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당과 신라정신 세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당과 신라정신 세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작가 소개>

<서론>
*신라정신의 개념*

<본론>
*신라정신의 종류*
*현대문학에서의 신라정신의 영향*
1. 샤머니즘
2. 불교정신
3. 노장사상
4. 화랑정신

<결론>

본문내용

신의 개념*
신라정신이란 서정주 시인의 표현대로 그 범주가 막연한 관념세계나 추상적 허구만은 아닌 고대 신라인들의 샤마니즘적 현실과 유교적 역사성에 의한 현실태였다는 점과 이 현실의 생활양식 속에 들어 있는 정신체계로서 토속적 샤머니즘과 불교정신 그리고 도교의 노장사상 들의 요소를 갖고 있다는 점을 말하지만 신라정신이란 신라인의 의식세계이거나 신라만이 가진 어떤 기운 혹은 혼을 일컬을 터이다. 그러므로 신라정신이라 할 때, 거기에는 버려야할 의식이 아닌 계승·발전시켜야 할 정신적 유산임이 암묵적으로 내포되어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이것은 글자 그대로 정신이지 역사적 현실태가 아니므로 우리가 찾아내야 하는 것이다. 동시에 신라정신은 어디까지나 현대인의 사회현실에 투시되어 문학적 상상에서 구현된 것이라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된다.
우리 현대시에 신라라는 관념태를 맨 먼저 문학에 들고 나온 이가 서정주라는 사실은 일반에 알려진 대로이다. 여기서 서정주의 신라의 개념은 그의 말대로라면 \'영통과 혼교(靈通과 魂交), 삼세인연(三世因緣)과 윤회전생(輪廻轉生)\'이란 말로 요약될 수 있는데 이는 그가 젊은 시절 삼국유사나 삼국사기를 읽으면서 나름대로 터득한 상상의 소산물로서 그의 시와 산문들에 투시된 정신체계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서정주의 신라정신은 역사적인 과거의 신라에서 발견하여 개인적인 이념의 등가물로서 승화시킨 신라이다. 따라서 이것은 그가 고대 신라의 어떤 지혜를 수용하여 자기가 살고 있는 사회와 현실을 투시하여 그것을 넘어서서 창조한 문학적 미의 세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토속적 샤머니즘, 불교정신, 노장사상 이들의 공통점은 모두 오늘의 문명을 낳게 한 서구적 합리주의와 분화된 과학적 사고를 부정하는 동양정신으로 볼 수 있다. 물론 이것은 오늘의 문명과 이를 있게 한 과학적 실용주의 사조가 팽창되기 이전의 정신체계에 대한 향수에서 비롯된 것으로 인간과 자연, 현실세계와 영적세계, 삶과 죽음 등의 관계를 분화시키고 단절된 것으로 보지 않는 사고방식이었다.
<본론>
*신라정신의 종류*
① 샤머니즘에 유불도 삼교(儒佛道 三敎)가 융합되어 형성되었다.
샤머니즘이라는 고유의 토속적 신앙과 儒佛道 三敎가 서로 어떤 공통적인 기반을 찾아서 포섭 융합하여, 이른바 신라정신이라는 하나의 신크리티시즘의 현상을 이뤘던 것으로 생각된다.
② 불교사상과 노장사상이 혼융된 정신이다.
신라정신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불교 사상만이 아니라 노장 사상도 강하게 혼융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불교 사상보다는 오히려 이것이 신라의 젊은이에게 호연지기를 길러내었고 동시에 이것이 삼국통일의 밑바탕이 되었던 화랑정신의 토양을 제공하기도 한 것이다.
③ 영원성이다.
신라정신이 우리 것보다 더 가지고 있었던 것은 뭐냐 하면, 그것은 알아 듣기 쉽게 요샛말로 하면 영원주의입니다. 현생만을 중요시하여 이치나 모랄이나, 지향이나, 감정을 가진 것이 아니라 영원을 입장으로 해서 가졌었단 말씀입니다.
④ 희생 정신이나 아량 곧 관용정신과 우리 미래의 길잡이로 본다.
대체로 신라정신의 근간을 앞서 말한 희생이라든지 아량과 같은 데서 찾을 수 있다면 이러한 희생이나 아량은 바로 신라의 문화 예술을 이끌어온 원동력이 되었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또한 우리는 다시 신라 사람들의 광대무일하고 멋진 태도로 돌아가야만, 이 현대의 모든 불안, 공포, 잔인, 포악한 과정을 벗어나면서 험하고 어려운 우리의 인생험로를 극복해 나갈 것이라 생각한다.
*현대문학에서의 신라정신의 영향*
1. 샤머니즘
샤먼이 주재하는 제의 자체는 현실세계와 영적세계의 경계가 모호한 요소를 가진다는 점이다. 신라정신의 요체가 영원성과 현실성의 통합적 세계관이란 점은 이런 점을 두고 한 말이다. 이런 관점은 곧 모든 사물에 영혼이 깃든 것으로 보는 것으로 삼라만상의 모든 사물을 하나의 생명적 개체로 인정한다는 사고에 기초하고 있다. 이 점이 곧 세상의 모든 사물은 자연 생태의 법칙을 따르게 되는 생태주의의 요소라고 하겠다. 물론 샤머니즘 자체가 생태주의라는 논리는 비약의 소지를 갖고 있지만 모든 사물의 개체를 그대로의 혼이 깃든 존재로 인정하는 샤먼의 세계관은 분명 인간을 일반 사물과 동일시하고 동시에 일반 사물도 존재 의미를 인정하는 \'생태적\' 관점이라는 것이다.
노래가 낫기는 그중 나아도
구름까지 갔다간 되돌아오고,
네 발굽을 쳐 달려간 말은
바닷가에 가 멎어버렸다.
활로 잡은 山돼지, 매(鷹)로 잡은 山새들에도
이제는 벌써 입맛을 잃었다.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11.14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07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