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원문
2. [시어, 시구 풀이]
3. [전문 풀이]
4. [핵심 정리]
5. 작품 해설
<참고> ‘제망매가’에 나타난 주술성
<참고> ‘제망매가’의 표현상 특징
<참고> 배경 설화
2. [시어, 시구 풀이]
3. [전문 풀이]
4. [핵심 정리]
5. 작품 해설
<참고> ‘제망매가’에 나타난 주술성
<참고> ‘제망매가’의 표현상 특징
<참고> 배경 설화
본문내용
)2에서 만날 나阿也 彌陀刹良逢乎吾
도(道) 닦아 기다리겠노라.道修良待是古如
2. [시어, 시구 풀이]
生死(생사) 길흔 : 삶과 죽음의 길은 이샤매 : 있음에. 있으매. 있으므로
머믓거리고 : 머뭇거리고 나 가다 말ㅅ도 : 나(죽은 누이)는 간다는 말도. ‘가다’는 ‘죽는다’는 뜻 : 가을 러딜 : 떨어질 닙 : 잎처럼. 잎같이
가논 곧 모론뎌 : 가는 곳을 모르겠구나 彌刹(미타찰) : 아미타불이 있는 서방 정토(西方淨土) 道(도) 닷가 : 불도를 닦아 기드리고다 : 기다리겠노라
生死(생사) 길흔 / 이 이샤매 머믓거리고 : 인간이 나면 죽는다는 이치가 여기(이승)에 있으므로. 사람이 한 번 세상에 태어나면 죽을 수밖에 없는 것이 필연적이라는 불교적 사생관(死生觀)을 제시하고 있다.
나 가다 말ㅅ도 /
도(道) 닦아 기다리겠노라.道修良待是古如
2. [시어, 시구 풀이]
生死(생사) 길흔 : 삶과 죽음의 길은 이샤매 : 있음에. 있으매. 있으므로
머믓거리고 : 머뭇거리고 나 가다 말ㅅ도 : 나(죽은 누이)는 간다는 말도. ‘가다’는 ‘죽는다’는 뜻 : 가을 러딜 : 떨어질 닙 : 잎처럼. 잎같이
가논 곧 모론뎌 : 가는 곳을 모르겠구나 彌刹(미타찰) : 아미타불이 있는 서방 정토(西方淨土) 道(도) 닷가 : 불도를 닦아 기드리고다 : 기다리겠노라
生死(생사) 길흔 / 이 이샤매 머믓거리고 : 인간이 나면 죽는다는 이치가 여기(이승)에 있으므로. 사람이 한 번 세상에 태어나면 죽을 수밖에 없는 것이 필연적이라는 불교적 사생관(死生觀)을 제시하고 있다.
나 가다 말ㅅ도 /
추천자료
한국문학 - 고대.삼국·남북국 .고려 문학 .조선 전기 시대 문학
고려 조선시대의 문학에 대해서
고려시대 서민의 문화
고려조 한문학의 융성동인
고려시대의 미술교육
고려 후기 문학사
고려조 시화의 양상과 의미
한국 중세문학의 성격, 한국 중세문학의 배경, 한국 중세문학 서사문학, 한국 중세문학 통일...
고려속요 <쌍화점>의 역사적 기록에 따른 의미 분석
[고전시가][작품분석][공무도하가]고전시가 구지가 작품분석, 고전시가 공무도하가 작품분석,...
[배당][결산배당][저배당][중간배당][주식배당][액면배당][시가배당][주식]결산배당, 저배당,...
고려속요의 이해
국문학 - 고려속요의 이해
고려속요 사랑의 노래- 쌍화점, 만전춘별사, 이상곡,이상곡, 만전춘별사, 쌍화점'남녀상열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