사총』2122 합집, 1977.
박창희, 「고려시대 관료제에 대한 고찰, 『역사학회』, 1973.
박용운, 『고려시대사』(上), 일지사, 1998.
한국중세사학회, 『고려시대사강의』, 늘함께, 1997.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10.25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69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