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채호는 누구인가?
2. 신채호의 생애
・ 어릴 때부터 총명하다.
・ 언론활동과 역사연구로 국권수호운동에 나서다.
・ 망명하여 여러 곳에서 국권회복의 기틀을 마련하다.
・ 타협하지 않은 독립운동가로 서다.
・ '조선혁명선언'에서 독립운동의 원칙과 방략을 밝히다.
・ 자주적인 '국사' 연구는 바로 훌륭한 독립운동이다.
・ 민족독립을 위해서는 무정부주의적인 운동방법도 수용하다.
・ 57세의 평생, 순국의 제물로 바치다.
3. 신채호의 조선 상고사와 한국고대사 연구업적
1) 고대사의 새로운 체계화
1-1) 상고사 체계화의 시도
1-2) 전후삼한설
1-3) 부여, 고구려 중심의 체계
2) 단군인식의 문제
2-1) 합리성을 기반으로 한 종교적 존대로서의 단군인식 - <<조선상고사>>에 보이는 단군
2-2) 단재의 단군연구의 의의
3) 고대사의 영역문제
3-1) 단군, 부여족의 지나식민론
3-2) 백제의 해외경략설
4) 한사군 문제와 고구려 연대소멸론
4-1) 고구려 한 구년전쟁설
4-2) 고구려 연대소멸설
4-3) 위씨국 멸망 이설
4-4) 한사군의 위치문제 - 북한일대 존재설에서 요동군내 교설설까지
4-5) 남북 양락랑설
5) 고대문화의 인식
5-1) 우리나라 상고문자기원설의 문제
5-2) <신지> 문제
5-3) 고대의 풍속이해
5-4) 선교, 낭가사상의 이해
4. 결론
2. 신채호의 생애
・ 어릴 때부터 총명하다.
・ 언론활동과 역사연구로 국권수호운동에 나서다.
・ 망명하여 여러 곳에서 국권회복의 기틀을 마련하다.
・ 타협하지 않은 독립운동가로 서다.
・ '조선혁명선언'에서 독립운동의 원칙과 방략을 밝히다.
・ 자주적인 '국사' 연구는 바로 훌륭한 독립운동이다.
・ 민족독립을 위해서는 무정부주의적인 운동방법도 수용하다.
・ 57세의 평생, 순국의 제물로 바치다.
3. 신채호의 조선 상고사와 한국고대사 연구업적
1) 고대사의 새로운 체계화
1-1) 상고사 체계화의 시도
1-2) 전후삼한설
1-3) 부여, 고구려 중심의 체계
2) 단군인식의 문제
2-1) 합리성을 기반으로 한 종교적 존대로서의 단군인식 - <<조선상고사>>에 보이는 단군
2-2) 단재의 단군연구의 의의
3) 고대사의 영역문제
3-1) 단군, 부여족의 지나식민론
3-2) 백제의 해외경략설
4) 한사군 문제와 고구려 연대소멸론
4-1) 고구려 한 구년전쟁설
4-2) 고구려 연대소멸설
4-3) 위씨국 멸망 이설
4-4) 한사군의 위치문제 - 북한일대 존재설에서 요동군내 교설설까지
4-5) 남북 양락랑설
5) 고대문화의 인식
5-1) 우리나라 상고문자기원설의 문제
5-2) <신지> 문제
5-3) 고대의 풍속이해
5-4) 선교, 낭가사상의 이해
4. 결론
소개글