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의 편에 섰다. \"홉스 등과 같이 권력이 정의의 기초라고 한다면, 정의, 법 등은 단지 국가 권력이 의존하고 있는 다른 관계들의 표현 내지 징후에 불과하다.\" 생산관계와 법적 소유 형태를 구분하는 것은 중요하다. 많은 사람들은 자본주의가 생산수단을 소유하고 통제하고 있는 개별 자본가들의 존재에 의존하고 있다고 믿고 있다. 그리하여 그들은 근대 주식회사에서는, 고용되어 있고 기껏해야 약간의 지분만을 소유하고 있는 최고 경영자들이 실제로 회사를 운영하기 때문에, 이러한 회사가 생긴 마당에는 우리는 더 이상 자본주의에 살지 않게 되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보다 더 진실과 먼 것은 없다. 계급사회를 규정하는 것은 소수에 의한 생산수단의 실질적인 점유이지, 이러한 권력관계가 치장되어 있는 법적인 형태가 아니다.
추천자료
자본주의적착취의동학
디지털 시대의 엘리트 - 보보스(BOBOS)를 중심으로-
[인문과학] [교육사회학]구별짓기-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 요약정리
[사회과학]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을 읽고
베버의 비서구권 종교와 경제 연구
경제학 산책을 읽고나서 - 경제학 천재들의 인생조언
독후감, 조현수의 <맑스와 사귀기>를 읽고
기능이론과 갈등이론 [분석/조사]
[가치형태][가치형태 해석][교환가치][화폐형태][상대적 가치형태][가치형태의 한계]가치형태...
공산 혁명(革命)과 학살(虐殺).
사회경제사상사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
2014년 동계계절시험 문학비평론 시험범위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