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제망매가(祭亡妹歌) 해석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문학] 제망매가(祭亡妹歌) 해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원문

2. [시어, 시구 풀이]

3. [전문 풀이]

4. [핵심 정리]

5. 작품 해설

<참고> ‘제망매가’에 나타난 주술성
<참고> ‘제망매가’의 표현상 특징
<참고> 배경 설화

본문내용

)2에서 만날 나阿也 彌陀刹良逢乎吾
도(道) 닦아 기다리겠노라.道修良待是古如
2. [시어, 시구 풀이]
生死(생사) 길흔 : 삶과 죽음의 길은 이샤매 : 있음에. 있으매. 있으므로
머믓거리고 : 머뭇거리고 나 가다 말ㅅ도 : 나(죽은 누이)는 간다는 말도. ‘가다’는 ‘죽는다’는 뜻 : 가을 러딜 : 떨어질 닙 : 잎처럼. 잎같이
가논 곧 모론뎌 : 가는 곳을 모르겠구나 彌刹(미타찰) : 아미타불이 있는 서방 정토(西方淨土) 道(도) 닷가 : 불도를 닦아 기드리고다 : 기다리겠노라
生死(생사) 길흔 / 이 이샤매 머믓거리고 : 인간이 나면 죽는다는 이치가 여기(이승)에 있으므로. 사람이 한 번 세상에 태어나면 죽을 수밖에 없는 것이 필연적이라는 불교적 사생관(死生觀)을 제시하고 있다.
나 가다 말ㅅ도 /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5.11.15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10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