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들어가는말
2.프랑스의 음식의 특징
3.프랑스인의 주식
1)빵
2)치즈
치즈의종류(5가지정도), 치즈생산지
3)포도주
포도주의 역사, 생산지, 등급, 저장방법, 종류, 마시는법
4)그밖의 음식들
4.프랑스 요리(Cusine française)
5.지방별 특수요리
6.프랑스의 식사예절
7.프랑스의 외식문화
8.현대 프랑스인의 음식문화
9.나가는 말
2.프랑스의 음식의 특징
3.프랑스인의 주식
1)빵
2)치즈
치즈의종류(5가지정도), 치즈생산지
3)포도주
포도주의 역사, 생산지, 등급, 저장방법, 종류, 마시는법
4)그밖의 음식들
4.프랑스 요리(Cusine française)
5.지방별 특수요리
6.프랑스의 식사예절
7.프랑스의 외식문화
8.현대 프랑스인의 음식문화
9.나가는 말
본문내용
도주에 맞추어 선택하는 것이 좋다. 치즈는 일반적으로 적포도주와 함께 먹는데, 적포도주의 약간 떫은 맛이 치즈와 잘 어울리기 때문이다. 그러나 백포도주와 맞는 치즈도 있다. 백포도주의 신맛과 치즈의 신맛이 서로 조화를 이루기도 하기 때문이다. 치즈와 동일한 지방에서 생산된 포도주가 잘 어울린다. 한 지역에서 생산된 치즈와 빵과 포도주는 같은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조화를 이루기 때문이다. 그러나 순한 치즈와 강한 백포도주, 혹은 맛이 순한 백포도주와 강한 치즈 등이 특별한 조화를 이룰 수도 있다. 포도주나 다른 음식과 곁들이지 않고 치즈만 먹어도 좋다. 박영혜 외6, 『프랑스 문화의 이해』, 111.
프랑스인들이 즐겨 먹는 치즈를 몇 가지 소개한다면 www.cheesei.co.kr <세계에서 치즈에서>
(1) 블르(bleu)
소의 젖으로 만든 푸른색이 섞여있는 치즈로 오베르뉴, 싸브와, 쥐라 지방에서 주로 생산된다. 염소나 숫양의 젖으로 만든 치즈는 블르 드 쉐브르(bleu de chevre) 혹은 블르 드 브르비(bleu de brebis)라고 표시되어 있다. 보통 적포도주와 함께 먹으며, 요리의 재료로 샐러드, 수프, 퐁뒤를 만들 때 사용되기도 한다. 특히 로끄포르는 비프스텍의 소스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2) 까망베르(camembert)
소의 젖으로 만든 노르망디 지방의 특산물이다. 나폴레옹 3세가 까망베르라는 마을에 들렀을 때 맛을 보고 마을 이름을 따서 부른 후 유명해졌다. 가장 품질이 좋은 것은 VCN(Veritable Camembert de Normandie)이며, 노르망디 지방의 술 깔바도스와 잘 어울린다. 약간 말랑한 상태에서 먹는 것이 좋으며, 너무 무르거나 암모니아 냄새가 나는 것은 상한 것이다.
(3) 꽁떼
젖소의 우유로 만든 치즈로 프랑스 동부지역인 두, 쥐라, 오뜨손 지방에서 13세기부터 먹어오던 오래된 치즈이다. 식사의 맨 마지막에 먹기도 하고, 그라뗑, 수플레, 샐러드, 퐁뒤 등의 요리에도 이용된다.
(4) 그뤼예르(gruyere)
둥글고 큰 모양으로 구멍이 나 있으며 스위스에서 많이 생산된다. 프랑스에서는 프랑쉬 꽁떼, 부르고뉴 지방에서 생산되며, 9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먹어야 제 맛을 느낄 수 있다. 식사의 마지막에 먹기도 하고 샌드위치에 넣어 먹기도 한다. 퐁 뒤, 그라뗑, 샐러드, 크로끄 무슈와 같은 요리에도 사용된다.
치즈는 식사중 디저트(Dessert, 데세르)를 먹기 바로 전이나 디저트 대용으로 먹는다. 집에 손님을 초대했을 때에는 적어도 3종류 이상의 치즈를 쟁반위에 대접하는 것이 예의이다. 손님 입장에서는, 치즈를 너무 많이 먹으면 식사가 부실했었다는 의미가 될 수 있으므로 적당히 먹는 것이 예의이다.
(5) 그 밖의 치즈들 http://blog.naver.com/bonIe 그밖의 프랑스 치즈
바론(Baron) CARAYAC BRILLAT SAVARIN(브리아 사바렝
Saint Agur(세인트 아구르) CHAOURCE BREBIS DU LAVORT(Ewe Milk)
2) 치즈 생산지
각 지방에서는 세계적 명성을 가진 프로마쥬를 생산한다. 노르망디의 까망베르, 프랑슈 꽁떼의 꽁떼, 그르노블의 그휘이에르, 랑그독의 로크포르, 샹빠뉴의 브리 등이 대표적인 명산품들이다. 로크포르는 랑그독이 지정된 장소에서만 생산되는 치즈로 이 지방 양젖으로만 만든다. 프로마쥬를 녹여 빵조각에 적셔 백포도주와 함께 먹는 프로마쥬 퐁뒤도 유명한 요리이다. ‘웃고있는 소’(La vache qui rit)라는 상표는 프랑스 치즈 퐁뒤 시장의 약 3/4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프로마쥬는 그뤼이에르와 같은 경질의 빨리 만든 것(fromage a pate pressee)과 까망베르나 로크포르처럼 숙성시킨 것(fromages affines)로 구분할 수 있다. 최호열, 『프랑스 와 프랑스인』, 207.
노르망디의 까망베르라는 치즈는 이 마을의 한 부인이 만든 치즈였는데 나폴레옹 황제에 의해 유명해졌다. 1950년 이래로 까망베르는 산업화되어 대량 생산 체제에 들어갔다. 까망베르와 같은 프로마쥬를 고를 때는 손가락으로 눌러 보아 물렁거리면 지나치게 숙성된 것이고 딱딱하면 아직 덜 익은 것이다. 오래 보관할 때에는 가장 딱딱한 것을 고르면 된다. 유제품 가게에서는 큰 덩어리에서 손님이 원하는 만큼 잘라서 판매한다. 어떤 프로마쥬는 작은 부분이 떨어져 나간 것이 있는데 내부를 보여줌으로써 숙성도를 판단하게 하기 위한 배려이다. 형태에 따라 프로마쥬 먹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좋다. 그뤼에르나 로크포르, 그리고 브리는 가로 방향으로 자른다. 작은 조각으로 자라서 한 입의 빵 조각에 올려놓아 먹는다. 프로마쥬는 풍미가 약한 것부터 강한 것의 순으로 먹는 것이 원칙이며, 껍질은 냄새가 강하므로 남겨도 좋다. Ibid., 207-8.
3. 포도주(vin)
세계최고의 와인 산지인 프랑스 와인의 명성을 지키기 위해 프랑스정부는 생산지의 포도 재배에서부터 최종 판매 시까지 엄격한 규제 하에 질 좋은 와인을 생산해 내고 있다.
포도의 종류는 아래의 그림과 같다. http://tong.nate,com <게시판> 와인대하여.
1) 포도주의 역사
포도주의 역사는 중세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중세의 수도승들은 좋은 포도주 저장고를 갖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프랑스에서는 적포도주와 백포도주가 주종을 이루는데 샴페인과 분홍색 포도주도 많은 양이 생산되고 있다. 최호열, 『프랑스 와 프랑스인』, 204.
2) 포도주 생산지
프랑스는 포도 재배에 유리한 기후 조건과 토양을 갖추었다. 포도는 여름이 덥고 건조하며 겨울이 춥지 않은 지중해성 기후에서 잘 자란다. 적포도는 강렬한 햇볕이 내리쬐는 지중해 연안에서 풍부한 당과 진한 색을 낼 수 있고, 청포도는 약간 서늘한 곳에서 자라야 신맛이 적당하다. 그리고 석회질이 많은 토양도 포도 재배에 적합하다. 프랑스 북부의 청포도와 남부의 적포도는 품질이 아주 좋으며, 이를 재료로 한 프랑스의 포도주는 질과 양에서 세계 제일이다. 박영혜 외6, 『프랑스 문화의 이해』,111.
생산지의 지명이 그대로 포도주의 상표 이름이 되는데 보르도(메독,
프랑스인들이 즐겨 먹는 치즈를 몇 가지 소개한다면 www.cheesei.co.kr <세계에서 치즈에서>
(1) 블르(bleu)
소의 젖으로 만든 푸른색이 섞여있는 치즈로 오베르뉴, 싸브와, 쥐라 지방에서 주로 생산된다. 염소나 숫양의 젖으로 만든 치즈는 블르 드 쉐브르(bleu de chevre) 혹은 블르 드 브르비(bleu de brebis)라고 표시되어 있다. 보통 적포도주와 함께 먹으며, 요리의 재료로 샐러드, 수프, 퐁뒤를 만들 때 사용되기도 한다. 특히 로끄포르는 비프스텍의 소스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2) 까망베르(camembert)
소의 젖으로 만든 노르망디 지방의 특산물이다. 나폴레옹 3세가 까망베르라는 마을에 들렀을 때 맛을 보고 마을 이름을 따서 부른 후 유명해졌다. 가장 품질이 좋은 것은 VCN(Veritable Camembert de Normandie)이며, 노르망디 지방의 술 깔바도스와 잘 어울린다. 약간 말랑한 상태에서 먹는 것이 좋으며, 너무 무르거나 암모니아 냄새가 나는 것은 상한 것이다.
(3) 꽁떼
젖소의 우유로 만든 치즈로 프랑스 동부지역인 두, 쥐라, 오뜨손 지방에서 13세기부터 먹어오던 오래된 치즈이다. 식사의 맨 마지막에 먹기도 하고, 그라뗑, 수플레, 샐러드, 퐁뒤 등의 요리에도 이용된다.
(4) 그뤼예르(gruyere)
둥글고 큰 모양으로 구멍이 나 있으며 스위스에서 많이 생산된다. 프랑스에서는 프랑쉬 꽁떼, 부르고뉴 지방에서 생산되며, 9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먹어야 제 맛을 느낄 수 있다. 식사의 마지막에 먹기도 하고 샌드위치에 넣어 먹기도 한다. 퐁 뒤, 그라뗑, 샐러드, 크로끄 무슈와 같은 요리에도 사용된다.
치즈는 식사중 디저트(Dessert, 데세르)를 먹기 바로 전이나 디저트 대용으로 먹는다. 집에 손님을 초대했을 때에는 적어도 3종류 이상의 치즈를 쟁반위에 대접하는 것이 예의이다. 손님 입장에서는, 치즈를 너무 많이 먹으면 식사가 부실했었다는 의미가 될 수 있으므로 적당히 먹는 것이 예의이다.
(5) 그 밖의 치즈들 http://blog.naver.com/bonIe 그밖의 프랑스 치즈
바론(Baron) CARAYAC BRILLAT SAVARIN(브리아 사바렝
Saint Agur(세인트 아구르) CHAOURCE BREBIS DU LAVORT(Ewe Milk)
2) 치즈 생산지
각 지방에서는 세계적 명성을 가진 프로마쥬를 생산한다. 노르망디의 까망베르, 프랑슈 꽁떼의 꽁떼, 그르노블의 그휘이에르, 랑그독의 로크포르, 샹빠뉴의 브리 등이 대표적인 명산품들이다. 로크포르는 랑그독이 지정된 장소에서만 생산되는 치즈로 이 지방 양젖으로만 만든다. 프로마쥬를 녹여 빵조각에 적셔 백포도주와 함께 먹는 프로마쥬 퐁뒤도 유명한 요리이다. ‘웃고있는 소’(La vache qui rit)라는 상표는 프랑스 치즈 퐁뒤 시장의 약 3/4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프로마쥬는 그뤼이에르와 같은 경질의 빨리 만든 것(fromage a pate pressee)과 까망베르나 로크포르처럼 숙성시킨 것(fromages affines)로 구분할 수 있다. 최호열, 『프랑스 와 프랑스인』, 207.
노르망디의 까망베르라는 치즈는 이 마을의 한 부인이 만든 치즈였는데 나폴레옹 황제에 의해 유명해졌다. 1950년 이래로 까망베르는 산업화되어 대량 생산 체제에 들어갔다. 까망베르와 같은 프로마쥬를 고를 때는 손가락으로 눌러 보아 물렁거리면 지나치게 숙성된 것이고 딱딱하면 아직 덜 익은 것이다. 오래 보관할 때에는 가장 딱딱한 것을 고르면 된다. 유제품 가게에서는 큰 덩어리에서 손님이 원하는 만큼 잘라서 판매한다. 어떤 프로마쥬는 작은 부분이 떨어져 나간 것이 있는데 내부를 보여줌으로써 숙성도를 판단하게 하기 위한 배려이다. 형태에 따라 프로마쥬 먹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좋다. 그뤼에르나 로크포르, 그리고 브리는 가로 방향으로 자른다. 작은 조각으로 자라서 한 입의 빵 조각에 올려놓아 먹는다. 프로마쥬는 풍미가 약한 것부터 강한 것의 순으로 먹는 것이 원칙이며, 껍질은 냄새가 강하므로 남겨도 좋다. Ibid., 207-8.
3. 포도주(vin)
세계최고의 와인 산지인 프랑스 와인의 명성을 지키기 위해 프랑스정부는 생산지의 포도 재배에서부터 최종 판매 시까지 엄격한 규제 하에 질 좋은 와인을 생산해 내고 있다.
포도의 종류는 아래의 그림과 같다. http://tong.nate,com <게시판> 와인대하여.
1) 포도주의 역사
포도주의 역사는 중세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중세의 수도승들은 좋은 포도주 저장고를 갖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프랑스에서는 적포도주와 백포도주가 주종을 이루는데 샴페인과 분홍색 포도주도 많은 양이 생산되고 있다. 최호열, 『프랑스 와 프랑스인』, 204.
2) 포도주 생산지
프랑스는 포도 재배에 유리한 기후 조건과 토양을 갖추었다. 포도는 여름이 덥고 건조하며 겨울이 춥지 않은 지중해성 기후에서 잘 자란다. 적포도는 강렬한 햇볕이 내리쬐는 지중해 연안에서 풍부한 당과 진한 색을 낼 수 있고, 청포도는 약간 서늘한 곳에서 자라야 신맛이 적당하다. 그리고 석회질이 많은 토양도 포도 재배에 적합하다. 프랑스 북부의 청포도와 남부의 적포도는 품질이 아주 좋으며, 이를 재료로 한 프랑스의 포도주는 질과 양에서 세계 제일이다. 박영혜 외6, 『프랑스 문화의 이해』,111.
생산지의 지명이 그대로 포도주의 상표 이름이 되는데 보르도(메독,
추천자료
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해서 (도자기 문화, 주거문화, 건축문화, 음식문화)
[독일문화][독일의 문화][독일 문화정책][독일의 독서문화][독일의 음식문화][독일의 맥주문...
[일본문화][일본의 문화][일본][일본인]일본의 꽃꽂이문화, 술문화(음주문화), 음식문화, 결...
[한국의 문화][한국문화][음주문화][음주][술문화][술][음식문화][반상문화][개고기문화][개...
[제주도문화][제주도 의식주][제주도 의복문화][제주도 음식문화][제주도 주거문화][제주도 ...
[중국][중국문화]중국내 소수민족의 환경과 주거문화, 중국의 주거문화, 중국의 민족구성과 ...
[조상][선조][절약정신][슬기로움][노동풍습][물문화][의복문화][음식문화]조상(선조) 절약정...
[중국 의복문화][중국 체면중시문화][중국 소비문화][중국 식사문화][중국 음식문화][차문화]...
[중국][중국문화][중국의 문화][음식][결혼][소림사][관광명소]중국의 의복문화, 중국의 주거...
[스위스][스위스문화][스위스의 음식문화][스위스의 치즈][스위스의 언어][스위스의 주민][스...
[북한][북한문화][의복문화][음식문화][주거문화][스포츠][애국가]북한의 의생활(의복문화), ...
각국의 음식문화 - 13개 국가의 음식문화와 점심문화
[세계문화 비교] 인사문화, 초대문화, 선물문화, 음식문화 및 음주문화
[세계음식문화] [멕시코 음식문화 특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